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미래 과학기술 사회 구상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9-02
- 등록일 2020-09-18
- 권호 175
□ NISTEP은 올해 과학기술예측조사에서 사회의 미래상과 과학기술의 미래상을 비교(’20.6.)
○ 최근 과학기술이 사회의 요구에 어떻게 부응할 수 있는지에 주목이 집중됨에 따라 백캐스팅(backcasting)과 포캐스팅(forecasting)을 비교・통합하여 분석
- 목표로 하는 사회 실현을 위해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를 보는 것이 백캐스팅이며, 미래의 유망한 과학기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어떤 사회를 실현할지 현재를 기점으로 미래를 유추하는 것이 포캐스팅임
* 백캐스팅은 사회의 미래상으로부터 과학기술의 미래상을 검토하는 시나리오 기법인 반면, 포캐스팅은 과학기술의 미래상으로부터 사회의 미래상을 유추
- 본 조사에서 사회와 과학기술의 미래상을 백캐스팅과 포캐스팅 기법으로 도출하고 향후 요구되는 과학기술 관점을 제시
1) 사회 미래상
- 사회변화 대응, 건강, 활동 확장, 지속가능성, 재해 대응 등은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도출된 반면, 백캐스팅에는 과학기술만으로 실현할 수 없는 사항이나 사회적 요소의 중요성이 나타남
2) 과학기술 미래상
- 사회 미래상과 같이 지속적으로 중요성이 높을 과제에 대한 대응이 도출
- 백캐스팅에서는 사회 인지도가 높은 과학기술은 추출되었으나 구현 후 구체적 이미지가 어려운 기반적 과학기술은 도출이 안됨
3) 기본시나리오와 공통된 영역
- 구체적으로 사회적 미래상에서는 기초적 영역을 제외하고 두 기법의 공통점이 많았으나, 과학기술 미래상은 부합도가 낮은 경향을 보임
4) 두 기법을 통해 도출된 과학기술 관점
- 백캐스팅에서 나타난 새로운 가치, 새로운 사회에 적합한 과학기술 중요
* 가치의 재발견, 정신적 충족, 과학기술 거버넌스 등
- 포캐스팅에서 추출된 기반적 과학기술, 미래기술은 미래 사회과제를 해결하는 데에 중요하다는 인식 필요
* 기반분야(ICT, 재료, 관측, 시뮬레이션), 기초과학(우주과학), 첨단기술(차세대 통신/암호기술, 원자/분자 분석기술, 양자기술
- 공통적으로 추출된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과제의 지속적인 추진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