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글로벌 주요 산업 전망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일본종합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8-22
- 등록일 2020-09-04
- 권호 174
□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일본종합연구소는 ’20년 상반기 글로벌 주요 산업 전망을 발표(’20.8.)
○ 세계적으로 코로나 19에 의한 경제활동 침체로 최대 경제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갈수록 장기화됨에 따라 이와 관련 현황 및 전망을 분석
1) 전자부품・반도체
⦁’17~’18년까지 자동차 전자화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으로 시장이 확대되었으나, 현재 수요의 감소와 스마트폰 생산량 축소로 올해 시장은 큰폭으로 하락 |
- 반도체 업계는 AI・IoT 분야로 전환, 성장 분야 경쟁력 강화, 비용 경쟁력 향상 등을 위해 M&A 추진 중
- 중국 기업의 대형 투자 움직임이 눈에 띄며, 중장기적으로 반도체업계(메모리 NAND, DRAM 등)의 수익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
- 차량 내 장착물(카메라 등) 분야 강화 및 5G 대응 스마트폰 수요에 대응하는 고주파수대 전자부품 연구개발 강화
2) 자동차
⦁전 세계 자동차 판매대수는 미국 시장의 포화상태, 미중 무역 마찰 등으로 인한 중국 시장 하락 등으로 2년 연속 전년 대비 감소 |
- ’20년 이후, 자동차의 CO2 배출량 업계 평균 목표치가 엄격해 지고, 완성차 제조사가 기준을 포과할 경우 규모에 따라 벌금 부과
- 따라서 유럽시장 완성차 제조업체의 파워트레인 관련 전략이 주목
- 코로나 확산으로 공장 정지나 가동률 저하로 판매 대수는 더욱 줄어들 전망
3) 정보서비스
⦁일본 정보 서비스 산업은 경기 회복에 의한 기업 실적 개선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진전 등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일부 수급이 어려운 상황이나, 장기적으로는 DX 투자 활성화로 시장 규모가 확대될 전망 |
-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 축적・분석을 통해 생산성 향상 및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지는 IoT 활용은 기업 경쟁력의 원천이 될 전망
- 기업의 클라우드 활용 증가로 IoT 관련 투자 확대
- IoT 관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고급 IT 인력 획득 경쟁 심화로 인공서열 중심 급여체계 재검토 및 전문직 고액보수제도 마련 등 정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