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유럽 바이오기반경제의 현황과 미래
- 국가 유럽연합(EU)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1-01-01
- 권호
유럽연합은 2020년까지 바이오기반의 지속가능한 경제건설 추진을 위한 세부전략 수립에 앞서 다양한 계층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집, 종합하여 공개함. 바이오기반 경제의 잠재적 효과와 위험에 대해서 응답자의 60% 이상이 대체로 바이오기반 경제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비식량 용도로의 사용 증가에 따른 저개발국가의 식량안보 및 자원 고갈 문제를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음. 또한 주요 장애요인으로는 정책입안자와 관련 이해관계자간의 불충분한 연계성을 지적했으며,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중장기적 전망 및 영향 분석의 부족을 지적하는 의견도 다수였음. 바이오기반 경제 건설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융합적 연구개발 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중요하며, 대중과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토대로한 사회적 인식 제고도 중요하다고 평가될 수 있음
---------------------------------------------------------------------------------------------
1. 개요
□ 유럽연합은 ‘10년 발표한 '유럽2020전략'*을 토대로 사회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2020년까지 바이오기반의 지속가능한 경제건설’ 추진을 위한 세부전략 구상 중
* EU집행위원회에서 발표(’10년)한 ’10년∼’20년 대상의 계획으로, 스마트(smart) 성장, 지속가능(sustainable) 성장, 포괄적(inclusive) 성장 등 3대 비전 제시
※ 바이오기반경제(Bio-based Economy) : 천연자원 이용을 확대함과 동시에 에너지 활용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폐기물을 에너지로 활용함으로써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는 에코시스템에 기반을 둔 경제
<그림1> 유럽2020전략
○ 바이오기반 경제 건설은 유럽2020전략의 ‘지속가능 성장’에서 제시된 '자원 효율적인 유럽’과 연결
- 지속가능 성장은 자원효율성이 높고 지속가능하며 시장 경쟁을 지향하는 경제체제 구축을 의미
- 바이오기반 경제는 에너지 및 산업원자재에 있어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성이 현저히 낮은 사회를 이룩하는데 기여
※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 화학제품, 재료 및 연료의 처리 및 생산과정에 대한 생명공학기술 응용 등을 통해 화학연료에 대한 의존성 감소 가능
○ 세부전략 수립에 앞서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종합하기 위해 온라인 상에서 이해관계자 의견 취합 및 결과 공개
- (내용) 바이오기반 경제 구축의 잠재적 효과 및 위험 분석
- (기간) ‘11년 2월 22일 - 5월 2일
- (참여) 총 195건의 유효응답
<그림2> 소속기관별 응답자 분포
2. 바이오기반 경제의 잠재적 효과 및 위험
○ 설문 응답자의 60% 이상이 대체적으로 바이오기반 경제의 잠재적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별첨1)
- ‘20년 혹은 ’30년까지 바이오기반 경제의 효과가 대체로 달성될 것으로 예상
※ ’20년 달성 가능한 잠재적 효과로 ‘폐기물 발생량 및 오염 저감(72.6%)’, ‘농업지원서비스 및 지식이전시스템 마련(66%)’, ‘바이오 폐기물 활용 증가(64%)’ 등이 꼽힘
※ 가장 실현성이 낮은 것으로 ‘생명과학기술제품으로 인한 실제적인 효용(12.2%)’, ‘유럽지역에서의 바이오연료 생산(11.2%)’ 등이 꼽힘
<그림3> 잠재적 효과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
○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천연자원 과다사용, 식량안보 등 수많은 잠재적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고 인식(별첨2)
<그림4> 전반적인 잠재적 위험성 수준에 대한 인식
- 비식량 용도로의 사용 증가에 따른 저개발국의 식량안보 및 자원고갈 심각성을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인식
※ 응답자의 48.5%가 ‘매우 심각한’, 31.5%가 ‘심각한’ 위험요소라고 응답
- 천연자원의 과다이용 및 종다양성 축소의 위험성(매우심각 43.1%)
- 식량 및 비식량 생산 확대에 따른 산림훼손 가속화(매우심각 31.0%)
4. 현재 유럽에 대한 평가
○ 대부분의 응답자는 바이오기반 경제구현을 위한 현재 유럽의 연구개발 및 혁신 관련조치의 효과에 대해 우려를 나타냄
- EU 및 개별회원국 차원에서 모두 효과적이라고 보는 응답자의 비율은 27%에 불과(그림5)
- 특히, 바이오기술, 식품, 축산분야의 응답자들을 비롯한 47.9%의 응답자들은 연구개발 및 혁신조치의 비효율성 강조(별첨3)
- 반면, 유럽단일연구공간(ERA) 이행강화 및 각 국가별 연구개발 프로그램간 공조 강화 효과는 긍정적으로 인식(34%,별첨3)
<그림5> 연구개발 및 혁신관련 조치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 바이오기반 경제 건설의 주요 장애요인으로 정책조율, 전망, 재원확보 측면의 어려움을 지적(별첨4)
- 정책입안자와 바이오기반 경제 관련 이해관계자간 불충분한 연계(75.6%)와 개별 정책간 불충분한 연계성(72.6%)을 가장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평가
- 합리적 의사결정 위한 중장기적 전망 및 영향 분석 부족(69%), 연구개발 등에 필요한 재원 불충분(63.4%)도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인식
- 이러한 장애요인들은 개별국가보다도 EU 및 회원국 차원에서 매우 중요성이 높음(그림6)
<그림6> 장애요인의 지역별 중요성에 대한 인식
○ 바이오기반 경제에 대한 공공정보(효과, 비용, 위험, 윤리적 이슈 등), 사회적 인식 및 참여가 부족하다고 인식(별첨5)
- 바이오기반 경제의 효과, 비용, 위험에 대한 논의 참여 방안 저조(87.3%)
- 바이오기반 경제 구현을 위한 신기술에 대한 윤리성 우려에 대한 의견 제시 수단 부족(81.2%)
- 지속가능한 소비 패턴 유도를 위한 교육 및 인센티브 부족(80.7%)
5. EU의 미래 정책방향
○ 바이오기반 경제의 잠재적 이익의 실현을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 설정과 추진계획 마련이 중요
- 개별회원국 차원의 조치(8.6%)보다도 EU 및 국가/지역단위의 조치(81.7%)가 더 중요
- 바이오기반 경제 구축을 위해 중요한 정책분야로 연구개발, 농업, 환등 등 지적
※ 주요 정책 분야로 연구개발(92.4%), 농업 및 지방개발(85.8%), 환경(82.7%), 에너지(80.2%), 산업(71.1%) 등을 꼽음
- 바이오기반 경제 건설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체계 및 거버넌스 구축은 EU 및 회원국 차원에서 동시 추진 필요
※ 70% 이상 응답자들은 모든 관련 정책 수단을 EU와 회원국 차원에서 추진함으로써 일관성을 확보해야하고 다학제적인 협력이 강화되어야한다고 인식
○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바이오기반 경제 강화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연구개발 정책 수단 마련 필요성을 인식(별첨6)
- 산업공정 기술개발(78.2%), 관련 R&D에 대한 산업계의 참여확대(77.2%), 온실가스배출량 감소(76.1%) 등이 중요
※ 연구개발 정책도 EU와 회원국 차원에서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고 응답
<그림7> 관련 연구개발 추진체계에 대한 인식
○ 바이오기반 관련 시장형성, 사회적 참여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
- 바이오기반의 시장형성, 고용확대 및 경제성장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연구개발 및 혁신을 지원할 자금에 대한 접근성 향상(82.2%)’을 꼽음(별첨7)
- 사회적 혁신 촉진 및 참여 강화를 위해 관련정보의 확산(77.2%), 소비자를 위한 바이오 기반 제품에 대한 정보 강화(70.6%) 등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별첨8)
6. 정책적 시사점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바이오기반 경제사회의 구축은 그 필요성도 높을 뿐 아니라 잠재적 효과성도 높음
- 유럽 각 국가의 국민들도 그 효과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에 EU는 그 세부 추진전략을 마련 중
○ 바이오기반 경제 건설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연구개발 및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이 중요
- 바이오 기반 경제 강화를 위해서는 다학제간, 관련 주체간 융합적 연구개발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수단 강구 필요
※ 본 보고서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바이오기반 경제사회 구축을 위해서는 개별 주체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관련 집단 간의 유기적인 협력과 협조가 중요
○ 바이오기반 경제구축을 추진한다면 대중과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토대로 한 사회적 인식 제고 및 참여 확대 병행 필요
- 바이오기반 경제 구축에 필요한 연구개발 및 혁신 정책 추진 시에는 다양한 형태의 위험이 존재
- 그러므로 관련 정책의 추진 시에는 국민과의 의사소통 창구를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인식 제고도 병행해야 할 필요
[별첨]
<별첨1> 바이오기반 경제의 잠재적 효과에 대한 인식
<별첨2> 바이오기반 경제의 잠재적 위험에 대한 인식
<별첨3> 바이오기반 경제 관련 유럽의 연구개발 및 혁신조치에 대한 인식
<별첨4> 바이오기반 경제 건설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
<별첨5> 바이오기반 경제에 대한 사회의 참여수준 및 수용성에 대한 인식
<별첨6> 바이오기반 경제 건설을 위해 필요한 R&D 분야에 대한 인식
<별첨7> 바이오기반 시장형성·경제성장·고용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수단
<별첨8> 사회적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수단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