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틱톡 인수 경쟁 치열…중국 정부의 기술수출규제 개정안 변수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Reuter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8-30
- 등록일 2020-09-18
- 권호 175
□ 월마트·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기업, 틱톡 인수戰 속속 합류
○ 개인정보 유출, 국가안보 위협, 국가경제 저해 등의 이유로 7월 초 틱톡 사용 금지 방침을 밝힌 트럼프 대통령은 한 달여 만에 행정명령에 서명(8.6)
-미국 기업의 틱톡 인수를 고려해 45일간 인수 협상 기간을 두었으며 이후에는 특톡 모회사 바이크댄스와 모든 거래를 금지하겠다는 것이 골자
○ 이 외에도 미국 주요 정치인사, 의회 등에서 틱톡을 겨냥한 강경 발언이 이어지면서 틱톡의 미국 내 비즈니스는 위기 직면
○ 이 같은 배경 하에 미국 주요 IT기업은 보안 문제를 해결하며 틱톡 서비스를 지속하는 동시에 자사 비즈니스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인수 추진 본격화
※ 금년 4월 세계적으로 20억 다운로드(누적)를 기록했으며 올 1분기에만 3억 1,500만 다운로드(신규)기록
-막대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가장 유력한 인수 후보자로 거론되고 있는 MS를 비롯해 MS와 협력해 인수전 참여를 공식화(8.27)한 월마트 행보 주목
- 또한 오라클은 바이트댄스 투자사인 미국 사모펀드운용사 제너럴애틀랜틱・세쿼
이어캐피털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MS의 강력한 대항마로 부상
- 한편 SNS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인수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던 트위터는 구체적
일정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틱톡을 활용해 광고시장 진출이 예상됐던 넷플릭스도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관측
○ 특히 세계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가 가장 먼저 틱톡 인수 협상을 시작한 MS와
연합해 인수전에 참여하면서 업계 이목 집중
- 월마트가 틱톡 모바일 비즈니스 역량을 확보할 경우 온라인 마켓, 광고시장
등에서 단번에 경쟁력을 확보하며 온라인・모바일 시장 진출・확대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 인수 추진 배경
- 특히 틱톡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높은 호응을 얻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겨냥해 월마트 제품과 광고・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
- 또한 향후 아마존 프라임과 같은 정기구독서비스 출시를 준비하는 월마트가
틱톡을 인수할 경우 미국 내 틱톡 가입자를 자사 정기구독 서비스의 잠재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소프트뱅크는 어떠한 형태로 인수 협상에 참여할지 공식적으로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으나 검토 단계에 있으며 조만간 인수제안서를 제출할 것으로 예상
- MS・월마트・오라클 등 경쟁사 대비 시기적으로 늦었지만 바이트댄스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협상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
※ 소프트뱅크는 2018년 바이트댄스에 18억 달러(약 2조 1,300억 원)를 투자하는 등
총 30억 달러(약 3조 5,600억 원) 투자 단행
- 다만 미국 정부가 틱톡 인수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기업이 지지를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며 일각에서는 미국 기업과 연계해 공동 인수 가능성도 제기
□ 틱톡 인수戰, 중국 정부의 AI 기술 수출 규제 강화 발표로 새로운 국면 진입
○ 중국 상무부・과학기술부는 2008년 이후 12년 만에 이례적으로 주요 첨단기술을
수출 규제 목록에 포함시키는 ‘기술 수출 규제 개정안’ 발표
-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에 기반을 둔 개인정보 서비스
기술을 포함해 다수의 컴퓨터 서비스 산업 분야 첨단기술과 민감한 기술이
이번 수출 규제 개정안 목록에 포함
- 해당 기술을 해외로 수출할 경우 정부(상무부)에 미리 신청서를 제출하고 허가를
받아야 하며 기술 수출을 위한 예비승인을 받는 데 최대 30일 소요 예상
- 이번 규제 개정안에서 틱톡을 명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분석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틱톡이 글로벌 기업에 매각될 경우 제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한 셈
- 즉, 중국 기업 압박 수위를 높이는 미국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대신에 기술
수출을 차단하여 우회적으로 글로벌 기업의 틱톡 인수를 차단하려는 취지로
풀이
- 중국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바이트댄스가 해외 기업에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은 기술 수출의 한 형태에 해당한다며 매각 협상 중단을 검토해야한다는
입장
○ 이로써 틱톡 인수 의사를 밝힌 MS・오라클・월마트・소프트뱅크 등은 인수자로
선정되어도 중국 정부의 매각 승인 여부가 최종 결정을 가늠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