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상단배너 0
홍보관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홍보관

최신동정

2024 K-Science and Technology 글로벌 포럼 개최

  • 등록자이혜진
  • 등록일2024-12-17
  • 조회수698

과학기술·디지털 국제협력 정책방향과 성과를 국내외 협력주체와 공유하고 소통하기 위한 <2024 K-Science and Technology 글로벌 포럼>이 1211()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경제·외교·안보 측면에서 과학기술협력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과학기술외교포럼(정부) 주한외교관 정책설명회(외교관) 국제공동연구 컨퍼런스(연구자)를 통합하여 진행되었으며, 57개 주한공관, 국제기구 담당자 87명을 포함해 정부 인사, 국제공동연구 책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유상임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최형두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통통신위원회),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 정병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이광형 KAIST 총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축사 4인

△ (시계방향으로) 정병선 KISTEP 원장김영식 NST 이사장

이광형 KAIST 총장, 최형두 의원

 

정병선 KISTEP 원장은 축사를 통해 글로벌 기술우위 확보와 국제사회의 역할 확대를 위한 전략적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원장은 인공지능, 양자, 첨단바이오 등의 신흥 핵심기술 분야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며, 기후변화와 사이버보안 등 글로벌 과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정 원장은 이번 포럼이 글로벌 연대와 협력 강화를 통해 과학기술 선도국가로서 방향성과 전략을 모색하는 중요한 논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채은미 교수

△ 채은미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기조연설에 나선 채은미 고려대 교수는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통한 청년 과학자의 성장을 주제로 연구 인력을 성장시키고 아이디어 및 자원, 장비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국제협력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얀르쿤 교수

△ 얀 르쿤 뉴욕대학교 교수


다음으로 세계적인 인공지능(AI) 분야 석학 얀 르쿤 뉴욕대 교수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현황과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인간 지능에 근접한 AI에 대해 일반인공지능(AGI) 대신 '고도화된 기계 지능'(Ambient Intelligence, AMI, AI가 인간의 친구처럼 업무를 보조하면서도 안전하게 통제 가능한 개념)이라는 표현을 쓰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며, 이 과정에서 글로벌 협력이 역할과 전망에 대해 소개했다.


 구혁채 과기부 기획조정실장

△ 구혁채 과기정통부 기획조정실장


이어진 세션에서는 4개의 주요 글로벌 주제를 다루었다. 세션 1에서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방향을 주제로 구혁채 과기정통부 기획조정실장이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중장기 추진 방향인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구 실장은 과기정통부가 민·관 협력을 통해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협력 생태계 고도화, 규제 완화, 지역별 협력 전략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해외 협력 자원을 공관 중심으로 통합하여 유럽, 미국 등 주요 지역과 협력 다변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중남미, 아프리카 국가들과 프로젝트를 확대하여, 과학기술 국제협력 전략위원회 신설과 협력 포럼 지속 개최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럽연합

세션2

△ 유럽연합, (아래 시계방향으로) 영국, 미국, 스웨덴, 베트남 주한 외교관


세션 2는 국가 간 과학기술 협력사례’를 주제EU, 영국, 미국, 베트남, 스웨덴의 주한 외교관들이 소속 국가와 한국 간 과학기술·ICT 국제협력 사례를 각각 공유했다


△(유럽연합) Horizon Europe 준회원국 가입 

(영국) AI 서울 정상회의 개최 

(미국) -미 과학기술·ICT 동맹 강화 

(베트남) -베트남 과학기술연구원(VKIST) 설립 

(스웨덴) -스웨덴 대학 간 연구협력 강화

 

세션3

△ (좌로부터)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조선학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국장, 황성훈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


표창 수여

△ 글로벌 R&D 유공자 표창 수여


세션 3‘2024 글로벌 R&D 성과 공유로 각 부처(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의 글로벌 R&D 정책과 성과를 소개하고, 올해 새로 시작된 주요 국제 공동 연구사업의 주요 내용 및 성과를 각 사업 참여자들이 직접 공유했다.


연구재단 백민정 실장

△ 백민정 한국연구재단 실장


마지막 세션에서는 ’Horizon Europe 참여설명회 및 글로벌 네트워킹에 대해 백민정 한국연구재단 국제협력기반실장이 우리나라 연구자들이 호라이즌 유럽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방안을 설명했다.


행사장 전경

△ 네트워킹 현장


최신동정 QR코드 https://www.kistep.re.kr/menu.es?mid=a10206040000

TOP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