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미국의 미래를위한 가속기 개발
- 국가 미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발간일 2010-01-01
- 권호
청정에너지 생산, 질병 진단 및 신의약품 개발 등 첨단 기술분야를 포함해 환경, 경제,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속기의 활용방안 및 관련 이슈를 분석하였음. 연구용 외에도 산업용 가속기의 활용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과 첨단기술 개발에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관련 기술을 어떻게 국가와 국민의 필요에 맞게 적용시키고 산업에 폭 넓게 연계시킬 것인가의 문제에 직면함. 결국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의 간극을 메워줄 실질적 정책지원이 필수요소임
---------------------------------------------------------------------------------------
1. 개 요
□ 미국 에너지국은 가속기관련 과학‧기술 전략의 수립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본 보고서를 발간
○ 본 보고서에서는 다양한 산업 및 안보‧국방 분야 등에서 가속기의 활용 가능성과 미국의 가속기 연구 관련 주요 이슈를 다루고 있음
가속기 (Accelerator) ◇ 전자나 이온을 가속하여 빛의 속도에 가깝게 속도를 높여주는 장치 -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입자나 이온을 활용하면 물체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갈 수 있어 미시세계의 연구가 가능 - 또한 이러한 연구는 우주의 기원을 밝히고 새로운 원소를 만들거나 신소재의 연구, 미세구조물 가공 등 광범위한 영역에 활용이 가능 ◇ 가속기는 가속입자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
※ 가속형태에 따라 원형가속기, 선형가속기로도 구분 |
2. 가속기의 활용 및 관련 시장
○ 국가적 난제의 해결에 기여 가능
- 가속기는 환경, 일자리, 경제적 안보, 국방, 테러리즘 등 국가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난제의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더욱 청정한 에너지의 생산에 활용 가능
- 혁신적인 가속기 기술을 핵에너지 공급에 접목시켜 에너지를 좀 더 안전하고 깨끗하게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핵폐기물도 감소
○ 의약분야에 대한 다양한 기술 응용
- 질병 진단, 종양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거, 단백질 지도 작성, 새로운 의약품 개발, 다양한 의료기기 개발 등이 가능
○ 산업분야에서의 가속기는 기존 제조업 생산과정을 보다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대체하는데 기여
○ 연구용 거대 가속기* 외에도 산업현장 등에서 다양한 가속기 활용
* 미국 페르미연구소 Tevatron, 브룩헤이븐연구소 Relativistic Heavy Ion Collider, 스위스 제네바 CERN 강입자가속기(Large Hadron Collider)
- 현재 전 세계에 약 3만개의 입자 가속기가 현장에서 활용 중
- 의학 및 산업 가속기 시장은 연간 35억 달러에 이르고 있으며 매년 10%이상 성장
※ 매년 5,000억 달러 규모의 상품이 가속기에 의해 생산‧처리‧검사 과정을 거침
(출처) IAEA Working Material on Industrial Electron Beam Processing, 2009.4
< 산업용 가속기 시장의 구성 >
3. 세계 각국 동향
□ 유럽 및 아시아 국가는 이미 차세대 가속기 기술을 현 세대의 도전과제로 인식하고 대처
○ 벨기에 정부는 미라(MYRHA)프로젝트*에 13억 달러를 투자(’10.3)하여 2,000개 이상의 장기 일자리 창출을 도모
* 가속기를 활용하여 핵폐기물을 비방사능 물질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젝트
○ 중국과 폴란드는 가속기를 활용하여 배기가스를 화학비료로 전환하는 사업 추진
○ 일본과 독일은 가속기의 이온빔(Ion Beam)을 활용하여 암환자의 치료 등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
< 세계 각국의 양성자‧중이온가속기 시설 비교 >
(출처) 성균관대‧KISTEP, 중이온가속기 구축 계획 수립 연구, 2010.6
4. 가속기 관련 미국의 주요 이슈
○ 가속기 기술의 발전과 응용을 주도해왔던 미국은 현재 많은 분야에서 타국에 뒤처지고 있으며 그 격차 또한 커지고 있음
- 가속기를 활용한 국가적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함께 국가 차원의 프로그램과 정책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함
○ 가속기 관련 핵심 이슈는 순수 기초과학연구 결과인 최첨단 기술을 어떻게 국민‧국가의 건강, 부, 안보와 연결시킬 것인가의 문제
- 공공연구기관 및 대학 연구실의 기초연구에서 혁신적인 가속기 기술을 개발하고,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국가적 필요에 맞게 적용시키고 산업에 연결시키는 메커니즘이 중요
○ 가속기의 기초 연구와 응용연구의 간극을 메워줄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 필요
- 가속기 관련 R&D 분야의 연구비지원체계 미흡, 관련 국가시설 및 실증설비의 부족, 위험부담 회피, R&D 주체간의 미흡한 협력연구를 해결할 정책적 지원 필요
※ 특히 지금보다 훨씬 향상된 연구기관간, 프로그램간, 산업간 협력이 절실
○ 미국 가속기 과학자‧공학자의 훈련 및 교육 강화 필요
- 가속기의 지속적인 기술혁신의 관건은 다음세대 과학자의 손에 달려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교육 훈련의 강화는 매우 중요한 문제
- 가속기 연구를 하나의 독자적인 과학 분야로 인정하는 것도 필요
5. 정책적 시사점
□ 대형연구시설은 국가의 기초과학역량을 향상시키는 촉진제 역할
○ 가속기와 같은 대형연구시설은 국제적 연구네트워킹 및 우수인력 유치의 구심점이 되며, 노벨과학상 수상의 핵심 인프라
※ 노벨물리학상 중 약 20%는 가속기와 관련된 연구
○ 우리나라는 포항 방사광가속기의 성능향상, 경주 양성자가속기 건설(’12 완공),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중이온가속기 건설을 추진 중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는 국제적 수준의 기초과학연구거점
○ 올해 중이온가속기의 개념설계가 완료되면, 내년부터 상세설계를 추진하고 부품 제작 및 건설에 착수해야 하나 과학벨트 특별법의 통과 지연으로 인해 사업 추진의 불확실성 증대
[참고] 가속기 관련 역대 노벨상 수상자
연도 |
수상자 |
기관 및 국가 |
내 용 |
1939 |
E. Lawrence |
Univ. of California, Berkeley, USA |
싸이클로트론 가속기 발명 |
1951 |
|
Atomic Energy Research Establishment, United Kingdom |
가속기 개발 및 이를 이용한 핵종 변환 |
1959 |
E. G. Segrè, O. Chamberlain |
Univ. of California, Berkeley, USA |
반양성자 발견 |
1960 |
D. A. Glaser |
Univ. of California, Berkeley, USA |
가속기 핵반응 측정용 버블챔버 발명 |
1961 |
R . Hofstadter |
Stanford Univ. USA |
전자산란을 이용한 핵구조 연구 |
1967 |
H. A. Bethe |
Cornell Univ. USA |
핵반응 이론 및 별 에너지 발생 연구 |
1968 |
L. Alvarez |
Univ. of California, Berkeley, USA |
입자 공명 상태 발견 |
1975 |
A. N. Bohr B. R. Mottelson L. J. Rainwater |
Niels Bohr Institute Denmark, |
원자핵 구조 연구 |
1976 |
B. Richter |
SLAC, USA |
J/Ψ 입자의 발견 |
1979 |
S. Glashow A. Salam |
Harvard Univ. USA 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ctical Physics Trieste Pakistan Harvard Univ. USA |
전자기작용과 약작용 통일적 기술 이론 발견 |
1980 |
J. Crownin |
Univ. of Chicago, USA |
K-메존 붕괴로부터 대칭성 깨침 발견 |
1983 |
W. A. Fowler |
Caltech, USA |
천체핵합성반응 연구 |
1984 |
C. Rubbia |
CERN, Italy |
약력매개입자 W,Z 발견 |
1988 |
L. Lederman |
Fermilab. USA |
뮤온뉴트리노발견과 특성연구 |
1990 |
J. I. Friedman, |
MIT, USA |
양성자, 중성자에 대한 비탄성 전자 산란 연구 |
1992 |
G. Charpark |
CERN, France |
입자추적검출기 발명 |
1994 |
B. N. Brockhouse |
McMaster Univ. Canada |
중성자 산란 이용 물성 연구법 개발 |
1995 |
M. L. Perl |
Stanford Univ. USA |
타우입자발견 |
뉴트리노 검출 |
|||
1999 |
G. Hooft |
Utrecht Univ. Netherlands |
전자기약작용 연구 |
2004 |
D. J. Gross |
Univ. of California, USA |
강한 상호작용 연구 |
2008 |
Y. Nambu |
Univ. of Chicago, USA |
대칭성 연구 |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