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AI 분야 인력 수요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안보유망기술센터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0-08-03
- 등록일 2020-08-21
- 권호 173
안보유망기술센터는 미국 내 AI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 특성과 변화를 분석*(’20.8.)
* U.S. Demand for AI-Related Talent
※ 미국 내 45,000개 이상의 온라인 구직 사이트 내용을 통합한 버닝 글라스(Burning Glass)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인력에 대한 수요 특성을 분석
’19년까지 총 3,390만 건의 구인 공고 중 AI 관련 일자리로 310만 개 차지
- 일자리 요구 역량에 따라 핵심 AI 기술*과 AI 관련 기술**로 구분
* 핵심 AI 기술 : 인공지능, 데이터 사이언스, 머신러닝, 자연어 처리
** AI 관련 기술 : 자동화 공학,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 사이언스, 경제학, 수학적 모델링
- 핵심 AI 기술 관련 일자리는 4%에 불과한 반면, AI 기술을 다른 부문에 통합・적용하기 위한 관련 기술 일자리는 89%에 이름
- AI 관련 기술 일자리 공고는 2010년 112만개에서 2019년 309만개로 거의 3배 가까이 증가
- AI 관련 기술 인력 일자리 수요가 ’17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지난 10년간 AI 관련 일자리에 요구되는 교육수준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으며, 학사학위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
- 핵심 AI 기술 관련 일자리는 80%, AI 관련 일자리는 83%가 학사 학위를 요구
- 반면, 핵심 AI 기술 관련 일자리와 AI 관련 일자리는 석사 학위자가 각각 12%, 4%로 나타났고, 박사학위자의 경우는 6%, 2%로 나타남
향후 AI 기술이 R&D를 넘어 제조・금융・행정 등의 분야로 적용됨에 따라 AI 관련 인력의 수요는 보다 폭넓은 산업으로 빠르게 증가할 전망
- 산업별로 보면 ’19년 전문・과학・기술 서비스 분야가 가장 많은 60만 명 정도의 AI 일자리 수요가 나타났으며, 그 뒤로 제조업, 금융・보험업이 따르고 있음
- 행정부문은 ’19년 20만 건 이상의 일자리 수요가 있으며, 정보 산업의 경우에도 약 15만 건에 이름
- 다양한 산업과 지역의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숙련 인력 양성과 함께, 기술 적용과 통합을 촉진할 학사급 AI 인력 공급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