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2008 다보스포럼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발간일 2008-01-01
  • 권호
첨부파일

1. 세계경제포럼(WEF)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 WEF)은 1971년 스위스 제네바에 설립된 비영리재단
   -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1,200여개의 기업과 단체가 가입
 ○ WEF가 매년 개최하는 다보스포럼은 세계 각국의 글로벌 리더들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폭넓은 분야에 대한 이슈를 제기하고 토론하는 자리
   - 2008 다보스포럼에는 27명의 국가원수를 비롯해 글로벌 100대 기업 CEO 74명, 장관 113명 등 88개국에서 2,500명 이상이 참가


2. 2008 다보스포럼
 ○ 2008 다보스포럼의 주제는「협력을 통한 혁신(Power of Collaborative Innovation)」
 ○ 5개 분야에 대한 233개의 세션이 진행됨
   ① Business : Competing While Collaborating
     - 기업이 내외부적인 경쟁과 협력을 통한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논의
   ② Economics and Finance : Addressing Economic Insecurity
     - 미국 서브프라임 시장의 붕괴에 잇따른 국제 신용 경색은 세계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보여줌
     - 안정적인 세계 경제 성장을 위해 이러한 불안정성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 필요
   ③ Geopolitics : Aligning Interests across Divides
     - 미래 세대는 기후변화, 테러, 소득 불균형, 자연자원 고갈 및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은퇴 비용 등과 같은 위기에 직면
     - 지정학적 위치 및 에너지․자원 보유 정도에 따라 세계 정치․경제적 지위가 달라질 것이며, 이에 따른 국가간 이해관계의 조정이 필요
   ④ Science and Technology : Exploring Nature's New Frontiers
     - 고령화, 기후변화, 질병, 자원 관리 등 주요한 정책적 이슈는 과학기술적 측면에서의 고려와 대책이 필요함
     - 삶과 노동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이해가 필요
   ⑤ Values and Society : Understanding Future Shifts
     - 미래에 서구의 경제․문화적 주도권을 강력하게 위협할 중국, 아랍, 힌두 등 다양한 문화권에 대한 이해


3. 과학기술 관련 논의 내용
 ○ 과학기술 관련 주요 이슈
   ① 과학기술이 삶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양상
     - Second Life 등 온라인 세계의 급격한 성장, GPS․모바일 기술의 발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 등
   ② 과학기술의 발달에 미치지 못하는 일반 대중의 과학 이해도(Science Literacy) 문제
      ※ OECD 평가결과(2006) 핀란드,홍콩,캐나다,일본,네덜란드,한국,독일 순
   ③ 기후변화, 고령화 등 세계가 당면한 문제에 대한 과학기술적 해결책 마련을 위해 정부의 투자 및 정책적 관심 필요
 ○ 과학기술 관련 세션과 논의 내용





























Session


논의 내용


기술(Technology)


-iPhone 등 각종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개막되는 post-PC 시대에 대한 논의


과학 발전이 사회 발전을 능가할 때(When Science Outpaces Society)


-과학의 급격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의 과학 이해도(Science literacy)는 매우 미흡한 상태


-복잡하고 어려운 과학적 이슈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


융합을 통한 혁신(Innovation through Convergence)


-기업(산업), 기술간 융합을 통해 혁신이 창출


-융합에 장애가 되는 --연간 장벽을 낮추는 데 있어 정부의 역할이 중요


바이오기술의 위협


(The Threat of Biotechnology)


-바이오기술의 발전에 따라 복제, 바이오테러 등의 위협 요인이 발생


-바이오기술의 위험-이득 간의 상충관계에 대한 이해와 대처가 필요


과학과 글로벌 아젠다(Science and the Global Agenda)


-기후변화, 질병근절, 환경오염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과학기술적 뒷받침이 필요


-정책입안자는 과학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지원과 더불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필요


 )과학자들이 쓰나미가 일어날 것을 예견하였으나, 정책입안자들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큰 피해가 발생


과학이 디자인을 만날 때(When Science Meets Design)


-과학자와 디자인 전문가 간의 협력을 통해 시각화의 혁신적인 방법이 창출되고 있음


SmArt Science


-인간의 뇌와 감각체계에 대한 과학을 통해 예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가능해짐


4. 정책적 시사점
 ○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발전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기후변화, 고령화, 환경오염, 에너지 문제 등의 해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 증대가 요구됨
   - 정부의 체계적인 기술예측과 기획을 바탕으로 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함
 ○ 또한, 산-학-연간 연계를 통한 과학기술의 융합 촉진, 일반 대중의 과학 이해도 제고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


* 첨부파일 참조 요망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