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미국 나노기술발전전략 주요내용
- 국가 미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발간일 2007-01-01
- 권호
1. 개 요
○ 나노기술은 보건의료, 전자, 항공, 에너지 등 많은 분야에 응용되어 일상생활 및 경제의 각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신기술
○ 미국은 나노기술 연구개발의 전반적인 프레임워크 형성 및 나노기술 R&D를 수행하는 연방연구기관간 조정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나노기술계획(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NNI)을 수립(01년)하여 추진하고 있음
- 03년 제정된「21세기 나노기술 연구개발법」에 따라 3년마다 관련 부처․연구기관의 합의와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의 검토에 의해 전략계획(strategic plan)을 수립
* 2004년에 이어 두 번째 전략계획을 2007년 12월에 수립
2. NNI 전략계획 주요내용
1) NNI의 비전과 목표
○ 비전 : 나노기술 및 산업 발전을 통해 미래 사회의 이익 증진
○ 4대 목표
(1) 세계수준의 나노기술 연구개발 촉진 |
○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 전략
연구개발 | 실용화 | 교육 및 기반구축 | 기술영향 |
세계 수준의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활성화 |
경제적 이익과 공익을 위한 신기술의 제품화 촉진 |
교육자료 개발, 인력 양성 및 기반시설구축 |
나노기술 개발의 사회적 책임 완수 |
* 세부 추진 전략과 관련된 상세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2) 프로그램 구성 분야 및 예산
○ 프로그램 구성 분야 (PCAs: Program Component Areas)
⑴ 나노규모의 현상 및 공정에 대한 기초연구(Fundamental Nanoscale Phenomena and Processes) ⑵ 나노재료(Nanomaterials) ⑶ 나노 장비 및 시스템(Nanoscale Devices and Systems) ⑷ 나노기술 연구기기, 계측기준 및 표준(Instrumentation Research, Metrology, and Standards for Nanotechnology) ⑸ 나노제조기술(Nanomanufacturing) ⑹ 주요 연구 시설 및 장비 구축(Major Research Facilities and Instrumentation Acquisition) ⑺ 환경, 보건, 안전에 미치는 영향(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⑻ 교육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Education and Societal Dimensions) |
○ 부처별 나노기술 연구개발 예산
* 부처별 나노기술 연구개발 예산은 첨부파일의 도표 참조
3) 파급효과가 큰 중점 연구 분야
○ 나노기술은 항공우주, 농업, 생명공학, 안보, 에너지, 환경, 정보통신, 의학, 건설교통 등 여러 기술 및 산업 분야에 파급효과가 큼
○ 중점연구분야에 대한 관련 부처의 역할 분석을 통해 범부처 협력 강화 추진
* 중점 연구분야에 대한 NNI 참여 부처․연구기관의 역할 도표 첨부파일 참조
4) NNI 추진체계
○ 정책수립 및 범부처 조정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의 기술위원회(CT) 산하에 설치된 나노기술분과위원회(NSET)에서 범부처 나노기술분야 연구개발 활동 통합․조정
- NSET 산하 4개 작업반(Working Group)에서 실무 작업 수행
○ 사업의 평가
- 민간기구인 국가나노기술자문패널(NNAP)과 과학한림원의 국가연구위원회(NRC/NA)에서 NNI의 추진 상황 및 사회적 영향을 진단하여 향후 추진전략 수립에 반영
※ NNAP : 2년 주기로 평가, 대통령 자문NRC/NA : 3년 주기로 평가, 의회 보고
3. 우리나라 현황 및 시사점
○ 나노기술 발전 관련 우리나라 현황
-「2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06~15)」수립(05.12월, 과기부 등 16개 부․청) 및 4대 중점 분야에 대한 나노기술로드맵 작성 중(06.7월 ~ 08.2월)
※ 4대 기술 분야 : 나노재료/환경/에너지기술 분야, 나노소자기술 분야나노바이오기술 분야, 나노공정/장비/측정기술 분야
- 07년도 나노기술 분야 정부 투자는 총 2,896억원이며 분야별로는 연구개발(72.1%), 인프라(22.4%), 인력(5.5%)에 투자
○ 범부처 협력 등 나노기술 발전전략 강화 필요
- 부처별 중복 투자가 없도록 중점 연구분야에 대한 각 부처의 역할 분석 및 협력 체계 강화
-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나노기술 실용화 증진
- 민간기구에 의한 계획 추진상황의 평가 체계 도입 고려
* 도표 및 상세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