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MIT 선정 28년10대 유망기술

  • 국가 미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발간일 2008-02-25
  • 권호
첨부파일

1. 개  요
 ○ MIT는 ‘01년부터 ’Technology Review’紙에 10대 유망기술(Emerging Technology)을 선정하여 발표
   - 전 세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첨단기술 중 5년 이후 경제․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기술을 선정
   - 기초기술보다는 제품화가 가능한 산업기술의 특성을 가짐
 ○ ’08년 10대 유망기술의 내용 및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상의 100대 중점기술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함


2. 주요내용












































구분


기술명


내 용


BT


셀룰로이스 분해효소
(cellulolytic enzymes)


* 경제적인 바이오 연료 생산을 위한 셀룰로이스 분해 효소의 설계에 관련된 유전자 조작 기술


 - 바이오 연료의 사용증가에 기여할 경우 온실가스 저감,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성 감소 효과가 기대됨


뉴런 연결체학


(connectomics)


* 뇌의 신경세포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맵을 그리기 위한 학문분야


 - 이러한 맵을 바탕으로 인지기능뿐 아니라, 자폐증과 같은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IT


원자 자력계
(atomic magnetometers)


*  소규모 동력을 사용하여 매우 약한 자기장을 높은 감도로 측정할 수 있는 쌀알 크기 정도의 소형화된 자기장 측정 기술


 - 휴대용 MRI 장치, 폭발물 감지 장치, 광물 매장량 원격평가 등 다른 분야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


IT


미래상황예측 모델링
(surprise modeling)


*  예외적인 사건을 예상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데이터 마이닝과 기계학습*을 결합시키는 기술


 - 교통, 예방의학, 군사, 정치,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의사 결정자에게 유용한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전망됨


* 경험 및 분석적 관찰을 통해 지식의 자동적인 습득·통합을 가능하게 하며, 지속적인 자기개선이 이루어짐


확률론적 칩
(probabilistic chips)


* 불확정성의 원리를 마이크로칩 설계에 도입하여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독립 플랫폼 칩 설계 기술


 - 배터리 수명이 연장된 이동통신장비의 개발을 가능케 하고, 마이크로칩 분야의 무어 법칙*을 유효하게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Moore’s Law : 마이크로칩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법칙


현실 마이닝


(reality mining)


*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 핸드폰 통화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인간관계, 행동특성 등의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기술


 - 사용자 특성을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마케팅전략 수립 시 과학적 데이터의 제공에 기여


X인터넷


(offline web applications)


* 웹과 데스크톱의 장점을 결합해 전통적인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의 특징과 기능을 가지는 웹 응용 프로그램


 - Adobe, MS, SUN 등에서는 이미 관련제품을 출시하였음


융합(NT


·IT)


그라핀 트랜지스터


(graphene transistors)


* 원자 하나 두께 정도로 얇은 층으로 구성된 탄소 소재의 한 형태인 그라핀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기술


 - 이 트랜지스터는 발열량이 적어 현재보다 100배이상 빠른 속도의 칩 생산이 가능, 현재 많은 대학과 회사에서 연구 진행 중


나노라디오


(nanoradio)


* 탄소나노튜브의 전자기파에 따른 진동 특성을 이용해 만든 나노 크기 라디오


 - 저전력 휴대전화기 생산 뿐 아니라, 인체 내의 극소형기기간의 통신을 가능케 함으로써 미래 의학 분야에도 적용 가능


ET


무선 전력전송


(wireless power)


* 자기공명원리를 이용하여 유선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


 - 현재 전기에너지 전송 과정에서 주변 안전성을 확보하고, 전력손실의 감소 및 전송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 중


3. MIT 10대 기술의 100대 중점기술 해당 여부
  ※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상의 100대 중점기술에는 Total Roadmap의 90개 특성화 및 특성화후보기술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
* 첨부파일 도표 참조


* 첨부파일에 2001년부터 지금까지 테크놀로지 리뷰에서 발표한 10대 기술 정리표가 있습니다.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미국 MIT가 Technology Review 3/4월호에 발표한 10대 유망기술에 대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 현재 10대 유망기술 관련 국내외 논문․특허 분석을 수행 중이며, 추후 관련 내용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 관련정보에 2001년부터 2007년까지 MIT 10대 유망기술에 대한 상세내용이 있습니다.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