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일본 및 주요국의연구활동 변화 분석

  • 국가 일본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0-01-01
  • 권호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일본 및 주요국의 연구활동 변화 분석.pdf (477.96KB / 다운로드 42회 / 미리보기 0회)
    다운로드 미리보기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에서 1981년-2009년까지의 자연과학분야 논문에 대한 서지분석을 통해 주요국과 일본의 연구활동을 비교, 분석함. 세계 전체의 논문수는 증가추세에 있으며 일본은 90년대에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는 증가율이 둔화되었고, 상대피인용도도 미국 1.51, 영국 1.42 인데 비해 일본은 1.09로 격차가 생기고 있었음. 또한 국제적으로는 공동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비해 일본은 주요국과의 국제공동연구 비율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함

------------------------------------------------------------------------------------



1. 개요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에서는 기초연구의 결과물인 논문에 대한 서지분석을 통하여 주요국과 일본의 연구활동을 비교·분석


*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문부과학성 산하 조직


- 자연 과학분야의 학술 논문’81년부터 ’09년까지의 논문을 조사 대상으로 함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논문(Article, Review, Letter&Note)정보를 활용하여 분석


- 개별지표*복합지표**를 산출하여 국가별, 분야별로 비교·분석


* 총 논문수, 피인용수 기준 상위 10% 논문수, 피인용수


** 총 논문수 대비 상위 10% 논문수, 상대 피인용도(피인용수를 전체 논문의 평균 피인용수를 기준으로 상대화한 값)














◇ Web of Science



 



․톰슨로이터(Thomson Reuters)가 운영하는 온라인(online) 논문정보 서비스


과학, 사회과학, 예술 및 인문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저널 11,600여종과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Database로 구성


-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 Arts & Humanities Citation Index

- Conference Proceedings Citation Index

- Index Chemicus

- Current Chemical Reactions


색인(Index)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논문의 저자가 인용한 문헌에 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어 이를 통해 서지 분석 가능







                                               <표> 분석 체계























































구분



지표



단위



분석 관점



개별지표



A. 논문수



A1. 수



◇ 분석 대상별

- 나라, 조직 구분 등




분야별


- 물리, 화학, 기초 생명과학 등




◇ 시계열 분석


- 3년 이동평균, 5년 누적 등



A2. 비중(%)



A3. 순위



B. 상위 10% 논문수



B1. 수



B2. 비중(%)



B3. 순위



C. 피인용수



C1. 수



C2. 비중(%)



C3. 순위



복합지표



D. A에 대한 B의 비율



D1. 정도



E. 상대피인용도*



E1. 정도




 


2. 분석 결과


세계 전체 논문 수는 증가추세에 있으며 일본의 논문 수는 ’90년대에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는 증가율이 둔화


- 중국은 ’90년대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06년 세계 제2위 수준(논문수 기준)





                               

                                        <그림> 주요국의 논문수 추이


2000년대 이후 전체 상위 10% 우수 논문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저하되는 경향


- 전체 상위 10% 우수논문에서 차지하는 일본의 상대적 비율은 감소 추세 (’09년 일본 7.8%, 영국 13.2%, 독일 12.7%)


- 중국 및 신흥국의 대두에 따라 상대적인 비중이 저하되고 있으며, 화학이나 재료과학분야의 경우 일본의 우수논문 수도 감소





             <그림> 전체 상위 10% 논문 중 주요국의 비율  












우수 저널과 관련하여, Science誌내 논문수(논문수 및 우수논문수)상승한 반면 Nature誌는 저하 경향


- 임상의학 분야 주요 저널*에서는 중국이 일본을 추월


*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및 Lancet


상대피인용도는 과학기술 전분야에서 일본이 1.09로 세계 평균 상회(‘09)


- 미국(1.51), 영국(1.42) 등의 선진국과 격차 존재


- 화학, 물리학은 상대피인용도가 1를 상회하며, 환경, 지구 과학, 임상의학, 기초 생명과학은 현재 상승 기조


기관 유형별 논문 산출은 국립대학이 가장 많으며, 사립대학, 독립 행정법인 순


- 상위 10% 우수 논문수도 국립대학이 가장 높으나, 그 증가율은 답보상태로 일본 전체의 우수논문 산출 침체의 원인


※ ’90년대 후반 이후 국립대학의 우수논문 비중은 일정하고, 독립 행정법인의 논문 비중은 향상되는 추세


 


<그림> 기관유형별 논문 점유율(%)             <그림> 기관유형 상위Top10% 논문 점유율(%)



국제 공동논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


- 주요국의 국제 공동논문 비율*은 ’80년대부터 완만히 상승기조


* ’07년~’09년 평균 : 프랑스(49.9%), 영국(48.5%), 독일(48.7%), 미국(31%), 중국(22%)


- 국제 공동논문 비율은 물리학, 환경·지구과학 분야가 매우 높고, 의학, 화학, 재료 과학, 공학에서는 비교적 낮음


- 단일 국가의 논문에 비해 국제 공동논문의 피인용도가 높음


일본의 국제 공동논문 비율은 세계평균보다 높지만 미국, 유럽과 큰 차이


* ’07년~’09년 평균 : 세계평균(20.4%), 일본(25%)


- 일본은 주요국과의 국제 공동 연구의 비율도 점차 낮아짐





                                          <표> 일본의 주요 국제 공동 연구 상대국(2007-2009,%)























 



1위



2위



3위



4위



5위



국가명 (비율)



미국 (37.4)



중국 (15.7)



독일 (9.7)



영국 (9.5)



프랑스 (7.1)




※ 재료과학(29%)분야는 중국이 일본의 국제 공동 연구 상대국 1위


3. 시사점


일본은 최근 논문 수 증가율 및 국제 공동 연구 비율이 하락하여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으나, 여전히 기초연구 강국


- 일본은 그간 꾸준한 기초연구 육성정책의 추진으로 노벨상 수상* 등의 성과를 창출한 기초연구분야 선도국가


* ’86년에서 ’10년까지 노벨 화학, 물리, 생리·의학상 15명 수상


우리나라는 기초·원천연구 성과의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이 미흡하여 R&D 결과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지속적 노력 중


SCI 발표 논문수는 ‘09년 11위(38,651편)인데 비해, 5년 주기별 평균 피인용도 횟수는 30위(3.47회)수준(SCI분석 연구, 교과부·KISTEP, '10.11)


기초연구비 비중은 증가되었으나,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개인·소규모 단위의 연구비 수혜율은 아직 낮은 실정


※ 정부R&D의 기초연구 비중 : 25.6%(’08)→31.3%(’10)→35%(’12*)


이공계 교수 개인·소규모연구 수혜비중 : 13%(’07)→25.4%(’10)→ 35%(’12*)


* ’12년 수치는 이명박 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 상의 목표치


미래 신생분야 및 새로운 융합연구 영역 발굴 지원 강화 등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주요국의 공동연구의 강화추세와 국제 공동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국제 공동연구 강화 필요


※ 본 보고서에서는 서지분석 결과 단일 국가의 논문에 비해 국제 공동 논문의 피인용도가 높아 질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언급


우리나라의 국제 공동논문 비율은 일본보다 높지만 최근 하락추세



             <그림> 국가별 국제 공동논문비율 추이(%)


글로벌 수준의 다자간 연구개발프로그램 참여 및 양자간 협력 추진등을 통해 국제 공동연구 및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


- 선진국 주도의 다자간 국제공동연구* 참여 지원을 통하여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인력교류 강화


* EU Framework Program, EUREKA, CERN, ITER 등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