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국민참여
묻고답하기
초순수 명칭 사용에 대한 문의
- 등록일2025-04-24
- 분류기타
- 조회수79
안녕하세요, 국내 초순수의 기준에 대하여 검색중
[KISTEP+브리프]+초순수(Ultrapure+Water).pdf
를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의 "1.2. 기술의 정의 및 범위" 의 첫줄을 보면,
(초순수의 정의) 고순도 공업용수는 적용 공정에 따라 수질 기준이 다르지만, 보통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고순도 공업용수를 '초순수'라 지칭
이라고 되었습니다.
다만, 현재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정제수들을 검색하여 보면, 대다수의 제조사와 브랜드에서
해당 정제수의 상품명에 '초순수' 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들을 보면,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이용되도록 기준에 맞춰 제조한 '초순수' 가 아님에도
'초순수' 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단순히
여러 오염물질 유형에 대해 물이 최고 수준의 순도로 처리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에서 정의한 '초순수'의 보통 정의와 다른데,
해당 제품들에 '초순수' 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KISTEP+브리프]+초순수(Ultrapure+Water).pdf
를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의 "1.2. 기술의 정의 및 범위" 의 첫줄을 보면,
(초순수의 정의) 고순도 공업용수는 적용 공정에 따라 수질 기준이 다르지만, 보통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고순도 공업용수를 '초순수'라 지칭
이라고 되었습니다.
다만, 현재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정제수들을 검색하여 보면, 대다수의 제조사와 브랜드에서
해당 정제수의 상품명에 '초순수' 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들을 보면,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이용되도록 기준에 맞춰 제조한 '초순수' 가 아님에도
'초순수' 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단순히
여러 오염물질 유형에 대해 물이 최고 수준의 순도로 처리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에서 정의한 '초순수'의 보통 정의와 다른데,
해당 제품들에 '초순수' 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접수이후로는 수정/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답변내용
- 답변자고범수
- 답변일2025-05-20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문의 주신 내용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먼저, 본문에 언급된 것처럼 ‘초순수(ultrapure water)’는 단일하고 명확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초순수의 수질 특성은 적용 산업(수요처)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는 ASTM, SEMI 등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정의됩니다.
KISTEP 브리프에서 “보통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고순도 공업용수를 초순수라 지칭”한다고 기술한 이유는,
반도체 산업이 초순수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질 수준과 첨단 수처리 기술을 요구하는 대표적인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국내에는 ‘초순수’에 대한 법적 또는 공통의 기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따라 국제 기준을 참조하여 초순수에 준하는 물을 생산/사용하는 방식이 보편적입니다.
따라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정제수가 반도체 공정 수준의 수질 기준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초순수’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품의 실제 수질 성상(예: 비저항, TOC, 입자성 오염원 등)이 초순수에 대한 국제적 기준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단, 개별 제품의 성능이나 기준 충족 여부에 대해서는 저희가 직접 판단하거나 확인드릴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