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10대 로봇 기술 트렌트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1-27
- 등록일 2017-02-01
- 권호 87
□ 인터내셔널데이터그룹(IDC)는 ‘17년~‘20년에 예상되는 10대 로보틱스 기술 트렌트 전망 보고서*를 발표(‘16.12.)
* IDC FutureScape: Worldwide Robotics 2017 Predictions
○ 로보틱스 기술혁신에 따라 다양한 산업에서 기업의 운영 패러다임이 변화될 전망
- 단기적으로 소형 협업로봇이 도입되고, 중장기적으로 기업 내 로봇최고책임자 직위 신설, 전자 상거래 로봇 도입과 지능형
RoboNet 등장
< 2017-2020년 10대 로보틱스 트렌드 전망 >
(1) 서비스형 로봇 사업 등장
○ ‘19년까지 상업적 로봇 어플리케이션의 30%가 로봇을 대여하는 서비스형 로봇(robot-as-a-service) 사업 모델을 채택하여
로봇 도입 비용 절감
(2) 최고로봇책임자(Chief Robotics Officer, CRO) 등장
○ ‘19년까지 선도 기업의 30%가 최고로봇책임자나 로봇기술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직위와 기능을 기업 내 설치
(3) 로봇 시장 경쟁 심화
○ ‘20년까지 800억 달러(96조원) 규모의 로봇 확산을 지원하는 ICT 시장 진입에 따라 기업 간 경쟁 격화
(4) 로봇 기술인력 유치 경쟁
○ ‘20년까지 로봇 관련 일자리의 35%가 부족해 질 것이며, 관련 기술 보유 인력 유치 경쟁 심화로 연봉이 최소 60% 증가
(5) 로봇 규제 등장
○ ‘19년까지 일자리 보호 및 보안·안전·프라이버시 관련 국민의 우려에 대응한 로봇 특화 규제 추진
(6) 소프트웨어 정의(software-define) 로봇
○ ‘20년까지 로봇의 60%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에 의존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보틱스 클라우드 시장 형성
(7) 협업 로봇의 보급 확대
○ ‘18년까지 현재 기준보다 3배 빠른 스마트 협업로봇 보급이 30%를 차지
(8) 지능형 RoboNet 등장
○ ‘20년까지 상업적 로봇의 40%가 공유 지능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로봇 운영의 효율성을 200%까지 개선 가능
(9) 공장 외 로봇 활용 증가
○ ‘18년까지 운수, 의료, 공공서비스, 자원 부문의 선도적 기업 중 35%가 운영 자동화에 로봇을 활용
(10) 전자 상거래 로봇
○ ‘18년까지 세계를 선도하는 전자 및 옴니채널 상거래 기업 200개 중 45%가 기업 물품보관 및 배송 부문에 로보틱스 시스템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