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변혁 가속화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동우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6-26
  • 등록일 2020-07-17
  • 권호 17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경제동우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코로나 위기를 계기로 디지털 변혁 가속화 추진을 공표(’20.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New Normal)’이 장기화 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디지털 변혁(Digital Transformation)의 본격적 가속화가 필요


  - 디지털 선진국과의 격차가 점점 커져 경제가 정체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현재 정부나 기업이 즉시 추진해야 할 정책을 정리

 

1) 신성장 원동력으로의 기업 디지털 변혁(DX)


 -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일본 기업의 회생은 향후 가장 중요한 과제로, 경제의 핵심인 기업은 적극적인 디지털 투자를 통해 파괴적 신사업 창출, 데이터 활용 등 가치 창출에 도전하고 디지털 변혁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


 - 5월에 가결된 개정 국가전략특구법(슈퍼시티법)에서 슈퍼시티는 데이터 연계기반을 중심으로 AI,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세계 최첨단 도시를 건설하는 과감한 개혁으로 그 의의가 큼

 

 => 지자체는 기존의 발상을 뛰어 넘어 대담한 구상을 제안해야 하며, 기업은 지자체와 함께 신사업 창조의 무대로의 슈퍼시티 틀을 적극 활용해야 함

 

2) 사용자 관점 및 신뢰에 기초한 데이터 연계 추진


 - 개방화된 정부 보유 데이터 및 교통, 통신, 전력 공급 등 기업 보유 데이터도 공공재로 활용

  

  ※ 코로나19 대책의 일환으로 플랫폼 사업자 및 이동통신 사업자가 위치 정보나 검색 이력 등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함


 - 기업간 다양한 데이터 연계가 진행될 경우,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게 되어, 생활의 편의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짐

데이터 연계를 통한 가치 창조()

운송회사 간 화물차 관련 정보 연계를 통한 물류의 효율화, 인력부족 완화

각 교통수단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최적 경로수단에 의한 이동 서비스 제공(MaaS; Mobility as a Service)

일상과 관련된 제반 절차, 지급수급결제 등의 원스톱화

효과적효율적 의료돌봄 서비스 제공 및 개인의 수요에 맞춘 다양한 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 일본은 신뢰도가 높은 자유로운 데이터 유통(DFFT: Data Free Flow with Trust)을 제창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등 데이터 유통활용 관련 법 정비

  

  ※ 데이터 제공시 인센티브 설계, 디지털 거버넌스 코드 활용, 데이터 주권 명확화

 

3) 행정 절차의 디지털 변혁 가속화로 위기에 강한 디지털 정부 조기 실현


 - 디지털 정부 구축 지연은 코로나 위기에 대한 대응에서 여러 차례 문제 야기

  

  ※ 긴급경제대책의 일환으로 특별전액급부금(1인당 10만엔)’을 온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는 마이나포털과 지자체의 정보시스템이 연계되어 있지 않아 수작업으로 조회하여 상당한 시간소요


 - 포스트 코로나 사회에서 위기에 강한 디지털 정부를 구축하기 위해 제반 행정 절차의 디지털 변혁 가속화 급선무이며, 관련 전략 등을 담당하는 인재 확충이 필요


 - 마이넘버* 제도의 문제점 해결과 경제사회와 디지털 정부의 인프라로 마이넘버 제도의 활용 확대를 위한 근본적 개혁 필요

  

  * 개인별로 부과되는 12자리 번호로 한국의 주민번호에 해당

4) 디지털 변혁, 데이터 연계 추진 관련 구체적 과제를 해결하는 민관 검토 강화


 - 일본의 디지털 변혁 추진을 위해 정부의 IT 종합전략본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협의체에서 전략과 시책을 검토


 - 특히, 정책 구축 프로세스에서 구체적인 과제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빠르게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


 - 예를 들면, 코로나 위기로 재택근무 추진 시 문제가 된 서면대면 원칙’, ‘날인 원칙의 경우 규제개혁추진회의가 중심이 되어 정부와 경제 단체간 의견교환의 장을 마련


 - 민관 데이터 활용 추진 전략회의, ‘민관 데이터 활용 추진 기본계획 실행위원회’, ‘오픈 데이터 민관 원탁회의등 다양한 협의체를 통해 개인과 기업이 직면한 문제점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하고 해결 방안 모색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