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반도체 산업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반도체산업협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6-18
- 등록일 2020-07-17
- 권호 171
반도체산업협회(SIA)는 미국 반도체 산업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20.6.)
* 2020 State of the U.S. Semiconductor Industry
’19년 세계 반도체 산업 시장 총 매출액은 전년대비 12% 감소한 4,123억 달러(약 495조원)을 기록
- ’19년 반도체 시장은 메모리 제품의 수요 감소에 따라 통신(-10.5%), 컴퓨터(-18.7%), 소비자(-5.2%), 자동차(-6.9%), 산업(-13.0%) 등 매출액이 급락
- 반도체 시장 비중은 미국(47%), 한국(19.0%), 일본(10%), 유럽(10%), 대만(6%), 중국(5%)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은 로직 반도체와 아날로그 반도체에서 시장을 주도하고, 한국, 유럽, 일본은 메모리와 광개별 소자 부문에서 강점
- 미국은 반도체 설계부터 제조, 판매까지 참여하는 종합 반도체기업(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부문에서 세계 시장의 51%, 팹리스 부문에서 65%를 차지
그동안 미국은 반도체 산업 설비와 인력에 대한 강력한 투자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우위를 점하였으나, 최근 대만과 한국의 추격이 빠르게 상승
- ’10년 미국과 대만・한국간 기술격차는 2년에서 ’19년 현재 격차가 거의 사라짐
- ’01년 거의 30개에 달했던 첨단 반도체 기업 수는 기술 개발에 드는 많은 비용과 어려움으로 이제 세계 최고 반도체 기술 기업은 미국, 대만, 한국의 5개 기업에 불과함
갈수록 미국 반도체 생산 투자액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투자 규모로 볼 때, 한국(31%)이 미국(28%)을 제치고 1위를 차지
- ’19년 기준, 반도체의 12.5%만이 미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79%가 아시아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30년에도 아시아의 비중이 83%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
COVID-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타격, 반도체 산업 내 혁신 비용 증가, 아시아국가 추격 등을 고려하여 제조, 인력, 무역, 지식재산권 분야의 지원 확대를 제언
- (연구) 반도체 기술 개발 정부 투자를 현 15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증액하고, 소재과학, 컴퓨터공학, 응용수학 등 반도체 관련 R&D 연방투자 2배 확대
- (국내제조) 첨단 로직 파운드리, 첨단메모리, 아날로그 반도체 시설을 미국 국내로 유치하도록 신규 제조지원금 프로그램 신설
- (인력) STEM 부문 졸업생이 미국 반도체 산업에 근무하도록 이민제도를 개혁하고 2029년까지 STEM 교육 투자를 50% 늘려, 졸업생을 두배로 확대
- (무역・지식재산권)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포함해 자유무역협정을 승인하고 현대화해 지식재산권 보호 및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