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제안요구서(RFP) |
|||
중앙행정기관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관리번호 |
CI24050- 공동3 |
사업명 |
과학기술혁신정책지원사업 |
||
사업유형 |
- |
사 업 명 |
전략기술 글로벌 정책 기획‧조정 |
1. 제안요구내용(공동연구)
연구개발과제명 (연구개발주제) |
정부 글로벌 연수지원 사업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수요자 중심의 정부 글로벌 연수지원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
개 요 |
글로벌R&D 활성화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인적교류, 전략적 R&D 국제협력을 달성하기 위하여 글로벌 R&D 경험과 역량을 갖춘 인재를 확보가 요구됨에 따라 기존에 각 정부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운영되는 ‘글로벌 연수지원’ 사업의 내실화 및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
1) 배경 및 필요성
◦ 「글로벌 R&D 추진전략」(‵23.1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 따른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각 부처에서 운영중인‘글로벌 연수지원 사업’의 종합적 점검 및 체계화 요구
- 인력‧연구동향 및 산업 수요 등에 기반한 공백‧추가수요 분야의 지속 발굴 및 수혜 인력의 성장경로 파악 필요
◦ 수요자 중심의 지원을 위하여 연수지원 기간‧내용 등을 내실화 하고, 참여 이후에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지속‧확장해나갈 수 있도록 참여자 간 네트워크 활성화, 후속 공동연구 참여기회 확대 등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체계 구축 필요
2) 제안요구 내용
◦ 정부 부처에서 계획 및 추진중인‘글로벌 연수지원’사업 현황 분석
- 유형별‧대상별 지원내용, 절차, 선정‧평가‧사후관리 방식 등 파악
◦ 주요국 연수지원 사업 사례 조사
- 마리퀴리 포닥 펠로우십(EU), 훔볼트 리서치 펠로우십(독일), 포닥 모빌리티(스위스) 등의 지원대상, 조건, 내용, 방식 등을 분석하고 시사점 분석
◦ 연구자에게 실효성 있는 글로벌 연수 경험 제공을 위한‘범부처 글로벌 연수지원 사업 가이드라인(안)’마련
- (절차) 대상자 선발주기, 공고‧선발장식 및 기준, 성과평가(평가지표, 평가방식 등)
- (내용) 지원유형, 예산규모 및 지원인원, 1인당 지원내용/금액/기간 등
- (관리) 연수생 지원‧관리 체계, 후속 네트워크(Alumi 등) 및 R&D 지원
- (기타) 사업 관련규정, 제한사항(유사사업 참여제한, 내국인 대상 사업 여부 등) 등
◦ 기술분야, 지원대상, 유형 등 사업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운용방안 검토
3) 기타 지원조건
◦ 제안기관의 연구보안 관련 연구역량 및 전문성
※ 제안 연구기관의 유사연구 수행 경험 등을 추가 고려할 수 있음
2. 추진체계 및 예산/기간
예산규모(2024) |
• 1차 연도 : 0.5 억원 • 전 체 : 0.5 억원 |
기술료 징수 여부 (사업화 대상) |
징수 ( ), (징수)감면 ( ) (징수)면제 ( ) 비징수 (√ ) |
||||||||||||||
연구개발비 (단위: 천원) |
정부지원 연구 개발비 |
기관부담 연구개발비 |
그 외 기관 등의 지원금 |
합계 |
연구 개발비 외 지원금 |
||||||||||||
지방자치단체 |
기타 ( ) |
||||||||||||||||
현금 |
현금 |
현물 |
현금 |
현물 |
현금 |
현물 |
현금 |
현물 |
합계 |
||||||||
총계 |
50,000 |
- |
- |
- |
- |
- |
- |
50,000 |
- |
50,000 |
- |
||||||
1단계 |
1년차 |
50,000 |
- |
- |
- |
- |
- |
- |
50,000 |
- |
50,000 |
- |
|||||
연구개발과제 특성‧유형 |
□ 과제구조 연구개발과제(√ ) ※ 공동연구 총괄연구개발과제( ) □ 보안과제 일반 (√ ), 보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