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주요국의 서비스사이언스 연구개발 동향

  • 국가 한국 , 중국 , 일본 , 미국 , 유럽연합(EU) , 독일 , 영국 , 핀란드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09-01-01
  • 권호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주요국의 서비스 사이언스 연구개발 동향.pdf (445.04KB / 다운로드 47회 / 미리보기 0회)
    다운로드 미리보기

1. 개  요 
 ○ 일본은 「연구개발력 강화법(08.6)」*을 통해 서비스 사이언스 추진의 기틀 마련
    * 미국 등 경쟁국들의 연구개발시스템 개혁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과학기술을 보다 획기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하여 일본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시스템이 갖고 있는 내부적 한계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법
   - 사회과학 또는 경영관리 등에 자연과학을 응용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연구하여 그 결과를 R&D 사업에 반영할 것을 명기
   - 서비스에 수학 등의 자연과학계 학문을 응용함으로써 서비스업의 효율화나 고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목표
 ○ 주요국의 서비스 사이언스 연구개발 동향분석 결과를 일본 연구개발 시스템 및 자금 배분에 반영하고자 JST에서 보고서 작성
   - 웹·문헌·각종 DB 등 공개 데이터에 기반한 ‘기초조사’와 주요기관과의 인터뷰를 통한 ‘해외검증’ 병행

2. 주요 내용
□ 미국
 ○ 미국과학재단(NSF)은 서비스기업시스템(SES, Service Enterprise System) 프로그램을 통해 ’00~’07년까지 137건의 연구과제 지원
   ※ ▲2006년 : 19건, 566만불 ▲2007년 : 16건, 450만불 ▲2008년 : 18건, 441만불
   - 「유통·판매」, 「의료」, 「방재·안전」 분야가 전체 연구자금의 60% 이상을 차지
   - 모델의 실현성과 적용성 제고를 위해 과제 선정시 서비스 현장의 실제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을 중시
   - 이로 인해 연구자는 실제 데이터 확보를 위해 과제수행 이전부터 산업계 등과 긴밀한 관계 유지


                                          - 미국 SES 프로그램의 분야별 연구자금 구성(’00~’07) -

 ○ IBM은 서비스 사이언스에 관한 연구나 교육을 목적으로 8개 대학, 12명의 연구자에 장려금 지급
   ※ IBM의 CEO가 의장을 맡고 있는 미국경쟁력 협의회의 제언 ‘Innovate America’에서 서비스 산업 혁신을 위한 연구투자의 확대 주장

□ EU
 ○ 제6차 EU Framework Programme에 의거, 범유럽 혁신전문가 네트워크인 유럽 이노바(Europe INNOVA)*라는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서비스 분야 혁신 촉진을 위해 유럽서비스혁신연구원(European Institute for Service Innovation) 설립을 제안
    * 유럽의 혁신과 관련하여 정책분석, 정책학습, 정책개발을 담당하며, 법률가, 정책가, 투자자 등 23개 회원국의 300여 명의 회원으로 구성됨
 ○ 제6, 7차 EU Framework  Programme의 의해 의료·복지, 공공서비스, 항공·운수, 공항관리, 제조 프로세스 부문의 연구 프로젝트 추진

□ 영국
 ○ 혁신대학기술부(DIUS*)는 「혁신국가백서(Innovation Nation White Paper)」(’08.3)에서 서비스 분야 혁신촉진 방안 제시
     * Department for Innovation, Universities and Skills
    ※ (i) 2010년까지 새로운 혁신계측 지표 개발 (ii) 혁신 전반의 연구를 담당하는 Innovation Research Centre 설립 (iii) 공공서비스 대상으로 하는 Public Service Innovation Laboratory 설립 등
   - 혁신연구센터(Innovation Research Centre)는 캠브리지대학과 임페리얼 컬리지가 공동 운영할 예정이며, 연구대상에 서비스업 포함
 ○ 사업기업규제개혁부(DBERR*)가 과학·기술·예술 기금과 제휴하여 「서비스혁신(Innovation in Service)」 프로젝트 추진
     * Department for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 소매업, 로지스틱, 건설, 환경 서비스,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를 대상 부문으로 선정
 ○ 서비스 사이언스 연구는 산업계가 주축이 되었으나, 최근 대학의 참여가 확대되는 추세
   - 서비스 사이언스 연구자 네트워크(SSMEnetUK*)에는 맨체스터 대학을 중심으로 70여 명의 연구자가 참여
    * UK network of researchers in Service Science Management and Engineering (SSME)
   - SSMEnetUK는 서비스 사이언스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가 육성을 목표로 커리큘럼을 개발하였으나 아직 학생들의 호응이 높지는 않은 상황
   - 맨체스터 대학은 IBM과 제휴하여 서비스사이언스센터(Center for Service Science) 설립 추진 중

□ 독일
 ○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Innovation with Services」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혁신을 위한 연구에 5년간 7,000만 유로 지원 계획
   - 서비스업의 경영혁신, 성장분야 개척, 고용기회 창출을 달성하는 핵심기술로서 서비스 엔지니어링, 정보통신, 자동화를 상정
 ○ 프라운호퍼, 산업공학연구소가 타 분야 인재를 영입 후 팀을 결성하여 ‘서비스 프로세스의 최적화’ 등의 연구 수행

□ 핀란드
 ○ 국립기술청(TEKES)은 2006년부터 서비스산업 혁신을 목적으로 「혁신서비스기술(Innovation Service Technology)」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자금 지원 (5년간 5,000만 유로)
   - ‘혁신적 서비스 컨셉의 창출’ 및 ‘서비스 질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설정하여 무역, 로지스틱, 부동산, 금융·보험, 지식집약 서비스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
    ※ 총121건 (‘07년 11월 기준) 중 대학이 30건, 기업이 91건 차지하고 있으며 헬싱키 기술대학이 상당 수 프로젝트를 수행 중

□ 일본
 ○ 문부과학성이 2007년부터 「서비스·이노베이션 인재육성」 프로그램 추진
   - 연간 건당 3천만엔을 상한으로 「비즈니스·IT 분야 등 융합 지식」, 「서비스에 관한 고수준의 지식과 전문성」, 「서비스의 생산성 향상이나 혁신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가진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원
 ○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기술전략맵 2008」*(2008.4)의 대상분야 중 하나로 서비스공학 선정
    * 기술개발의 전략적 중장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정표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2007년도 25개 분야에서 서비스공학 등 4개 분야를 추가한 29개 분야를 작성
 ○ 사회경제 생산성본부가 「서비스산업 생산성협의회」를, 산업기술 종합연구소가 「서비스공학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관련 연구활동 수행 중

□ 한국
 ○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중점과제로 ‘지식기반 서비스 연구역량 확보’를 선정
   - ‘IT기술의 응용에 의한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 ‘컴퓨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 기술의 고도화에 의한 서비스 산업 강화’ 제시

□ 중국
 ○ 「국가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06)에서 주요 분야 중 하나로 ’정보산업 및 근대적인 서비스업‘을 선정
   - IT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물류, 교육, 매스컴, 의료, 여행, 행정 등의 서비스 향상 및 효율성 도모
3. 시사점
 ○ 한국은 서비스 사이언스에 대한 관심도가 낮고, 서비스 R&D 부문의 지원규모도 적으며, 제조업 R&D와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는 실정
   - 서비스 산업의 GDP비중이 57%(’07년 기준)에 해당하지만, 정부 R&D예산 중 서비스 관련 투자는 1%(‘05년 기준)수준에 불과
   - 인간․사회에 대한 연구 등 비기술적 R&D 지원이 필요함에도 아직까지 개별 서비스산업별 필요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기술적 R&D 성격이 강함
 ○ 중기청에서 ‘09년부터「중소기업 서비스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그 외 지원은 미미한 실정
    ※ 신사업 모델, 서비스관리시스템, 선진물류시스템 등 30개 지원 분야 중 기업수요가 많은 10개 분야 중점 지원.과제당 1억원 이내로 총 50억 지원
 ○ 정부는 서비스 산업의 혁신 지원을 위해 ‘09. 6월말까지 범부처 차원의 중장기「서비스 R&D 종합 발전계획」수립 계획
   -「서비스 R&D 종합 발전계획」수립은 ‘09.1 발표한 ‘3단계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에서 확정
   - 그간 제조업에 주로 사용되던 연구개발(R&D)을 서비스 산업 부분에 체계적으로 확대 적용하기 위해 주요 서비스 소관 7개 부처가 공동으로 발전계획 마련
 ○ 한국의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제조업도 고객관리를 위해 서비스 부분 비중 확대
   - 우리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려면 서비스산업 육성이 필요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서비스사이언스 분야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 필요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