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일본의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 분석 및 시사점

  • 국가 일본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발간일 2009-01-01
  • 권호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일본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 분석 및 시사점(09-12.pdf (887.85KB / 다운로드 101회 / 미리보기 1회)
    다운로드 미리보기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글로벌 경쟁의 심화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 창출이 지역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보고, 2002년부터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이 사업은 지식축적과 연구역량이 높은 대학, 공동연구기관이 해당지역의 지식거점이 되어 지식을 창출하고 지역 내에 전파함으로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며, 글로벌 경쟁의 심화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 창출이 지역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였으며, 지역 혁신에 있어 대학은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




1. 개  요 

□ 일본 문부과학성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학,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지역 내외의 기업을 참여시켜 구성하는 기술혁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을 추진

 ○ 제1기 과학기술기본계획(1996-2000)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여, 제2기 과학기술기본계획(2001-2005)부터 제1기 지식클러스터 사업을,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2006-2010)에서 제2기 지적클러스터 사업을 수행





<그림 1> 지식 클러스터 창성사업의 개요



 ○ 지식 클러스터의 개념(문부과학성) : 「지식 창조의 거점인 대학,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국제경쟁력 있는 기술혁신을 위한 지식집적」

 ○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을 기반으로 지역 자립화를 촉진하고, 경제산업성을 비롯한 관계부처와 제휴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세계 수준의 지식클러스터 형성을 강력하게 추진

 ○ 대학의 연구성과를 통한 신산업의 창출, 대학으로부터 지역 내로의 우수 인재 공급, 대학을 중심으로 한 사업 창출 관련 정보 교류의 거점 형성을 기대하며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기업에 대한 기술 이전이나 대학발 벤처의 창업 등도 전망



2. 일본의 지식클러스터 구축 방법 및 경과

□ 지식클러스터의 선정 및 평가 방법

 ○ 후보지역 선정 기준

    (1) 지역특성, (2) 핵심지원기관 존재, (3) 활용가능시설 존재

 ○ 제안선정 시 평가항목

    (1) 기초기술의 존재, (2) 산업기반 및 특정영역 기업의 존재, (3) 사업추진체제의 업무능력, (4) 지자체의 사업 추진 역량 및 예산 상황

 ○ 사업의 실질적 내용

    (1) 공동연구, (2) 산학관 연계, (3) 사람 중심의 시스템 구축, (4) 각종 전문가 및 벤처캐피탈의 참여, (5) 지식재산권 보호

 ○ 사업의 평가

    (1) 위원회에서 매년 사업 평가하여, 차년도 사업반영

    (2) 3년째 중간평가 실시

    (3) 5년차 사업종료 후 평가



1) 제1기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

 ○ 사업 개요

   - 사업 성격 : 육성 단계 사업

   - 실시 지역 : 18개 지역

   - 사업 기간 : 2003년 ~ 2007년

   - 사업 결과 : 사업 후 종료 3지역, 2기 사업 계속 15지역

   - 사업 예산 : 한 지역당 5억엔 정도/5년간



<표 1> 제1기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의 지역‧분야
























































번호



선정지역



분야



사업실시


구분



1



가나자와 지역


金沢地域



생명과학


(이시카와 첨단 감지 클러스터)



실시지역



2



기후,오가키 지역


岐阜・大垣地域



생명 과학


(기후현 오가키 로봇 첨단 의료 클러스터)



실시지역



3



교토 지역


京都地域



나노테크,재료


(나노테크 클러스터)



종료지역



4



[큐슈광역클러스터]



종료지역



후쿠오카 지역


福岡地域



정보통신


(후쿠오카시스템LSI설계개발클러스터)



키타큐슈학술연구도시 지역


北九州学術研究都市



정보통신,환경


(키타큐슈휴먼테크노 클러스터)



5



우베 지역


宇部地域



생명과학


(야마구찌, 우베 의료혁신 클러스터)



실시지역



6



히로시마 지역


広島地域



생명과학


(히로시마 바이오 클러스터)



종료지역


















































































번호



선정지역



분야



사업실시


구분



7



다카마쯔 지역


高松地域



생명과학 (바이오클러스터)



종료지역



8



도쿠시마 지역


徳島地域



생명과학


(토쿠시마 보건,의료 클러스터)



종료지역



9



[간사이광역클러스터]



종료지역



오사카 북부(사이토) 지역


大阪北部(彩都)地域



생명과학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



고베 지역


神戸地域



생명과학



10



관서문화학술연구도시지역


関西文化学術研究都市地域



생명과학, 환경, 정보통신



종료지역



11



하마마쯔 지역


浜松地域



생명과학, 정보통신



종료지역



12



아이치,나고야 지역


愛知・名古屋地域



환경, 나노테크, 재료



종료지역



13



나가노,우에다 지역


長野・上田地域



나노테크, 재료



종료지역



14



센다이 지역


仙台地域



정보통신



종료지역



15



토야마,타카오 지역


富山・高岡地域



생명과학, 정보통신, 나노테크,재료



종료지역



16



삿포로 지역


札幌地域



정보통신



종료지역




2) 제2기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

 ○ 사업 개요

   - 사업 성격 : 선택과 집중, 세계 수준의 클러스터 구축

   - 실시 지역 : 9개 지역(2007년 개시 6개, 2008년 개시 3개)

   - 사업 예산 : 지역별 차별 배분/ 5년간

   - 문부과학성의 도시권 산학관 제휴 촉진사업이나 지역 혁신 창출 종합지원사업, 경제산업성의 산업클러스터 계획, 해외 클러스터 등과의 제휴를 강화할 방침

   - 2007년도에 개시된 제2기 사업은 종료된 제1기 지역 중 높은 평가를 받은 7개 지역을 선정하였고, 2008년도 이후 추가 선정하여 제2기 전체적으로 10개 지역 정도를 지원할 계획



<표 2> 제2기 지식클러스터 창성사업의 지역‧분야


































































번호



선정지역



분야



비고



1



삿포로 주변을 중심으로 하는 도오 지역



생명과학, 정보통신



2007년 시작



2



나가노현 전역



나노테크, 재료



2007년 시작



3



도야마, 이시카와 지역



생명과학



2008년 시작



4



교토및 게이한나 학연지역



나노테크, 재료, 환경



2008년 시작



5



후쿠오카, 키타큐슈, 이이즈카 지역



정보통신



2007년 시작



6



간사이 광역지역



생명과학



2007년 시작



7



동해광역



나노테크, 재료, 환경



2008년 시작



8



시즈오카현, 하마마쯔 지역



정보통신, 나노테크,


재료, 생명과학



2007년 시작



9



광역 센다이 지역



정보통신, 생명과학



2007년 시작




○ 사업의 특징

   - 국가가 부담하는 예산 규모는 제1기의 연 5억엔에서 5~10억엔+광역화 프로그램*(0.5억엔 이상/년)으로 확대

     * 클러스터의 경쟁력 강화의 관점에서 국내외를 불문하고 전략적으로 타 지역과의 제휴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

   - 제2기 사업에서는 지역 자립화를 촉진하기 위한 클러스터의 형성에 정부예산의 1/2 이상을 각 지역이 부담



□ 문부과학성의 지식클러스터와 경제산업성의 산업클러스터 비교

 ○ 일본은 1990년대부터 지역에서의 산업 집적을 통해 자립적인 경제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지식클러스터」와 「산업클러스터」 구축을 긴밀하게 연계하여 추진

 ○ 「지식클러스터」 구축은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및 인력을 바탕으로 산학관 공동연구를 통한 신기술 창출을 목적으로 문부과학성과 지자체 주도로 추진

   - 대학 등에서 BT, IT, NT 등 신산업 분야의 기초연구개발 등을 통해 신기술 및 신산업을 창출하는 데 중점

 ○ 「산업클러스터」 구축은 기존 산업을 바탕으로 산학관 네트워크를 통한 신산업의 창출을 목적으로 2001년부터 경제산업성 주도로 추진

   - 지역산업의 수요를 바탕으로 실용화 기술개발(3년 이내) 등을 통한 기존 산업의 고도화와 신산업 창출에 중점

   - 경제산업성의 산업클러스터계획은 제1기 초창기(2001∼2005), 제2기 성장기(2006∼2010), 제3기 자립적 발전기(2011∼2020) 등 단계별로 추진하며, 2008년에 128억엔의 관련 예산을 책정

   - 현재 전국 18개의 프로젝트에서 지역의 경제산업국과 민간 추진 조직이 일체가 되어, 신사업에 도전하는 지역의 중견·중소기업 약 10,700개사, 대학 등 약 290개교(공업고등 전문학교 포함)와 긴밀히 제휴, 협력



3. 정책적 시사점

□ 일본에서 추진하는 지식클러스터의 목적은 지식축적과 연구역량이 높은 대학‧공공연구기관이 해당지역의 지식거점이 되어 지식을 창출하고 지역 내에 전파(지식이전)함으로써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

 ○ 클러스터 간 경쟁적 지원을 지속하고 각 지역의 국제우위성을 평가하여 세계 수준의 클러스터로 발전가능한 지역에 중점 지원

 ○ 지식거점인 대학‧연구소의 지식이전 활성화를 위해 산‧학‧관 연계를 추진하며, 인턴십 등 지역대학과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인재 육성을 추진



□ 글로벌 경쟁의 심화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 창출이 지역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였으며, 지역 혁신에 있어 대학은 중추적 역할을 담당

 ○ 대학은 고부가가치형 인재 및 지적 자본의 주요 원천이자 우수 인재 유입의 원동력으로 첨단 기술기업 유치에도 기여



□ 지방정부·지역혁신주체 주도의 산·학·연·관 협력 강화를 위해 지역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자립적 지역 발전 유도 필요

 ○ 지역의 자생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개입은 축소하고 지자체 주도의 혁신능력 제고 정책을 추진할 필요

 ○ 연구역량이 우수한 지방대학을 지역의 연구개발 선도대학으로 육성하고 공공연구소와 함께 연구‧지식이전의 거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

 ○ 지역의 수요가 큰 지역밀착형 기술개발 및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한 기술개발, 우수 인력의 양성·유인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제 구축 필요



[참고] 지식 및 지식이전

◇ 지식(知識, knowledge) : 광의로는 사물에 관한 개개의 단편적인 실제적(實際的)·경험적 인식을 뜻하고, 엄밀한 뜻으로는 원리적‧통일적으로 조직되어 객관적 타당성을 요구할 수 있는 판단의 체계를 말함

 - 지식은 형식적 표현의 여부에 따라 암묵지와 형식지로 구분되며, 암묵지와 형식지가 서로 선순환 작용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지식을 탄생시킴

 - 암묵지(暗默知, Tacit Knowledge) : 경험과 학습에 의해 몸에 쌓인 지식으로서 형식을 갖추어 표현되지 못하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의 지식. 사람의 머리 속에 전재해 있는 지식으로 언어나 문자를 통해 나타나지 않거나 나타내기 힘든 지식. 이러한 암묵지는 대개 시행착오와 같은 경험을 통해 체득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

   ※ 예 : 손맛, 솜씨, 노하우, 구전되어 내려오는 비법 등

 - 형식지(形式知, Explicit Knowledge) : 암묵지가 문서나 매뉴얼처럼 형식을 갖추고 외부로 표출되어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지식

   ※ 교과서, 대학전공서적, 비디오와 같이 어떤 형태로든 형상화된 지식



◇ 지식이전(Knowledge transfer) : 지식의 근원(the source of knowledge) 역할을 하는 하나의 단위(개인, 조직, 기관 등)에서 지식을 사용하는 다른 단위로 지식과 아이디어가 이동하는 과정

 - 지식이전은 기술이전(technology transfer)을 포함

 - 핵심기술, 노하우, 전문적 지식‧기술이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전환되는 과정을 관리하기 위해 지식이전은 매우 중요

 - 지식이전은 교육, 훈련, 문서자료, 협력 등을 통해 이루어짐



□ 지역클러스터 조성을 위해서는 먼저 지역별 연구개발역량과 산업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역지식지도”의 작성이 필요하며 지역지식지도 작성을 위해 분석해야 할 정보는 다음과 같음

 

 ① 지역별 R&D 투입에 대한 정보 분석을 통해 지역의 기술‧산업별 연구역량 파악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역별‧기술별 연구개발비와 민간부문의 지역별‧산업별 연구개발비, 그리고 연구개발비의 흐름(flow)

   - 지역별‧기술별 연구원 수

 ② 지역별 R&D 성과 및 이전에 대한 정보 분석을 통해 지역의 기술‧산업별 연구성과 창출역량 파악

   - 지역별‧기술별 논문(SCI급)‧특허

     ※ 논문과 특허의 공동저자 및 인용도 분석을 통해 지식의 전파 흐름 및 지역 내‧외의 연관관계 분석도 가능

   - 지역별‧기술별 기술이전 및 사업화 관련 정보

     ※ 기술이전 및 사업화 정보의 분석을 통해 기술의 전파 흐름 및 지역 내‧외의 연관관계 분석도 가능

 ③ 지역클러스터는 해당 지역의 산업과의 연계가 필수이므로 지역의 주요 산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별 강점 산업 파악

   - 지역별‧산업분야별 생산량

   - 지역별 특화산업 및 지자체 주도의 전략산업

 ④ 기존에 추진 중인 테크노파크 등 지역 산업‧기술 클러스터 및 과학산업단지 현황 파악

   - 지역별 테크노파크와 과학산업단지의 현황 및 성과 창출 관련 정보



□ 지역클러스터는 각 지역의 연구개발역량 및 산업‧경제적 특성과 중앙정부가 선정한 신성장동력산업*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분야를 지정해야 함

     * 정부는 시장성과 파급효과, 그리고 녹색성장 연관성을 근거로 17개 신성장동력산업을 선정(’09.1) - 첨부 <표 3>을 참조



□ 우리나라의 지역별 분석 및 지역 내 기관 간 지식‧기술 연계도 작성의 예시

 ○ 지역 간 연구개발역량 및 산업의 강점 비교한 지도 작성

   - 정부‧민간 연구개발비 투입 및 흐름, 연구개발인력의 수, 논문‧특허의 공저자 및 인용도, 산업별 생산량 등을 분석





※ 자료 : 국과위‧교과부, 200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009.9

<그림 2> 지역별 분석 사례



- 2008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역별 주요 기술분야 연구비 분포

 ○ 지역 내 지식‧기술이전 지도 작성

   - 지역 내 특정 지식‧기술에 대한 대학‧공공연구기관‧기업의 연구개발비 및 연구개발인력의 분포 및 흐름을 통해 지식거점 기관 및 기관별 연구개발역량 파악

   - 지역 내 대학‧공공연구기관‧기업 간의 논문‧특허의 공저자 및 인용도, 기술이전‧사업화 등의 지식‧기술 이동경로 파악을 통해 기관 간 연관관계도 작성







※ 기관을 둘러싼 원의 크기는 해당 기관의 지식(논문, 특허, 기술이전 등) 창출 역량에 비례

※ 기관 간 연결선의 굵기는 기관 간의 지식이전‧공유의 강도에 비례

<그림 3> 지역 내 특정 지식‧기술의 전파 관계도의 예


지역지식지도 작성을 위해서는 관련 데이터 및 분석 툴의 구입에 수천만원 비용과 수개월의 분석 및 지도 제작 기간이 소요되므로 별도의 과제로 수행 필요


[첨부] 지역지식지도 작성 시 참고 지표자료의 예



※ 자료 : 국과위‧교과부, 200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009.9

<그림 1> 2008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역별 미래유망신기술(6T) 연구비 분포







주 : 16개 시도기준 지역 내 공동연구는 분석에서 제외

   (자료) 특허청/특허정보원(2007),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07.12)에서 재인용

<그림 2> 권역 간 협동연구 현황 : 공동특허출원 기준



<표 1> 2008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역별 6T 분야의 연구비 분포

(단위 : 억원)







































































































































































구분



IT



BT



NT



ST



ET



CT



서울



3,762



5,376



1,217



1,855



2,312



234



인천



400



261



182



99



645



11



경기



2,854



3,390



689



84



2,408



70



대전



6,657



2,420



1,133



4,261



3,658



90



부산



405



610



135



27



459



52



대구



398



378



170



5



273



33



광주



470



394



255



9



282



31



울산



50



95



39



112



100



0



강원



41



701



41



0



172



18



충북



160



465



96



3



199



19



충남



408



381



92



26



379



25



전북



83



674



183



6



227



14



전남



57



306



29



563



89



23



경북



302



452



472



1



262



21



경남



426



411



215



846



1,274



11



제주



39



294



8



0



24



17



총계



16,511



16,607



4,957



7,897



12,764



670



※ 자료 : 국과위‧교과부, 200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009.9



<표 2> 지역별 전략산업






































































지역



전략산업



서울



디지털컨텐츠, 바이오, 정보통신(멀티미디어)



부산



항만물류, 기계부품소재, 관광컨벤션, 영상/IT



대구



메카트로닉스, 전자‧정보기기, 섬유, 생물



인천



물류, 자동차, 기계금속, 정보통신



광주



광, 정보가전, 자동차/첨단부품소재, 디자인/문화



대전



정보통신, 바이오, 첨단부품‧소재, 메카트로닉스



울산



자동차, 정밀화학, 조선해양, 환경



경기



정보통신, 생명, 문화컨텐츠, 국제물류



강원



바이오, 의료기기, 신소재‧방재, 관광문화



충북



바이오, 반도체, 이동통신, 차세대전지



충남



전자정보기기, 자동차, 자동차부품, 첨단문화,


농축산바이오



전북



자동차부품‧기계, 생물, 방사선융합, 대체에너지,


전통문화/영상/관광



전남



생물, 신소재/조선, 물류, 문화관광



경북



전자‧정보기기, 신소재/조선, 물류, 문화관광



경남



지식기반기계, 로봇, 지능형홈, 바이오



※ 자료 : 과학기술부 등, 제3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08~2012), 2007.12



<표 3> 신성장동력산업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녹색기술산업



(6)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에너지, 고도 물처리, LED 응용, 그린수송시스템, 첨단 그린도시



첨단융합산업



(6)



방송통신융합산업, IT융합시스템, 로봇 응용, 신소재‧나노 융합,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고부가 식품산업



고부가서비스산업



(5)



글로벌 헬스케어,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 금융, 콘텐츠‧소프트웨어, MICE․관광



※ 자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미래기획위원회, 신성장동력 비전 및 발전전략, 2009.1


<표 4> 테크노파크의 지역별 현황

























































































지역



사업시행자



특화분야



서울



(재)서울테크노파크



MSP(micro system packaging),


NIT(NT+IT) 제조장비, NIT인력양성



부산



(재)부산테크노파크



항만, 물류, 자동차, 첨단기계부품, S/W, 정보통신, 조선, 해양자재



대구



(재)대구테크노파크



전기전자,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인천



(재)송도테크노파크



전자, 정보통신, 자동차부품,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디지털설계가공, 나노표면기술



광주



(재)광주테크노파크



LED/LD, 광통신/광응용, 전자부품



울산



(재)울산산업진흥


테크노파크



자동차, 조선, 화학, 환경, 소재



경기



(재)경기테크노파크



전자/정보통신, 자동차부품, 바이오, 로봇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가구관련기술, 디자인, 환경,


에너지 및 의료바이오, 디지털디자인,


지역농산물 첨단기술화, 염색,


피혁관련기술, 디자인



강원



(재)강원테크노파크



바이오, 의료기기, 신소재, 해양생물



충북



(재)충북테크노파크



BT, IT, BIT(BT+IT)



충남



(재)충남테크노파크



전기, 전자, 영상미디어, 자동차, 바이오



전북



(재)전북테크노파크



기계/자동차, 생물, 문화, 영상, 관광, 신재생에너지 및 양성자 방사선융합기술(RFT)



전남



(재)전남테크노파크



신소재, 조선, 생물, 문화관광, 물류



경북



(재)경북테크노파크



섬유, 자동차, 기계, 바이오, 한방식품,


IT, 전자



(재)포항테크노파크



철강, 나노신소재, 바이오의료소재, 에너지소재, 지능로봇



경남



(재)경남테크노파크



항공우주, 메카트로닉스, 로봇, 정밀기기



※ 자료 : 한국테크노파크협의회(http://www.technopark.or.kr)


<표 5> 2007년 지역별 제조업분야별 연구비 현황 분석(기업체)

(단위 : 억원)






















































































































































































































































제조업 분야



전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음식료품 및 담배



3,311



883



51



15



191



4



701



0



936



74



132



156



56



21



22



61



6



섬유, 의복 및 가죽제품



1,465



743



136



111



3



13



5



0



193



0



10



2



80



16



143



10



0



목재, 종이, 인쇄 및 출판



403



64



4



8



53



0



146



2



65



0



4



14



8



0



12



23



0



코크스, 석유, 핵연료, 화합물 및 화학제품, 고무 및 프라스틱 제품



23,995



1,514



392



187



508



904



6,196



682



9,237



111



770



1,386



352



306



648



793



9



비금속 광물제품



1,419



36



7



11



37



11



76



21



276



25



78



577



41



46



90



86



1



제1차 금속산업



4,158



35



55



24



228



4



37



183



330



0



36



379



99



734



1,885



131



0



조립금속제품



1,716



176



175



97



206



16



15



24



453



0



137



86



4



32



77



218



0



기계장비, 기구 및 운수장비



176,348



23,895



4,270



1,629



12,883



1,167



2,465



2,349



95,075



523



3,629



9,528



1,796



578



7,636



8,803



121



가구 및 기타 제조업



556



216



10



5



32



52



12



0



137



5



6



8



0



0



67



4



3



재생재료 가공 처리업



17



0



0



0



3



0



0



0



8



0



0



1



0



2



0



3



0



제조업 전체



213,389



27,564



5,099



2,086



14,145



2,171



9,652



3,261



106,711



737



4,802



12,138



2,437



1,736



10,580



10,132



140



※ 자료 : 교육과학기술부‧KISTEP, 2008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08.12



<표 6> 2007년 지역별 제조업분야별 연구원 현황 분석(기업체)

(단위 : 명)




















































































































































































































































제조업 분야



전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음식료품 및 담배



3,358



847



74



29



179



10



355



0



957



100



257



210



90



30



58



150



12



섬유, 의복 및 가죽제품



1,464



790



103



174



10



5



13



0



218



0



9



4



37



8



73



20



0



목재, 종이, 인쇄 및 출판



461



117



11



10



48



0



84



17



95



0



14



12



16



0



10



27



0



코크스, 석유, 핵연료, 화합물 및


화학제품, 고무 및 프라스틱 제품



17,936



1,401



544



277



554



276



3,363



466



7,019



148



777



1,239



352



238



500



761



21



비금속 광물제품



1,299



57



12



12



44



15



57



16



273



30



99



407



42



59



93



78



5



제1차 금속산업



1,617



73



89



23



198



5



22



53



254



0



32



123



48



151



442



104



0



조립금속제품



2,036



246



159



137



282



20



23



28



537



1



121



90



10



36



102



244



0



기계장비, 기구 및 운수장비



123,418



18,951



2,106



1,698



5,275



926



2,126



2,396



66,307



313



1,966



6,753



1,206



384



6,290



6,643



78



가구 및 기타 제조업



740



253



18



5



53



19



24



0



266



10



5



11



0



0



59



12



5



재생재료 가공 처리업



43



5



0



0



7



0



0



0



18



0



0



3



0



5



0



5



0



제조업 전체



152,372



22,740



3,116



2,365



6,650



1,276



6,067



2,976



75,944



602



3,280



8,852



1,801



911



7,627



8,044



121



※ 자료 : 교육과학기술부‧KISTEP, 2008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08.12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