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노벨 수상자 배출을 위한 연구 환경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01-13
- 등록일 2017-01-16
- 권호 86
□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은 오스미 요시노리 도쿄공업대 명예교수의 노벨상 수상을 가능하게 한 일본의
연구환경 관련 전문가 대담 내용을 발표(‘16.12.)
○ 최근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자연과학계 분야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임
< 국가별 노벨상 수 추이 > | < 국가별 노벨상(자연과학계) 수상자수 > | ||||||||||||||||||||||||||||||
|
|
○ ‘16년 10월 오스미 요시노리(71세) 명예교수는 노벨상 생리의학(medicine) 부문에서 오토파지(자가포식) 메카니즘 해명으로
수상
- 노벨재단이 공표한 오스미 교수의 주요 논문 4개 중 2개는 도쿄대 재직중 발표한 것이며, 나머지 2개가 기초생물학연구소
시절에 발표
< 오스미 교수 소속기관 >
- ‘96년 논문의 피인용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98년 이후 자금획득이 증대, 13년간 기초생물학 연구소 재직시절 가장 많은 논문이
배출
< 논문 피인용수 > | < 과학연구비 보조금액> |
□ 오스미 교수의 노벨수상 배출 요인으로 연구실의 자유로운 환경과 글로벌화, 기반경비를 성공요인으로 제시
○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금, 연구 장비의 공동이용, 수준 높은 기술인력 확보
○ 노벨수상자의 성과는 20~30년 전의 성과인 경우가 많으나, 재정이 어려운 지금의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연구시스템을 구축
-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는 다양성이 중요하며, 연구비가 논문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이노베이션 창출이 가능하도록 실패
허용이 중요
< 전문분야의 다양성과 이노베이션 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