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양자 인터넷 개발을 위한 청사진 제시하며 시장 선도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에너지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7-01
  • 등록일 2020-08-21
  • 권호 173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차세대 인터넷 기술로 주목받는 양자 인터넷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양자(Quantum) 인터넷은 양자의 특성인 작은 파동(Pulse)에 정보를 입력해 인터넷이 작동하도록 하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정보 양이 증가하면 속도가 느려지는 기존 인터넷과 달리 정보량이 아무리 증가해도 속도가 거의 떨어지지 않고 보안 기능도 우수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세계적으로 양자 역학을 활용한 통신 시스템 구축은 미래 가장 중요한 기술적 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과학자들은 프로토타입 개발이 향후 10년 내 실현 가능할 것으로 전망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2020MIT 10대 혁신기술에도 해킹 불가능한 인터넷(Unhackable Internet)’ 기술이 첫 번째로 꼽히며 양자 인터넷이 가져올 막대한 영향력을 입증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미국 정부는 새해 예산안을 발표(2.10)하면서 해킹이 어려운 국가 양자 인터넷2,500만 달러(300억 원) 투자 계획을 밝히고 양자 컴퓨팅 연구 지원을 강화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미국, 빠른 속도와 우수한 보안성을 갖춘 양자 인터넷 개발 속도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미국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는 산하 국립연구소 및 민간 사업자와 함께 범국가적 양자 인터넷 구축을 위한 구체적 청사진을 담은 보고서 발표(7.23)


 - 올 초부터 양자물리학자 등 각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작성한 보고서로 지난 2018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 법안(NQI: National Quantum Initiative Act)에 근거


4-1.PNG

- 해당 보고서에는 양자 역학에 기반을 둔 통신망 구축의 기술적 과제, 수행해야할 필수 과제, 로드맵 등을 담고 있으며 향후 10년 내 양자 인터넷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표로 제시


4개의 연구방향 우선순위(Priority Research Directions)5개의 로드맵 마일스톤(Roadmap Milestones) 정리


- 아울러 양자역학을 활용해 정보를 더 안전하게 공유하고 차세대 컴퓨터와 센서를 연결하는 두 번째 인터넷 개발에 초점


- 이를 위해 미국 전역에 흩어져 있는 17개 국립 연구소가 양자 인터넷 구축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정부의 자금 지원도 확대 전망


4-2.PNG


4-3.PNG

4-4.PNG

그림입니다.
<br>
<br>원본 그림의 이름: 이미 올 2월 일리노이주 DOE 아르곤 국립연구소(ANL)와 시카고대학 연구진은 시카고 외곽지역에서 양자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에 성공하며 글로벌 연구 허브로 주목


 - 52마일 거리에 큐빗 얽힘을 구현해 세계에서 가장 긴 지상 양자 인터넷 네트워크를 확립했으며 조만간 일리노이주 페르미랩(Fermilab)에 연결해 80마일 길이의 테스트베드를 조성할 계획


 - 아르곤 국립연구소는 미 전역의 양자 인터넷 구축 문제를 해결하며 과학자엔지니어의 막강한 역량을 활용하기 위해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언급


4-5.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