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글로벌 희토류 공급 시장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전략국제문제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0-07-22
- 등록일 2020-08-21
- 권호 173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중국이 글로벌 희토류 공급사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향후 시장을 전망*(’20.7)
* Does China pose a threat to global rare earth supply chains?
중국은 첨단기술 산업에 필수적인 17개 광물을 포함하는 희토류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우위를 보유
- ’08년~’18년 간 중국은 40만 8,000톤의 희토류를 수출해 전체 수출량의 42.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9.3%), 말레이시아(9.1%), 호주(9.0%) 순임
- ’19년 중국 전체 희토류 수출 규모 중 일본(36%), 미국(33.4%), 네덜란드(9.6%), 한국(5.4%), 이탈리아(3.5%) 등 5대 국가가 전체 수출량의 88%를 차지
- 중국은 해외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는 반면, 중국 기업에는 안정적으로 원자재를 공급
* ’90년 후반부터는 중국 희토류 수출량에 쿼터를 적용해 선진국 기업의 광물 입수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14년 WTO에 의해 중국 쿼터제를 폐지
- ’85~’95년까지 중국 희토류 수출량은 8,500톤에서 48,000톤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시장점유율도 21.4%에서 60.1%로 증가
미・중간 무역 분쟁으로 중국은 글로벌 희토류 산업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중국의 희토류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 ’19년 시진핑 주석은 미중 무역 분쟁과정에서 미국산 희토류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올려 이를 활용할 의사를 표명
- 미국 및 다른 국가들도 공급 채널 다양화를 통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자 하나, 여전히 공급 대부분을 중국 희토류에 크게 의존
향후 미국, 호주 등 국가의 희토류 공급이 증가하면서, 글로벌 희토류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점차 낮아질 전망
- 중국의 소득이 높아지면서 예전과 같은 값싼 노동력의 이점을 누리기가 어려워 졌으며, 환경 관련 법제의 강화로 인해 중국 내 채굴과 가공 비용이 높아짐
- 중국 외 브라질, 베트남, 러시아, 인도 등도 다량의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호주・일본 간 중국 희토류 공급 의존을 줄이기 위한 협력프로젝트 추진
- 중국 내 재생에너지・전기자동차 제품 소비 증가로 희토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향후 중국 이외 국가의 희토류 시장 비중이 높아질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