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환경분야 연구개발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1-27
  • 등록일 2017-02-01
  • 권호 87

□ 과학기술진흥기구(JST)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환경분야의 연구개발 현황 및 과제 보고서를 발표 (‘16.12.) 

 

○ ‘17년 발행 예정인 ‘연구개발보고서’에서 환경분야를 4대 항목으로 분류 

 

 - 기후변화, 환경오염·건강, 생물 다양성·생태계, 순환형 사회  

 

【기후변화】 

 

○ 기후온난화 영향은 모든 대륙과 해양에서 자연·인간 시스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나, 기후모델 예측값을 바탕으로

    실시하여 불확실성 존재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에 대한 기여 및 이를 통한 국가 적응 연구 필요  

 

【환경오염·건강】 

 

(1) 환경호르몬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 

 

○ 농약(DDT)과 같은 독성 강한 물질 대상의 연구에서 저농도일 경우에도 환경호르몬 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관련

    다양한 대책이 강구 

 

 - 미해결과제로 단독 화학물질이 영향이 없더라도, 합쳐질 경우 복합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 존재  

 

 - 화학물질 노출부터 영향이 미칠 때 까지 체내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독성발현경로(AOP, Adverse

   Outcome Pathway) 연구 필요 

 

(2) 화학물질 관리 및 환경화학 

 

○ 규제대상 물질 증가 및 장기간 파악이 필요한 과제에 대해 모든 화학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 진행 

 

 - 고해상도의 높은 신뢰성을 갖춘 데이터 취득 및 독성데이터 파악 필요 

 

(3)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람의 이동을 고려한 대기오염, 토지 이용의 특징과 감염증과의 상관관계 파악 연구 등 특정요인보다는 전체를 조사하여

    요인을 밝히는 연구 증가 

 

 - 향후 과제로 지역별 차이, 유전적 요인, 장내 세균에 대한 영향, 사망 및 암 이외의 변수 탐색, 개인 및 집단 건강 지표 설정 등

   제시 

 

【생물 다양성·생태계】 

 

(1) 생물다양성 연구 

 

○ 빅데이터 및 정보처리 기술 활용, 수목과 근권미생물의 네트워크 분석 및 환경 DNA 연구, 거시생태학 중심으로 연구 진행 

 

(2) 생태 서비스 연구 

 

○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방재 및 재해위험 감소, 생태계의 기능을 활용한 기후변화 적응 등 재해 관련 연구 진행 

 

 - 빅데이터 이용, 기후변화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와의 통합, 사회 경제적 측면 강화, 정책 및 기업과의 연계 필요  

 

【순환형 사회】 

 

(1) 전과정 평가 (LCA*

 

  * Life Cycle Assessment : 생산 전 과정에서 자원순환성, 친환성 등을 고려한 평가 

 

○ 연구 동향의 하나로 온실가스 감축 기여량 평가가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사회성 평가를 포함한 지속가능성 평가가 진행 

 

 - 향후 축전지 및 태양광 패널 등 기술평가에 있어 전과정 평가, 법 제도와의 연계, 인재 육성, 데이터베이스 유지 관리 등 지원

   필요 

 

(2) 물순환  

 

○ 환경정보기반인 DIAS(데이터통합·분석시스템)를 통하여 위성관측 데이터, 강수량 및 증발산량, 토양수분, 지하수 등을 측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