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국가별 하이테크무역 통계 분석
- 국가 한국 , 중국 , 일본 , 미국 , 유럽연합(EU)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08-01-01
- 권호
1. 개 요
○ 하이테크* 무역 규모 및 수지는 한 국가의 과학기술경쟁력과 산업구조를 보여주는 주요한 지표
* 총 매출액 대비 R&D투자 비율에 따라 High-Medium high-Medium low-Low tech로 구분하며, High tech 제품에는 항공, 컴퓨터/사무기기, 전자/통신, 의약, 정밀기계 등이 포함됨
○ 국가별 하이테크 수출입 규모 및 무역수지 등을 살펴보고자 함
2. 주요 내용
(1) 하이테크제품 수출
○ EU 27개국, 미국, 중국의 세계 점유율이 각각 17.2%, 16.6%, 15.1%로 그 합이 절반에 달하며, 우리나라의 세계 점유율은 5.9%
그림: <국가별 하이테크수출 세계 점유율(2005) designtimesp=11708 designtimesp=8170 designtimesp=13110 designtimesp=15338> 첨부파일 참조
○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등의 수출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나타나는 데 비해, 중국의 연평균 증가율은 30.8%로 매우 급격한 속도로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하이테크제품 수출액은 세계 9위의 수준
도표: <국가별 하이테크제품 수출액 규모 designtimesp=11712 designtimesp=8174 designtimesp=13114 designtimesp=15342> 첨부파일 참조
(2) 하이테크제품 수입
○ 수입 점유율에 있어서도 EU 27개국, 미국, 중국이 상위권이며,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3.6%로서 수출 점유율에 비해 낮은 수준
그림: <국가별 하이테크수입 세계 점유율(2005) designtimesp=11717 designtimesp=8179 designtimesp=13119 designtimesp=15347> 첨부파일 참조
○ 중국과 인도의 수입액 증가율이 각각 26.0%, 28.5%로 높은 수준
○ 우리나라의 하이테크제품 수입액은 세계 10위의 수준이며, 증가속도는 마이너스로 나타나고 있음
도표: <국가별 하이테크제품 수입액 규모 designtimesp=11721 designtimesp=8183 designtimesp=13123 designtimesp=15351> 첨부파일 참조
(3) 하이테크 무역수지
○ 일본, 한국, 싱가폴 등이 수지 흑자 상위권으로, 미국과 EU 27개국은 무역수지 최대 적자국으로 나타남
그림: <주요 국가별 하이테크 무역수지(2005) designtimesp=11726 designtimesp=8188 designtimesp=13128 designtimesp=15356> 첨부파일 참조
○ 우리나라의 ‘95~’05년간 하이테크 무역수지를 살펴보면, 다소의 등락이 있으나 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03년 이후 흑자규모가 급격히 증가
그림: <우리나라 하이테크 무역수지 추이(1995~2005) designtimesp=11729 designtimesp=8191 designtimesp=13131 designtimesp=15359> 첨부파일 참조
○ 2000년 이후 하이테크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전체 무역수지 흑자 규모를 추월
단위 : 억달러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
전체 무역수지 | 390 | 239 | 118 | 93 | 103 | 150 | 294 | 232 |
하이테크 무역수지 | 144 | 160 | 188 | 129 | 182 | 251 | 395 | 410 |
(4) 분야별 수출입 비중
○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전자/통신제품의 수출입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남
○ 프랑스와 아이슬란드의 경우 항공 분야의 수출입 비중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 컴퓨터/사무기기 분야에서는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이, 의약 부문의 경우 벨기에, 스위스 등에서 수출입 비중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그림: <분야별 하이테크 수출입 비중(2005) designtimesp=11780 designtimesp=8242 designtimesp=13182 designtimesp=15410> 첨부파일 참조
○ 우리나라는 전자/통신 분야의 수출입 비중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사무기기/컴퓨터 분야의 수출 비중과 기계 분야의 수입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
그림: <우리나라 분야별 수출입 비중 추이(1995~2005) designtimesp=11783 designtimesp=8245 designtimesp=13185 designtimesp=15413> 첨부파일 참조
3. 정리 및 시사점
○ 우리나라의 하이테크 무역수지는 세계 국가들 중 최상위의 수준으로 전체 무역수지 흑자 창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
○ 하이테크 무역수지가 지속적으로 흑자를 기록하는 반면, 기술무역수지는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음
- 이는 하이테크제품의 핵심부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은 데서 기인함
- 중국 등 후발국가들의 추격 속에서 하이테크 산업의 견실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R&D 투자 확대, 지식재산권 관리, 표준화 등의 노력이 필요함
그림: <하이테크 무역수지와 기술무역수지 추이(1995~2005) designtimesp=11790 designtimesp=8252 designtimesp=13192 designtimesp=15420> 첨부파일 참조
* 통계자료의 도표 및 그림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