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일본, 2010년도과학기술예산 요구액
- 국가 일본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09-01-01
- 권호
일본은 2010년도 예산 편성 절차를 진행 중이며, 각 부처는 예산요구액을 제출. 문부과학성은 이와 관련하여 부처의 전체 예산요구액 중 과학기술관련예산을 정리하여 발표하였음. 2010년도 과학기술예산 요구액은 4조 1,465억엔(한화 54조 5,381억원)으로 2009년도 과학기술예산 대비 16.6%(5,917억엔) 증가하였음. 우리나라의 2010년도 R&D예산은 전년대비 10.5% 증가한 13.6조원(정부 수립안)으로 일본 예산요구액 대비 1/4 수준임
-----------------------------------------------------------
1. 개 요
○ 일본은 2010년도 예산 편성 절차를 진행 중이며, 각 부처는 예산요구액을 제출
- 문부과학성은 이와 관련하여 부처의 전체 예산요구액 중 과학기술관련예산*을 정리하여 발표
※ 일본의 회계 연도(F/Y)는 4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임
* 연구개발(R&D)예산 이외에 과학기술관련 기타 경비 등을 포함
2. 주요 내용
□ 2010년도 과학기술예산요구 총액
○ 2010년도 과학기술예산 요구액은 4조 1,465억엔(한화 54조 5,381억원)으로 2009년도 과학기술예산 대비
16.6%(5,917억엔) 증가
- 과학기술진흥비*는 16,970억엔으로 전체 예산요구액의 40.9% 수준
* 과학기술진흥비는 일반회계 예산으로서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해 사용되는 예산이며, 국립시험연구기관 연구비,
외부 연구기관 연구보조금, 연구출자금 등에 사용됨
(단위 : 억엔)
|
2009년도 예산 |
2010년도 요구액 |
증감액 |
증감율 |
|
과학기술예산 (A) + (B) |
35,548 |
41,465 |
5,917 |
16.6% |
|
1. 일반회계 (A) |
30,191 |
35,753 |
5,563 |
18.4% |
|
|
과학기술진흥비 |
13,777 |
16,970 |
3,193 |
23.2% |
2. 특별회계 (B) |
5,357 |
5,712 |
355 |
6.6% |
주) 개별 금액과 합계액은 반올림으로 인해 일치하지 않는 것이 있음
□ 부처별 과학기술예산요구액
○ 부처별 요구액 현황을 보면, 과학기술 주무부처인 문부과학성이 전체의 65.5%로서 가장 많은 금액을 차지하고 있고,
경제산업성이 14.4%로 두 번째로 큰 규모이며, 방위성 4.3%, 후생노동성 4.3%, 농림수산성 3.9% 순
○ 전년 예산액 대비 증감 현황을 보면, 방위성이 36.1% 증가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이고, 후생노동성이 30.9%로 그다음 순
- 문부과학성은 16.0% 증가로 평균적인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경제산업성은 12.6% 증가로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
<표> 2010년도 과학기술예산 요구액 부처별 현황
|
2009년도 예산액 |
2010년도 예산요구액 |
비고 |
|||||||
|
일반 회계 |
|
특별회계 |
계 (A) |
일반 회계 |
|
특별회계 |
계 (B) |
증감액(B-A) |
증감율 |
과학 기술 진흥비 |
||||||||||
과학기술진흥비 |
||||||||||
국회 |
11 |
11 |
0 |
11 |
15 |
14 |
0 |
15 |
3 |
29.5% |
내각관방 |
643 |
0 |
0 |
643 |
667 |
0 |
0 |
667 |
24 |
3.8% |
내각부 |
180 |
146 |
0 |
180 |
224 |
186 |
0 |
224 |
44 |
24.2% |
경찰청 |
24 |
21 |
0 |
24 |
25 |
22 |
0 |
25 |
1 |
2.4% |
소비자청 |
- |
- |
- |
- |
0.3 |
0.3 |
0 |
0.3 |
0.3 |
- |
총무성 |
683 |
482 |
26 |
709 |
742 |
491 |
26 |
768 |
59 |
8.3% |
법무성 |
63 |
0 |
0 |
63 |
65 |
0 |
0 |
65 |
1 |
2.3% |
외무성 |
126 |
0 |
0 |
126 |
161 |
0 |
0 |
161 |
35 |
27.5% |
재무성 |
15 |
11 |
0 |
15 |
15 |
11 |
0 |
15 |
0 |
-1.2% |
문부과학성 |
21,948 |
8,754 |
1,466 |
23,413 |
25,655 |
11,145 |
1,501 |
27,155 |
3,742 |
16.0% |
후생노동성 |
1,159 |
1,145 |
192 |
1,351 |
1,735 |
1,242 |
33 |
1,768 |
417 |
30.9% |
농림수산성 |
1,341 |
1,187 |
9 |
1,350 |
1,615 |
1,475 |
9 |
1,624 |
274 |
20.3% |
경제산업성 |
1,856 |
1,487 |
3,459 |
5,316 |
2,070 |
1,735 |
3,917 |
5,987 |
671 |
12.6% |
국토교통성 |
569 |
320 |
110 |
679 |
644 |
362 |
127 |
772 |
93 |
13.6% |
환경성 |
255 |
213 |
95 |
350 |
329 |
288 |
99 |
429 |
78 |
22.4% |
방위성 |
1,317 |
0 |
0 |
1,317 |
1,793 |
0 |
0 |
1,793 |
476 |
36.1% |
계 |
30,191 |
13,777 |
5,357 |
35,548 |
35,753 |
16,970 |
5,712 |
41,465 |
5,917 |
16.6% |
주) 개별 금액과 합계액은 반올림으로 인해 일치하지 않는 것이 있음
3. 시사점
○ 최종 확정될 일본의 2010년도 과학기술예산은 요구액인 4조 1,465억 엔(한화 54조 5,381억원)에서 상당부분 감소될 것으로 전망
- 2009년도의 경우, 과학기술예산 요구액은 전년대비 14.4% 증가한 4조 858억 엔이었으나, 최종 예산은 3조 5,548억 엔으로 확정
※ 일본은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 기간인 2006년 이래로 추경예산을 제외한 과학기술예산은 3.5조 엔대에서 정체 중
※ 일본의 2010년도 예산은 12월 말 정부안 확정, 2월 말 의회 심의
○ 우리나라의 2010년도 R&D예산은 전년대비 10.5% 증가한 13.6조원(정부 수립안)으로 일본 예산요구액 대비 1/4 수준
<표> 한국 및 일본의 관련예산 비교
구 분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한국(억원) |
89,096 |
97,629 |
108,423 |
123,437 |
136,000 수준 (정부 안) |
일본(억엔) (중앙정부) |
35,743 |
35,113 |
35,555 |
35,548 |
41,465 (예산요구액) |
<그림> 한국 및 일본의 관련예산 비교(한화 환산치)
※ ’08년도 환율은 OECD MSTI 2009/1에서 발췌, ’09년도 및 ’10년도는 2009년 9월 30일 현재 환율인 1315.28원/100엔 적용
<표> 연구개발비 국제비교
구 분 |
한국 (2008) |
미국 (2007) |
일본 (2007) |
독일 (2007) |
프랑스 (2007) |
영국 (2007) |
총연구개발비 (억US달러) |
312.9 |
3,688.0 |
1,507.9 |
842.3 |
538.8 |
502.9 |
배율 |
1.00 |
11.79 |
4.82 |
2.69 |
1.72 |
1.61 |
GDP대비(%) |
3.37 |
2.68 |
3.44 |
2.54 |
2.08 |
1.79 |
<참고>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예산 중점투자방향 비교
○ 양국 모두 녹색기술(저탄소 사회), 신성장 동력(혁신적 기술), 보건분야(건강 장수사회)의 지원을 공통적으로 강조
○ 차이점으로는 일본은 과학기술 외교, 사회환원 가속 프로젝트, 지역 과학기술정책 추진을 강조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기초‧원천연구, 공공기술(우주분야 등)을 강조
구분 |
한국 ’10년도 중점투자방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09.9) |
일본 ’10년도 최대 중요정책과제 (종합과학기술회의, ’09.6) |
양국 공통 분야 |
신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
혁신적 기술의 추진 |
녹색기술 개발 지원 확대 |
저탄소 사회의 실현 |
|
국민 안전 및 공공기술 |
건강 장수 사회의 실현 |
|
기타 분야 |
기초연구 투자비중 확대 |
과학기술 외교의 추진 |
*사회환원 가속 프로젝트의 추진 |
||
지역 과학기술 정책의 추진 |
* 사회환원 가속 프로젝트
- 과학기술계 전체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가속하여 추진하겠다는 철학
- ‘사회환원 가속 프로젝트’의 사례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구축에 기여하는 연구’ 등 과 같은 것을 의미함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