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국민참여
묻고답하기
세계최초로 개발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지원여부
- 등록일2024-12-16
- 분류기타
- 조회수78
저희 회사는 아주 작은 중소기업입니다. 주로 제조하는 제품이 전조(ROLL FORMING)공정을 통해 워엄기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조공정에 대한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고형워엄은 최소 4축 이상의 가공기계를 활용하여 절삭가공으로 생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절삭후 치면의 조도로 인해 상대치차가 마모되는 현상이 있어서 후처리 공정으로 치면연삭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공시간, 비용 의 증가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평행워엄에 비해 전달토크를 크게 할 수 있으며 같은 전달토크라면 그 형상을 작게 할 수 있음에도 상기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대량생산이 필요한 곳에서는 사용될 수 없었습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조공정으로 장고형워엄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고 이제까지 전세계에 없던 공법입니다. 이를 위해 몇가지 기구의 시제작 등을 해 보면서 기본적인 설계를 보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실제적인 설비를 제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의 소성가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를 마쳤습니다.
작은 기업이다 보니 기술적인 배경도 약하고 제작시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서 진행에 애로를 겪고 있습니다.
이런 과제는 최초 과제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25년도 R&D예산으로 지원이 가능한지 여쭤봅니다.
일반적인 평행워엄에 비해 전달토크를 크게 할 수 있으며 같은 전달토크라면 그 형상을 작게 할 수 있음에도 상기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대량생산이 필요한 곳에서는 사용될 수 없었습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조공정으로 장고형워엄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고 이제까지 전세계에 없던 공법입니다. 이를 위해 몇가지 기구의 시제작 등을 해 보면서 기본적인 설계를 보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실제적인 설비를 제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의 소성가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를 마쳤습니다.
작은 기업이다 보니 기술적인 배경도 약하고 제작시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서 진행에 애로를 겪고 있습니다.
이런 과제는 최초 과제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25년도 R&D예산으로 지원이 가능한지 여쭤봅니다.
* 접수이후로는 수정/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답변내용
- 답변자고범수
- 답변일2024-12-23
안녕하세요, 홈페이지 담당자입니다.
문의주신 내용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답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SinmungoFaq.do)을 통해서 문의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주신 내용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답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SinmungoFaq.do)을 통해서 문의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