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13차 5개년 국가지식재산권 보호 및 운용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17-02-17
- 등록일 2017-02-20
- 권호 88
□ 국무원은 지식재산권 보호와 운용 수준 향상을 위해 「13·5 국가 지식재산권 보호 및 운용규획」을 발표(‘17.1.)
○ 지식재산권 강국 실현을 위해 향후 5년간 세계수준의 지재권 강국건설과 국제영향력 확대
- 인구 만명당 특허보유량 목표를 ‘15년 6.3건에서 ‘20년 12건 2배로 향상, PCT 국제특허 출원건수도 ‘15년 3만 건에서 ‘20년
6만 건 달성
※ ‘15년 중국 PCT 출원건수는 3만 건으로 미국(57,385건), 일본(44,235건)에 이어 3위
<중국 13차 5개년(2016~2020) 지재권 육성 주요 목표>
지표 | 2015년 | 2020년 | 누계 증가분 |
만명당 특허 보유량(건) | 6.3 | 12 | 5.7 |
국제특허(PCT) 신청량(만 건) | 3 | 6 | 3 |
식물 신품종 신청량(만 건) | 1.7 | 2.5 | 0.8 |
전국 작품 등기수량(만 건) | 135 | 220 | 85 |
소프트웨어 저작권 등기수량(만 건) | 29 | 44 | 15 |
연간지재권 담보융자(억 위안) | 750 | 1800 | 1050 |
제조업체 매출 억 위안 당 보유특허(건) | 0.56 | 0.7 | 0.14 |
지재권 로열티 수출액(5년 누계, 억 달러) | 44.4 | 100 | 55.6 |
지재권 서비스 매출 연평균 성장률(%) | 20 | 20 | - |
○ 중점사업으로 지재권 보호를 위한 법률제도 개선 및 지재권기업의 해외 진출 강화 등 7대 사업 선정
① 지재권 법률과 법규 보완 가속화, 지재권 관련 법률제도 정비
※ 산학관 연구기관의 젊은 박사인재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인사·인재 육성 시스템 구축
② 보호수준 향상
- 지재권 사법보호체계 구축, 형사보호 및 법집행 체계 강화, 수출입 무역 및 전통우위 및 신규분야 지재권 보호
③ 품질수익 제고
- 특허 품질과 수익제고, 상표전략 실시, 정품 판권 구축 등 지재권 사업 활성화
④ 특성화 도시 구축
- 지역 지재권 협력발전, 지재권 빈곤퇴치사업 활성화
⑤ 강대기업 건설
- 기업 지재권 종합능력 제고, 우위기업 육성, 강대기업 사업지원체계 개선
⑥ 산업 업그레이드
- 특허유도산업 발전 촉진, ‘중국제조’ 지재권 개선, 지재권 집약형 산업발전, 산업 지재권 연맹 발전, 지재권 평가 심화, 민군
지재권 이전 추진
⑦ 개방협력 촉진
- 지재권 국제협력교류 강화, 해외 지재권 사무 총괄조율, 혁신기업 ‘해외진출’ 지원, 중국기업 외국 지재권 보호 지원 서비스 기금
설립 추진
○ 지재권 중대 전문 프로젝트 및 9대 중대공정 선정
< 중대 전문 프로젝트 >
중대전문프로젝트 | 주요내용 |
① 운영체계 | ・지재권 운영 공공서비스플랫폼 개선 |
② 서비스체계 | ・지재권 공공서비스능력 제고 |
③ 인재육성체계 | ・지재권 인재양성 강화 |
④ 문화 | ・지재권 홍보/보급 역량 확대 |
< 지재권 9대 중대공정 >
① 지재권 법률개선공정 |
⑥ 해외 지재권 보호 공정 |
② 지재권 보호공정 |
⑦ 지재권 투융자 서비스공정 |
③ 특허 품질향상공정 |
⑧ 지재권 정보 공공서비스플랫폼 구축공정 |
④ 지재권 강대기업공정 |
⑨ 지재권 문화확대공정 |
⑤ 지재권 평가공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