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중국, 미래20년이후 기술 예측 분석

  • 국가 중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발간일 2008-08-13
  • 권호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080813-중국 미래 20년 이후 기술 예측.pdf (195.51KB / 다운로드 115회 / 미리보기 0회)
    다운로드 미리보기

1. 개  요
 ○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과학기술 발전추세에 대한 예측(Technology Foresight)을 통해 과학기술전략․정책의 조정 및 자원배분 효율의 향상 모색
 ○ 중국에서는 ’03년부터 중국과학원을 중심으로「중국 미래 20년 기술 예측 연구」사업을 추진
   - 주요 분야별로 3,000여명으로 이루어진 전문가 팀을 구성하여 약 5년에 걸쳐 미래 20년 이후의 기술 발전 방향 및 잠재적인 시장 수요를 분석
   - ‘06년 정보, 통신․전자, 에너지, 재료, 바이오․의약 등 5개 분야에 대한 기술예측 보고서를 발표한 후, 이번에 첨단생산, 자원․환경, 화학․화공, 우주공간 등 4개 분야에 대한 보고서 발표
   -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거쳐 기술의 실현시기, 실현가능성, 현재의 연구개발수준 등을 분석


2. 미래 20년 기술예측분석 주요 내용
□ 분야별 10대 기술과제
 ○ 경제성장촉진, 생활수준향상, 국가안전보장 등 3개 요소에 근거하여 중국의 미래 발전에 중요한 분야별 10개 기술과제 도출
 (1) 첨단제조 분야
* 첨부파일 도표 참조
 (2) 자원 환경 분야
* 첨부파일 도표 참조
 (3) 화학 화공 분야
* 첨부파일 도표 참조
 (4) 우주공간 분야
* 첨부파일 도표 참조


□ 종합적 결과
 ○ 미래발전에 중요한 10대 기술영역
   - 4개 분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국의 미래 발전에 중요한 10대 기술영역을 도출
* 첨부파일 도표 참조
 ○ 기술발전 장애 요소
   - 4대 분야별로 기술발전의 장애요소를 조사한 결과, 연구개발투자, 인적자원, 장비시설, 법규 및 정책과 표준의 순서


 ○ 기술과제 실현 시기
   - 4대 분야의 총 328개 기술과제 중 약 70.8%가 2015~2019년에 실현될 것으로 예측
* 첨부파일 그림 참조


3. 정책적 시사점
□ 주요 국가들에서 과학기술 전략의 관리도구로 기술예측(Technology Foresight) 사업을 강화
 ○ 미래 과학기술의 발전 추세를 분석하는 한편, 다른 국가들과의 발전 수준 비교를 통해 국가의 핵심 기술 영역을 탐색
 ○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대규모의 기술예측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인도, 남아공 등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도 기술예측 및 핵심기술 선택사업을 진행
□ 우리나라도 ’94년부터 5년마다 과학기술예측조사 및 기술수준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과학기술기본계획 등의 수립에 반영
 ○ ’07년 2030년 예측조사를 실시하여 국가중점과학기술을 도출
 ○ ’08년 90개 국가중점과학기술(364개 세부기술)에 대해 델파이조사 등을 통해 기술수준을 평가 중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