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유럽의 세계TOP수준 연구거점 조사 결과
- 국가 유럽연합(EU)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발간일 2008-07-21
- 권호
1. 개 요
○ 일본은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06~10)」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거점 30개 구축을 목표로 설정
- 문부과학성은 ‘07년 「세계 TOP 수준 연구거점(WPI)* 프로그램」에 착수하여 현재 5개**를 선정하여 추진 중 (’08년 70억엔 투자)
* World Premier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Initiative의 약자
** 도호쿠대, 도쿄대, 교토대, 오사카대, 물질‧재료연구기구
○ 최근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은 WPI 프로그램의 정책자료로서 ‘06년 미국에 이어 유럽의 세계 Top 수준 연구거점 조사결과를 발표
- 과학기술기본계획 중점추진 4대 분야* 및 기초과학 분야의 23개 연구거점 및 4개 연구지원 기관**을 대상으로 인터뷰 등 조사 실시
* 생명과학, 정보통신, 환경‧에너지, 나노테크놀로지‧재료
** [붙임 1] 조사대상 기관 및 [붙임 2] 23개 연구거점 특징 참조
○ 유럽은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계적인 우수 인재 유치 및 활용 범위가 다양하고, 관련 시책도 매우 전략적
- 세계적 수준의 우수 인재가 거점리더로서 비전 제시부터 연구프로그램 기획‧평가 등 다양한 과정에 적극 관여
- 단기체재형 초빙제도 등 유연한 인력교류 제도 및 연구커뮤니티 활성화
2. 유럽의 세계 Top 수준 연구거점 조사결과의 주요내용
□ 미국과 유럽의 세계 최고 수준 연구거점의 공통점
① 거점의 구심력이 되는 독자적인 연구비전이나 프로그램 존재
거점의 구심력 ○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 로봇연구소 : 로봇분야의 우수인재, 비전 |
② 세계수준의 인재가 거점의 리더로서 비전제시 및 외부자금 획득에 적극적으로 관여
거점리더의 역할 ○ (미국) 아리조나 대학 Optical Science : 비전제시, 외부자금 획득 등 |
□ 유럽의 세계 최고 수준 연구거점에서 부각되는 특징
① 우수 인재가 비전제시 뿐 아니라 연구프로그램 기획‧평가에 관여하여 거점 형성의 실현가능성(feasibility)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우수 인재의 활동 ○ (독일) 뮌헨대학 유전자센터 : 평가위원회(International Scientific Advisory Board) 멤버로서 거점의 중장기 전략 수립에 적극 참여 |
② 외부 우수 인재를 적극 유치‧활용하는 유연한 인력교류제도 활발
○ 단기체재형 초빙 제도 등을 통해 다양한 영역의 연구 활동, 강의 및 세미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제도 마련
인력교류제도 ○ (영국) 아이작뉴튼 수리과학연구소 : 단기체재를 위한 방문객형 초빙제도 |
○ 생활 지원 등 매력적인 연구환경 정비를 통해 국제적 인지도 향상
매력적인 연구환경 정비 ○ (독일) 유럽 분자생물학연구소 : child care제도(자녀의 국제학교 학비 지원 등), 생활편의시설 제공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는 제도 정비 |
③ 우수 인재의 공급원인 연구커뮤니티의 선순환 과정, 뛰어난 리더쉽, 다양한 자금원(資金原) 등 개방형 시스템 활성화
○ 연구커뮤니티는 내부 평가를 통해 뛰어난 인재 유인과 우수한 연구성과 창출 등 거점의 구심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 수행
○ 특히, 내부적으로 거점의 적정규모, 충분한 인센티브가 제대로 작동되도록 하는 관리자 역할이 핵심
관리자(manager) 역할 ○ (독일) 프라운호퍼 오픈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연구소 : 동료간의 커뮤니케이션, 외부기관과의 파트너쉽 중시 |
○ 다양한 자금원의 존재(거점의 초기자금 기반확보)가 중요
다양한 자금원(資金原) ○ (독일) 뮌헨대학 유전자센터: 독일 정부의 대규모 안정적 자금 |
④ 연구 분야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한 거점의 전략적 마인드 중요
연구분야 발전단계별 거점전략 ○ (독일) 프라운호퍼 컴퓨터아키텍처 & 소프트웨어 기술 연구소 |
<유럽의 세계 최고 수준 연구거점 특징 요약 designtimesp=11348>
관련 항목 | 기 준 |
대상 분야 | 기초 연구 및 융합 영역 포함 |
거점의 구심력 |
명성, 연구성과, 연구분야의 선진성, 우수 인재, 외부자금, 독창적 연구 프로그램 등 거점의 국제적 인지도, 네트워크의 장점 혁신적 연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場) 충분한 인프라 정비 및 교육의무 없이 연구에 집중 |
거점형성의 초기자금 | 정부, 대학, 산업계, 관련협회 등 다양한 자금원 |
인재 구성 |
연구테마 선정 및 기획의 크리티칼 매스는 약 2-5명 프로젝트 실행의 크리티칼 매스는 약15-30명 ※ 공공기관, 대학, 해외기관 간의 강력한 파트너쉽 구축 |
거점 형성 공헌자 | 디렉터 혹은 교수 등 복수의 TOP 인재가 공동으로 비전 제시 및 인재 유치, 외부자금 획득 등 로비스트 역할 담당 |
거점 준비‧형성‧확대 소요시간 |
대부분 2~10년의 준비기간 2대 디렉터 혹은 리더 재임기간동안(약 10년) 거점 형성‧확대 |
3. 정책적 시사점
□ 세계 Top 수준 연구거점 형성 및 지원 프로그램의 전략적 추진 필요
○ SRC/ERC, BK21, WCU(World Class University) 등 우수연구집단 육성 사업에서 국제화 및 개방성 요건을 강화
- 외국인 연구자 참여율 제시, 국제적으로 주목되는 연구영역 발굴, 잠재역량이 높은 해외 학자 유치 등을 강조
- WCU사업 등에서 전공분야 개설, 세계적 인재유치 등 지속적 우수인재 유입과 연구성과가 긴밀히 연계될 수 있도록 개방형 교류제도 강화
○ 우수연구집단 육성 프로그램 추진시 분야별 다양성을 반영하여 선정기준, 평가방법, 지원방식 등을 차별화
※ 예) 게놈사이언스의 경우, 규모의 경제가 중요하여 단기간 집중지원이 효과적
○ 연구분야의 발전단계를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국가 연구거점 포트폴리오를 재검토하고, 환경변화와 연구분야의 특징에 따라 재편성
□ 연구커뮤니티 활성화 및 연구‧정주여건 개선에 대한 정책적 노력 강화
○ 연구커뮤니티의 객관적 평가 및 협업 활동 촉진
- 연구자 간 지식 및 아이디어 공유의 장으로서 협업연구 촉진 등 연구커뮤니티 활성화 시책 추진
○ 미국, 유럽의 경우처럼 우수 인재가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생활 지원 등 연구환경 및 관련 제도 개선에 노력
- 세계적인 신진연구자를 유인하기 위한 국제적 인지도 제고(자유롭고 공정한 연구 환경), 우수 인재의 동반 가족에 대한 지원, 전반적인 생활 편의시설 등에 대한 적극적 배려 필요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