본문으로 바로가기

상단배너 0
홍보관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홍보관

KISTEP 수요포럼

한미약품 성공 사례와 대한민국 신약개발의 미래...제41회 KISTEP 수요포럼

  • 등록자이승아
  • 등록일2016-03-16
  • 조회수2,72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3월 16일(수), 양재동 KISTEP 국제회의실에서 ‘한미약품 성공 사례와 대한민국 신약개발의 미래’를 주제로 제41회 KISTEP 수요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저성장에도 불구하고 한미약품을 필두로 한 신약 등 바이오 분야의 미래 성장동력 발전 사례를 통해 현황과 애로점을 진단하고, 이 분야를 더욱 발전시키고자 개최됐다.

포럼은 황지호 본부장 개회로 시작됐다. 이어 권세창 한미약품 부사장 겸 연구소장의 주제발표, 권영근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최수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바이오PD, 김은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기초사업실장의 패널토론으로 진행됐다.
 



[▲ 권세창 한미약품 부사장 겸 연구소장]


권세창 한미약품 부사장 겸 연구소장은 “2002년 글로벌 Top 20 회사 중 대부분이 벌써 사라졌을 정도로 변화와 성장이 빠른 분야가 제약 분야”라며 “잘 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분야, 판을 벌일 수 있는 분야를 개척해야 한다”고 했다. 글로벌 기업과 우리나라 기업은 연구비와 매출액, 연구원의 수 모두 1/100 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우리가 잘하는 곳에 집중함으로써 판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가 되지 않으면 승산이 없다는 설명이다.

권 연구소장은 특히 글로벌 기업에 비해 R&D 비중이 절대적으로 열세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만성질환 치료제, 난치성 치료제, 희귀의약품, 바이오 시밀러, 차세대 백신 등 글로벌 신약개발 트렌드에 대응하는 선택과 집중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개별 제품 개발보다는 강력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원천 플랫폼 기반기술을 개발해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며 가치 창출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과 중소기업, 출연(연)과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투자현황 분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약 산업의 특수성에 입각한 단계별 R&D 투자 지원, 중장기 투자 확대는 물론 제약 산업 분야의 자발적 R&D 투자를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 권영근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권영근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는 "한미약품의 비약적인 성과는 기업의 노력과 공격적인 투자 결과이기도 하지만 국내 의약품 산업 생태계가 좋아진 것도 한 몫 한다"며 "기존 주력 산업이 주춤한 지금 의약품 산업의 육성은 국가 장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자식을 키우는 기분으로 ‘자생력’을 심어줘야 한다는 설명이다.

권 교수는 최근 제약계의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해서 △국내 기업 역량이 부족한 신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이를 위한 연구 개발 생태계를 다질 것 △기업의 신약개발 R&D 투자 유도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가시화할 것 △의약품 관련 유망 벤처 육성 및 기업간 교차 투자를 활성화 할 것 △국내 개발 의약품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것 등을 제안했다.
 



[▲ 최수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바이오PD]


최수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바이오PD는 "바이왜 산업은 제품화 단계까지의 실패 위험도가 높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했다. 따라서 향후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헬스 산업 민관협의체, 바이오특별위원회, 범부처 원격의료 추진 TF 등 바이오 연구개발 추진 효율화 △바이오 임상시험 및 의약품 개발 등에 대한 세제 지원 혜택 제공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에 따른 낮은 약가 형성으로 인한 산업 활력 저하 개선 △창업 초기 기업에 대한 펀드 투자 확대 등을 강조했다. 또한 최 PD는 제약 업계에도 ‘기업가 정신’을 갖고 정부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관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김은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기초사업실장]


김은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기초사업실장은 "신약 개발이라는 용어 조차 낯설었던 우리나라에서 바이오 분야의 역량과 인프라를 현재 수준으로 끌어올린 건 약 20여 년 동안 정부가 주도해 온 지속적인 바이오 R&D 육성 정책과 투자였다"며 "그러나 가시적인 성과가 미흡해 많은 지적을 받아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실장은 "앞으로는 바이오 분야에 대해 정부가 R&D 정책과 산업 정책을 동시에 가져가야 한다"며 "연구개발 성과가 경제적 성과로 결실 맺을 수 있또록 병행해 나가야 하고 바이오 산업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의 완화와 제도 개선이 정부의 과제"라고 지적했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대외협력홍보팀
  • 담당자 이동욱
  • 연락처 043-750-2348

포토뉴스 QR코드 https://www.kistep.re.kr/menu.es?mid=a10202010400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