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북극 연구계획(2017-2021)」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1-13
  • 등록일 2017-01-16
  • 권호 86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의 북극연구정책위원회*(IARPC)는 향후 5년간 북극연구지원을 위한 북극연구계획

   (2017-2021)**을 발표 (‘16.12.) 

 

  * IARPC(Interagency Arctic Research Policy Committee)는 14개 연방기관과 부서로 구성되어, 북극연구위원회, 알래스카

    주지사, 북극 주민과 협의하여 계획 수립  

 

  ** The Arctic Research Plan 2017-2021 

 

○ 최근 알래스카 등 미국 북극 지역의 기후적·환경적·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생태계와 주민 거주지의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

    개발역량이 필요 

 

○ 북극연구계획(2017-2021)은 알래스카, 북극, 지구에 대한 정부 정책 방안 개발을 위해 향후 5년간 수행될 연구의 목적 등을 제시 

 

 - (건강·삶의 질) 인간, 야생, 환경, 기후 간 관계 조사  

 

 - (대기) 수증기, 강우, 에어로졸, 가스 등 북극 대기 구성변화와 체계 이해 

 

 - (해빙) 해빙의 두께, 총량 부피 변화를 지역 및 시간대별로 측정  

 

 - (해양생태계) 생태서식지의 발전과 유지 요인 파악 

 

< 북극 연구 계획(2017-2021) 목적 >

 

연구 목적

세부 내용

건강 및 삶의 질 

북극 지역 거주민의 건강 결정 요인 및 삶의 질 향상

대기

북극 대기 구성의 변화 과정과 체계 이해 및 지표 에너지 수지 변화 평가

해빙

북극의 해빙 변화 및 예측

해양 생태계

북극 해양 생태계의 구조와 기후 시스템에 미치는 역할

빙하·빙모·그린란드 빙상

빙하, 빙모, 그린란드 빙상의 질량 변화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 및 예측

영구동토*

영구동토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이 변화가 생태계, 사회기반시설, 기후에 미치는 영향

지표 및 담수 생태계

북극지역의 지표 및 담수 생태계 상향

해안 재해 방지

해안 거주지의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및 해안지역 자연 및 문화적 자원 관리 개선

환경 정보

정책 결정을 위한 환경 지식 습득

  * 섭씨 0도 이하의 온도를 최소 2년간 유지한 토양 

○ 추진전략으로 범학제적 연구, 장기관측, 지역주민 참여촉진, 국제협력 등을 제시  

 

 - 범학제적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지원하고 보다 광범위한 차원 연구에 기반을 둔 모델링과 통합 촉진  

 

 - 효율적 데이터 제공을 위해 북극 및 생태계에 대한 장기적 관측과 연구 지속  

 

 - 지역 지식에 능통한 북방 거주자를 연구에 참여  

 

 - 북극 연구를 강화하고, 사회기반시설과 배송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국제협력 촉진  

 

□ 북극연구정책위원회(IARPC)는 지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을 위해 웹 플랫폼인 IARPC

   Collaboration을 구축하여 다양한 구성원의 참여를 독려  

 

< IARPC Collaboration 웹페이지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