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과학연구역량 현황 및 과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1-13
  • 등록일 2017-01-16
  • 권호 86

□ 과학기술정책연구소는 일본 과학연구능력의 현황 및 과제를 전망한 「일본 과학연구역량 현황 및 과제」개정판을

   발행(‘16.12.) 

 

○ 일본의 논문 수는 10년 전에 비해 큰 차이가 없으나, 다른 국가의 논문수 증가로 순위 하락 

 

< 국가별 논문수 및 주목도가 높은 논문수(Top 10) 상위 10개국 > 


□ 과학연구 과제로 대학 기초연구력 강화, 연구시간 확보, 신진·중견연구자의 독립 연구 장애, 연구지원인력, 정책

   효과 파급 저해 등을 제시  

 

  ※ NISTEP, 과학기술 현황에 대한 종합적 의식조사(‘15)에 근거하여 도출  

 

1. 대학 기초연구력 강화 

 

○ 기초연구력 향상을 위한 충분한 연구시간 확보가 중요 

 

< 기초연구력 향상을 위한 필요 정책 > 

 

2. 연구시간 확보를 위한 정책  

 

○ 직무활동 내 연구시간 비율을 절반 정도 확보하는 것을 이상적이라고 답변 

 

< 업무시간에 관한 이상과 현실 > 

 

3. 신진·중견 연구자의 독립된 연구 장애 요인  

 

○ 단기간 성과 요구, 대형 과제에 따른 한시적 고용, 고용 불안, 안정적 연구자금 확보, 연구행정 부담 등으로 스스로 제안 연구

    주제 도전 불가능  

 

4. 연구지원인력 

 

○ 대부분 연구지원 인력 육성 부족하고, 학과별로도 인식 차이가 나타남  

 

< 연구지원인력 확보에 대한 인식 > 



























구분

대학

공공연구기관

자연과학

공학

농학

보건

전문인력 육성

및 확보 현황

2.4

2.1

2.6

2.5

1.7

2.1

※ 문제없음(지수 5.5이상), 상당히 불충분(2.5이상~3.5 미만), 심각하게 불충분(2.5미만)

 

5.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정책 효과 파급 저해 요인  

 

○ 정책이 단발적으로 실시되고 지속성이 없어, 효과가 파급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