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제안요구서(RFP)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리번호

CI24010- 공동5

사업명

과학기술혁신정책지원사업

사업유형

-

내역사업명

과학기술 전략 수립 및 현안‧이슈 대응


1. 제안요구내용(공동연구)

연구개발과제명

(연구개발주제)

글로벌 TOP 수준 대학 연구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글로벌 TOP수준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전략 도출)

개   요

과학기술혁신인재 확보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우수인재가 유입‧성장‧배출되는 거점으로서 연구중심대학 역할이 강화됨. 랩‧과제 중심 R&D, 전문연구‧지원체계 부족, 연구인프라 미흡, 혁신생태계 활력 부족 등 현 대학 연구생태계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TOP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략 도출


1) 배경 및 필요성


◦ 과학기술혁신인재 확보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우수인재가 유입‧성장‧배출되는 거점으로서 연구중심대학 역할 중요

-  R&D투자 확대 등으로 이공계 대학원 성장 및 연구역량이 강화되고 있으나 해외 주요국 대학과의 격차는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골든타임’에 직면

◦ 국가 간 경제‧안보 동맹이 기술동맹으로 확대되고,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R&D 시스템 혁신 및 글로벌 스탠다드의 연구 생태계 조성 필요

-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 글로벌R&D 가이드마련, 핵심인재 유치 등 글로벌 R&D 활성화를 통해 광범위한 인적교류, 전략적 국제협력 필수적


‘자율과 창의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및 인재양성’등 국정과제를 통해 전주기 인재양성 및 대학 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정부정책 기조가 마련되고 있음


◦ 랩‧과제 중심 R&D, 전문연구‧지원체계 부족, 연구인프라 미흡, 혁신 생태계 활력 부족 등 현 대학 연구생태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TOP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중점 과제 도출을 위해 공동연구과제 공모 추진


2) 제안요구 내용

◦ R&D‧인력구조, 연구지원체계, 인프라, 혁신시스템 등 대학 R&D 생태계 각 측면에서 현황진단 및 발전방향‧전략을 검토‧도출

-  학계, 경제계, 산업계 등 대학 R&D 생태계 관련 주요 전문가로 자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

* (R&D) 기존 랩(교수) 중심 + 연구소 체계 강화 등

* (인력) 대학원생 중심 + 포닥・전문연구원 확충, stipend 도입 등

* (지원체계) 대학 산단 책임행정 강화, 간접비 개선 등

* (인프라) 장비센터 구축, 테크니션 확대 등

* (혁신시스템) 매칭형 기술사업화 지원, 실증연구소 구축 등


◦ 글로벌 TOP수준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구체적 실행 과제 발굴‧구체화

-  대학 연구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각계 의견수렴 및 추진동력 확보를 위한 공청회 개최 등 추진(2회 내외)

◦ 일본 탁월연구대학, 독일 대학R&D지원 사례 등 주요국의 대학 R&D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사례 조사

◦ 저출산‧학령인구 급감, 인재 순유출 지속 등으로 향후 충분한 인재확보에 난항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우수 과학기술인재가 유입‧성장‧배출되는 탁월한 연구중심대학 육성 방안 마련


3) 기타 지원조건

◦ 제안기관의 연구보안 관련 연구역량 및 전문성

※ 제안 연구기관의 유사연구 수행 경험 등을 추가 고려할 수 있음



2. 추진체계 및 예산/기간

예산규모(2024)

• 1차 연도 : 1 억원

• 전    체 : 1 억원

기술료 징수 여부

(사업화 대상)

징수 ( ), (징수)감면 ( )

(징수)면제 (  ) 비징수 (√)

연구개발비

(단위: 천원)

정부지원 연구

개발비

기관부담 연구개발비

그 외 기관 등의 지원금

합계

연구

개발비 외 지원금

지방자치단체

기타 (    )

현금

현금

현물

현금

현물

현금

현물

현금

현물

합계

총계

100,000

-

-

-

-

-

-

100,000

-

100,000

-

1단계

1년차

100,000

-

-

-

-

-

-

100,000

-

100,000

-

연구개발과제

특성‧유형

□ 과제구조

연구개발과제(√)     ※ 공동연구

총괄연구개발과제( )

□ 보안과제

일반 (√), 보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