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 수립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4-24
  • 등록일 2018-05-14
  • 권호 118

 

○ 과기정통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에서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심의‧확정할 계획 

 

  ※ 미래소재는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소재.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 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핵심영역을 뒷받침 할 원천소재 

 

 - ‘15년부터 소재기술 혁신을 위한 정책을 수립을 논의해 온 결과 구체적인 중장기 세부전략을 마련 

 

 -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사회의 메가트렌드인 초연결·초고령·지속가능·안전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기술적·사회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대응하는데 필요한 30대 미래소재를 도출한 것이 이번 전략의 핵심 

 

  ※ 초연결 사회를 위한 스마트소재(8개), 초고령 건강사회를 위한 웰니스 바이오소재(9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변화 대응소재(5개), 재해·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안전소재(8개) 등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