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과학의 지식생산과정에 관한 조사 결과

  • 국가 일본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0-01-01
  • 권호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과학의 지식생산 과정에 관한 조사 결과.pdf (443.39KB / 다운로드 39회 / 미리보기 0회)
    다운로드 미리보기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와 히토츠바시 대학의 혁신연구센터가 공동으로 과학의 지식생산 과정 및 혁신창출의 구조적 특징 규명을 위해 기초자료인 객관적 데이터 수집 목적의 연구를 수행함. 데이터는 연구과제를 분석단위로 하여 과학 전분야의 정보를 수집하였음. 조사결과, 인재의 다양성이 높은 연구팀을 형성하는 것이 연구과제 실시에 중요한 요소였으며, 국제공동연구와 산학연 협동연구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역량을 가진 연구자의 참여와 신진연구자들의 혁신적 연구 수행의 중요성이 강조됨

-------------------------------------------------------------------------------------



1. 연구 배경 및 목적


과학의 국제경쟁력 및 혁신창출력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


- 과학의 지식창출 과정 및 혁신창출 과정을 밝히는 실증연구 부재


과학기술정책연구소와 히토츠바시 대학 혁신연구센터는 <과학의 지식생산 과정에 관한 조사>를 공동 실시


- 일본과 미국의 전 과학분야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본 보고서는 과학의 지식생산 과정 및 혁신창출의 구조적 특징 규명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인 객관적 데이터 수집이 목적


※ 일본은 2009년 말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미국은 조지아공대와 협력 하에 2010년 가을 조사 실시 예정


향후 논문 등의 외부 데이터와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연계하고, 과학‧경제학 등의 최신이론을 바탕으로 과학의 지식생산과 혁신창출의 과정에 대한 해석 실시 예정










[본 연구의 설문 문항]


연구과제 중 순수기초연구, 목적기초연구, 응용연구의 비율


연구프로세스 소요 시간과 연구자금의 확보 방법


③ 국제적 경쟁상황의 이해 및 해당 연구에 대한 본인의 위치 인식


④ 목표 연구성과 이외의 결과(serendipity) 획득의 중요성과 결과 발생의 용이성


⑤ 일본 연구자의 학술적‧국제적 위치와 연구자 조직간의 이동성


매니지먼트 측면에서 연구과제의 대처 방법


특허 등 연구성과 창출 정도 및 연구방법론의 도출 방법


연구성과 기반의 혁신 창출 방법(라이센스, 표준 공헌, 산학연계연구, 창업, 기술지도 등) 및 발생 빈도




2. 조사방법


분석단위는 연구과제로 하며, 해당 과제의 참여자에게 포괄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과학 전분야의 연구과제에 대한 정보 수집


- 연구과제 파악을 위해 2001년~2006년의 논문 표본 추출


논문 표본의 추출 → 논문과 설문조사 대상자 연결 → 조사 대상 논문의 결정


약 1만개 논문의 책임저자를 설문 대상자로 선정


- 복수 논문의 저자는 고피인용도 논문을 우선하고, 없는 경우 논문 1건을 무작위 추출하여 조사대상 논문으로 선정


- 최종 7,652명의 조사 대상자 결정 (고피인용도 논문 대상 연구자 1,932명 및 일반논문 조사대상 연구자 5,720명)


고피인용도 논문이 생산된 연구과제를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일반논문이 생산된 연구과제를 일반군이라고 함


○ 웹을 통한 설문조사 실시


* (조사기간) 2009년 12월 21일 ~ 2010년 4월 11일










󰋮 고피인용도 논문 : 매년 각 저널 분야에서 피인용회수 상위 1%에 속하는 논문 중 저자 1인이 일본 기관에 소속된 논문 (약 3,000 건)


󰋮 일반논문 : 고피인용도 논문을 제외한 논문에서 저자 중 1인이 일본 기관에 소속된 논문 (약7,000 건)


* 논문의 모집단은 톰슨-로이터사의 Web of Science에 포함되는 Articles 및 Letters 이용(Review 제외)


** 저널 분야는 톰슨-로이터사의 Essential Science Indicators에 이용되는 22가지의 저널 분야 분류를 채용




3. 조사결과


인재의 다양성이 높은 연구팀*을 형성하는 것이 연구과제를 실시하는데 중요


* 인재의 다양성이란 해당 연구과제의 참여 연구원의 전문분야, 출생국, 전문기술 분야, 소속기관 등 다양한 스펙을 의미


과학연구의 대부분은 개인이 아닌 팀 중심으로 수행


- 단독 저자의 비율은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3.0% 및 일반군 6.9%





                                   < 연구팀에서 인재의 다양성 >


□ 과학연구는 불확실한 과정이며, 뛰어난 성과는 불확실성을 살리는 것에서 시작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에는 연구자의 예상을 크게 웃도는 연구성과가 많음 (32%, 일반군 14%에 비해 현저히 높음)


-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연구과제의 76%, 일반군 연구과제의 65%가 당초 연구목표 이상의 연구성과(serendipity)를 획득


“Serendipity”란 과학분야 연구에서 얻은 뜻밖의 중대한 발견 및 발명을 의미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연구과제가 생산하는 논문 및 특허의 수가 많으며, 공동‧수탁연구과 연결되는 비율이 높음


논문, 인재육성, 공동연구‧수탁연구, 기술지도, 특허출원, 실시허락‧양도, 표준 및 창업 등 다양한 성과 양산


-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연구과제는 일반군 연구과제보다 약 2배의 논문 생산(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15건, 통산군 7건(중위값))


-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연구과제가 특허출원, 창업 등과 연결되는 비율도 높음(1.3배 이상)


□ 박사과정후기의 대학원생 및 포스트 닥터는 연구의 실질적인 담당자로서 논문에 크게 관여


대학에 속한 논문은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37%, 일반군 29% 차지


- 이 중 포스트 닥터가 제1저자인 논문 비율은 고피인용도 논문산출군 20%, 일반군 9.3%













5.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과학 전분야의 연구과제 수행 과정에서 지식생산 및 혁신창출의 과정에 대한 실증 데이터 확보


- 연구 성과, 참여 인력의 다양성, 연구비의 활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식의 창출 방법 및 과정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


- 향후 구체적인 결과들을 종합하여 효율적인 연구성과 및 혁신창출을 위한 방안 제공 예정


※ 이번 결과는 향후 지식 및 혁신창출을 입증하기 위한 기초적인 설문조사 결과


다양한 스펙을 가진 연구자의 참여는 연구성과의 질을 향상시키므로 국제공동연구와 산‧학‧연 협력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역량 및 배경을 가진 연구자의 참여를 촉진할 필요


국제공동연구와 국제협력연구의 성과는 논문‧특허 중심으로 볼 때, 단독연구에 비해 연구성과가 질적으로 우수(KISTEP 이슈페이퍼 2009-05)


포스트 닥터 등 창의적 아이디어와 활발한 연구의욕을 가진 신진연구자의 혁신적‧모험적 연구 지원 확대 필요


정부는 순수과학을 전공한 20, 30대 젊은 과학자들에게 석박사 학위 취득 후 5년간 일자리와 연구비를 제공하는 대통령 장학금 신설을 검토 중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