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발간물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KISTEP 발간물
이슈페이퍼
[2020-14] 중소기업의 협력연구, 어떻게 활성화 시킬 것인가? - 중소기업의 협력연구 추진실태와 정책제언
- 등록자 조혜실
- 등록일 2020-09-25
- 분류 이슈페이퍼
- 조회수 11,675
[2020-14] 중소기업의 협력연구, 어떻게 활성화 시킬 것인가? - 중소기업의 협력연구 추진실태와 정책제언
□ 저자 : 안승구·최종민
□ 글로벌 경쟁 속에서 여러 불확실성과 위험성 극복을 위해 산학연 연구개발 협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각 국은 지식기반의 선진 국가 경제체제 구축을 위해 산학연 협력을 활용하고 있음. 우리 정부 또한 개방형 혁신의 일환인 산학연 협력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 및 추진 중이나 아직까지 단독 및 자체개발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본 이슈 페이퍼에서는 중소기업의 협력연구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원인을 알아보고 협력연구 촉진을 위한 정책 제언을 도출하고자 함
- 중소기업 기술통계 조사 결과 3,141개 기업 대상 약 400여개 기업의 응답 및 10개 중소기업 대상 인터뷰 실시
협력연구의 필요도는 낮게 나오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연구 경험 비율은 27%로 높지 않음
그 중 정부 과제 참여를 통한 산학연 협력이 가장 높았으며, 연구 동기 또한 정부 연구과제에 참여하기 위함이었음
중소기업의 협력연구에 대한 만족도는(5점 척도) 기업(3.91) > 공공연구기관(3.87) > 대학(3.72)
협력연구 수행 중 힘든 점은 ‘자사 내부의 연구개발 자금 부족’이 꼽힘
□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 수요자 맞춤형 다양한 협력 R&D프로그램 발굴, 과제당 연구비의 현실화, 지역단위 컨트롤타워 구축 및 적절한 파트너 발굴 지원이 필요
- 중소기업-대학,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 간 기술교류 및 공동연구 위한 네트워크 조성
- 대기업의 자발적인 상생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 필요
- 협력결과, 기술탈취 등 법적 분쟁 해소를 위한 지원 강화
- 맞춤형 인재 확보 방안 및 과도한 규제와 행정절차 감소 방안 등이 필요함
□ 저자 : 안승구·최종민
□ 글로벌 경쟁 속에서 여러 불확실성과 위험성 극복을 위해 산학연 연구개발 협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각 국은 지식기반의 선진 국가 경제체제 구축을 위해 산학연 협력을 활용하고 있음. 우리 정부 또한 개방형 혁신의 일환인 산학연 협력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 및 추진 중이나 아직까지 단독 및 자체개발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본 이슈 페이퍼에서는 중소기업의 협력연구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원인을 알아보고 협력연구 촉진을 위한 정책 제언을 도출하고자 함
- 중소기업 기술통계 조사 결과 3,141개 기업 대상 약 400여개 기업의 응답 및 10개 중소기업 대상 인터뷰 실시
협력연구의 필요도는 낮게 나오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연구 경험 비율은 27%로 높지 않음
그 중 정부 과제 참여를 통한 산학연 협력이 가장 높았으며, 연구 동기 또한 정부 연구과제에 참여하기 위함이었음
중소기업의 협력연구에 대한 만족도는(5점 척도) 기업(3.91) > 공공연구기관(3.87) > 대학(3.72)
협력연구 수행 중 힘든 점은 ‘자사 내부의 연구개발 자금 부족’이 꼽힘
□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 수요자 맞춤형 다양한 협력 R&D프로그램 발굴, 과제당 연구비의 현실화, 지역단위 컨트롤타워 구축 및 적절한 파트너 발굴 지원이 필요
- 중소기업-대학, 중소기업-공공연구기관 간 기술교류 및 공동연구 위한 네트워크 조성
- 대기업의 자발적인 상생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 필요
- 협력결과, 기술탈취 등 법적 분쟁 해소를 위한 지원 강화
- 맞춤형 인재 확보 방안 및 과도한 규제와 행정절차 감소 방안 등이 필요함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전략기획센터
- 담당자 김다은
- 연락처 043-750-2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