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유니콘 기업 급증…세계 최초 AI칩 기업 배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아주경제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09-22
  • 등록일 2017-09-25
  • 권호 103

□ 유니콘은 ‘13.11월 미국 VC 카우보이벤처스 설립자인 에일린 리가 처음 사용한 용어(당시 총 39개)로 기업가치

   10억 달러(1조 원) 이상으로 평가되는 비상장 스타트업


□ CBinsights에 따르면 8.30일 현재 세계 유니콘 기업 수는 214개

 
○ 이들 기업의 기업가치는 총 7,410억 달러로 추산. 국별로는 미국이 107개(‘16년 96개), 중국 53개(32개) 순으로 집계된 가운데

    한국은 전년과 동일하게 3개를 유지


 - 그 외 인도 13개(7개), 영국 9개(4개), 독일 4개(5개), 싱가포르·인도네시아·프랑스·사우스아프리카·스위스·이스라엘·스웨덴이 각

   2개, 말타·네덜란드·덴마크·아랍에미리트·콜롬비아·나이지리아·룩셈부르크·체코·아르헨티나·캐나다·일본각 1개씩 기록


  ※ 괄호 안은 ‘16년도 유니콘 수


□ 중국은 전년 동일대비 기업 수가 크게 늘어났으며 산업도 다양하게 확대


○ Didi Chuxing이 2위, Xiaomi가 3위에 오른 가운데 무려 23개의 중국 기업이 상위 100개 유니콘 리스트에 자리매김


  ※ ‘16년도에는 전체 유니콘 166개 중 중국 기업이 32개, 상위 100개 중 15개


○ 일반적으로 미국 유니콘 기업은 핀테크, 인터넷 보안, 인터넷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탄생한 반면 중국은 인터넷 소비,

    즉 전자상거래, 온디맨드 등에 집중


○ 하지만 올해는 최초로 AI칩 전문 유니콘 기업인 ‘캄브리콘(Cambricon, 146위)’이 탄생하는 등 중국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유니콘 기업을 배출


 - (AI) 캄브리콘은 설립된 이후 ‘캄브리안 1A’ 칩을 발표, 전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무인기·웨어러블 기기 등에 장착 가능한

    딥러닝과 신경망 전용 칩을 상용화한 기업


 - 최근 시리즈A 자금조달에서 알리바바 창업투자, 레노버 창업투자, 중국과학원 산하 투자공사인 국과투자(國科投資) 등으로부터

   1억 달러 투자금을 유치


 - 이번에 조달한 자금으로 자체 개발한 AI칩을 스마트폰·웨어러블 기기·무인기 등 스마트 단말기와 클라우드 제품에 장착하는 등

   상용화 및 시장화를 추진하는 데 활용할 전망


 - 이는 ‘17.7월 ‘차세대 AI 발전규획’을 발표해 국가 차원에서 처음으로 AI 발전 중장기계획을 마련한 만큼 정부 차원의 AI 산업

   지원에 따른 결과로 풀이


 - ‘30년까지 자국 AI 핵심 산업규모를 1조 위안까지 키우고 세계 AI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친바 AI를 활용한

   기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핀테크) 핀테크 서비스 이용자가 빠른 속도로 늘면서 핀테크 분야의 중국 기업도 고속 성장세를 지속, 핀테크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8위, Lu.com)를 차지


 - 중국에서 핀테크 산업 발전은 △ 방대한 인구와 내수 시장에 기반한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 △ 모바일 인터넷과 기기 보급

   △ 전통 은행권의 높은 문턱으로 인한 중소기업과 개인의 핀테크 서비스 이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


 - 18위를 차지한 Zhong An Insurance가 본격적인 IPO에 나서면서 동종 업계의 증시 상장 추진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

 

□ 기업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조화를 이룰 때 스타트업의 가치는 배가


○ 유니콘 기업은 창조적 혁신, 변형, 모방 등을 통하여 시장의 확장성,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성,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극대화하며

    지속적으로 증가


  ※ ‘15년 114개→ ‘16년 166개→ ‘17년 214개(CB Insights)

 
 - 특히 공유경제, 핀테크 등 신성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분야에서 독자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조기시장 선점 또는 틈새시장

   확보를 통해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확대


○ 국내 스타트업도 성장성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조기 선점 및 투자 유치 기회 확대를 위한 글로벌 네트워킹 노력이 필요


○ 벤처투자 활성화, 대기업과의 파트너십 증대,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스타트업의 글로벌화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 등 정책적 지원도 중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