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과학연구비 조성사업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01-27
  • 등록일 2017-02-01
  • 권호 87

□ 문부과학성은 제 8기 연구비 WG에서 과학연구비조성사업* 개혁을 논의하고, ‘16년도 과학연구비조성사업 배분에

   관한 자료를 발표(‘17.1.)
  *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까지 모든 분야에 걸쳐 기초에서 응용까지 독창적 학술연구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적 자금을 의미  

 

○ 과학연구비 조성사업 중 연구자 개인 또는 여러 명의 연구자로 구성된 연구팀에 의한 연구를 과학연구비로 구분

 

<과학연구비 항목 및 내용 > 

구분

연구항목 등 목적 및 내용

 특별추진연구 

○ 국제적으로 높이 평가 받고 있어 연구성과가 기대되는 연구(개인 또는 소규모 그룹)
○ 기간 3-5년, 1과제당 5억 엔을 상한가로 보나, 유동적인 편임

 새로운 학술분야 연구

○ 다양한 연구팀이 제안한 새로운 연구분야에 대한 공동연구 및 인재 육성, 설비

    공용화 등 학술수준 향상 및 강화
○ 기간 5년, 1개 분야 당 1000만 엔-3억 엔

 기반연구

○ 개인 또는 적은 지원의 연구자가 실시하는 독창적 연구
○ 기간 5년, 과제당 5000만 엔 이상 약 2억 엔 까지
    (A) 2,000만 엔 ~ 5,000만 엔 이하 (B) 500만 엔 ~ 2,000만 엔 이하
    (C) 500만 엔 이하

도전적 맹아연구

○ 개인 또는 여러 명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계획으로 독창적 발상에 입각하여 도전적이고 

    높은 수준의 목표를 설정한 초기 연구
○ 기간 1-3년, 1과제 500만 엔 이하)

신진연구

○ 39세 이하의 연구자 개인이 실시하는 연구
○ 기간 2-4년, 응모 총액에 따라 A, B로 구분
    (A) 500만 엔 이상 3,000만 엔 이하 (B) 500만 엔 이하

연구활동시작 지원

○ 연구기관에 채용되지 얼마 되지 않은 연구자 및 육아휴직 복귀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실시하는 연구
○ 기간 2년 이내, 년도 기준 150만 엔 이하

   * 과학연구비 조성사업에는 과학연구비 이외에도 특별연구촉진비, 연구성과공개촉진비, 특별연구 장려비, 특별분야연구

기금이 포함  

 

○ ‘16년도 신규 신청 101,234건 중, 선정 건수는 26,676건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고, 계속 연구 포함한 전체 수는 75,290건

    으로 사상 최고 기록 

 

○ 예산 배분액은 2,097억 엔으로 사상최고로 이중 직접경비는 1,613억 엔이며, 신규 추진과제의 직접경비는 649억 엔 

 

 - 1개 과제당 평균 배분액은 2,143천 엔으로 전년대비 33천 엔 감소(1.5%) 

 <과학연구비 응모 및 선정 건수>

 <과제당 평균 배분액>

 

○ (기관별) 선정건수 및 배분액 합계를 보면 국립대, 사립대, 기타, 공립대 순임 

 

< 기관별 선정 규모 및 예산 >

 구분

 국립대

 사립대

 기타*

 국립대

 선정건수

 14,610건

 7,037건

 3,070건

 1,959건

 54.8%

 26.4%

 11.5%

 7.3%

 배분액

 410억 엔

 120억 엔

 81억 엔

 37억 엔

 63.2%

 18.5%

 12.5%

 5.7%

* 대학 공동이용 기관법인, 국공립 시험 연구기관, 일반사단법인·일반재단법인, 특수법인·독립행정법인 등이 속함  

 

○ (분야별) 선정건수는 생물계열이 가장 높고, 이공계, 인문사회, 종합계열 순임 

 

○ (성별) 여성연구자 관련 선정건수는 5,218건으로 전체의 19.6% 차지 

 

○ (연령별) 신진연구자는 전체 35.5%로 감소된 반면, 선정율은 전체평균 26.4%보다 4% 높은 30.1% 기록

 





 ※ [참고] 우리나라 2016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단위: 개, 백만원) 



























 연도

 2016

 신규

 계속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예산

 12,097

 1,104,138

 4,950

 375,043

 7,147

 729,095

 

• 개인연구 지원 확대 

 

 - 리더연구 81개(579억 원), 중견연구 3,191개(3,658억 원), 신진연구 2,050개(1,161억 원), 이공학개인기초 5,328개(2,680억 원),

   학문후속세대 904개(481억 원), 전략과제 221개(605억 원), X-프로젝트 70개(70억 원) 

 

• 집단연구 지원 확대(62억 원 증가) 

 

 - 선도연구센터 98개(1,084억 원), 기초연구실 52개(236억 원), 글로벌연구실 53개(230억 원), 대학중점연구소 49개(252억 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