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일본, 자원문제해결을 위한 ICT 활용 사례
- 국가 일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발간일 2013-01-28
- 권호
1. 배경
□ 인구 증가, 신흥국 경제성장에 따라 에너지 소비 급증, 광물・물 부족 심화, 폐기물 증가 등이 발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통해 자원 문제에 대처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
○ 다양한 해외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자원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는 한편, 이 과정에서 관련 기업들의 국제경
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2. 자원 분야별 정보통신기술 활용 사례
1) 식량 자원
◇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식량 생산 효율성과 수요 예측 정확성을 높임으로써 식량 수급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 |
□ (호주)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는 인공위성이나 GPS를 이용하여 목초지 및 가축을 관리
○ 목초 성장률 예측을 위해 인공위성 탑재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상데이터 등과 연계해 연구・분석
- 지역별로 목초 성장 상황이나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목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
- 목초 성장률 예측치를 토대로 시기・기온 등에 따라 가장 영양 상태가 높은 목초지를 선정해 발표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 목초 성장률 예측시스템>
○ 사육 중인 소에 센서・GPS 내장 목걸이를 부착해 소의 위치나 행동을 모니터링
- 목걸이에서 나오는 경고음이나 자극을 통해 소의 행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펜스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소의 행동 관리가 가능
□ (미국) 농기계업체 CNH 글로벌은 건초 더미에 센서가 내장된 IC태그를 부착하고, 센서를 통해 취합한 중량, 수분함유량,
방부제 사용량 등 다양한 정보를 IC태그에 저장
○ IC태그 부착을 통해 건초의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됨에 따라 고객의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건초를 제공하게 되고,
가축의 효과적인 생육에도 기여
□ (중국) 국가농업 지능설비 연구센터는 온실 내부에 온도・습도・일사량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카메라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농작물의 생육과 병충해 발생 등을 감시
○ 작물의 생육 환경에 맞게 각종 기기를 원격으로 조작이 가능한 것이 특징
2) 에너지 자원
◇ 정보통신 네트워크나 센서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에너지자원 문제에 접근 |
□ (독일) 만하임市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지역 전체의 전력 공급 능력 및 수요량 변동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전력
수급 균형을 조정
○ 각 가정에서는 전기제품 등을 홈 네트워크와 연결시켜 개별 제품의 전력소비 상황을 파악하는 한편, 원격조작 및 수급 상황
변동정보를 인터넷에서 확인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조정
<독일 만하임市 전력공급 시스템>
□ (네덜란드) 센서 및 네트워크를 이용해 자동차 교통량에 맞춰 가로등의 점등·소등 타이밍을 최적화한 ‘스마트 하이웨이’를 시행
○ 정보통신기술의 대상을 ‘차’가 아닌 ‘도로’에 맞춰 교통망에 투입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 네덜란드 디자인 회사 스튜디오 로세가르데(Studio Roosegaarde)와 인프라 컨설팅회사 하이만스(Heijimans)가 공동으로
'13년부터 단계적 실증실험을 실시
○ 자동차 주행 중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는 전기차 전용 도로, 자동차 주행 시 발생하는 풍력을 이용한 라이트시스템도 연구 중
□ (EU) 연구지원 프로그램인 ‘프레임워크 프로그램(FP)’ 사업의 일환으로 에너지자원 절약을 위한 실증실험을 실시
○ 제품 제조시 각 공정의 전력소비 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한편, 부품조달이나 설계 단계부터 전력소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제조공정을 재검토함으로써 전력사용 효율을 최적화
3) 환경 자원
◇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자원 문제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지속 |
□ (미국) 스미스소니언 협회는 네트워크를 통해 보유 중인 자동차의 운행 상황을 수집·분석해 주행경로를 최적화하는 한편,
필요한 최소한의 차량만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삭감
○ 이 시스템을 통해 운용차량을 600대에서 490대로 줄였으며, '11년 연료 소비량을 '05년 대비 56%로 감축
<미국 스미스소니언협회 자동차 CO2 배출량 삭감 시스템>
□ (스웨덴) 스톡홀룸市는 시가지 출입구 18개소에 과금 포인트를 설치하고 교통량에 따라 시간대별로 차등 요금을 부과
○ 교통량은 과금 포인트에 부착된 카메라와 레이저로 측정되며, 이를 통해 교통량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
□ (영국) 런던市는 수 백 미터 간격으로 자전거역을 설치하고, 시내 어떤 자전거역에서든 대여・반납이 가능한 자전거 서비스를
실시
○ 자전거역 위치, 대여 가능한 자전거 등의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며,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 확인 가능
3) 광물 자원
◇ 그동안 탐사・채굴 등에 의존하던 광물 자원 개발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모색 |
□ (호주) 채굴이나 광석 운반 작업 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
○ 다국적 광업회사 리오 틴토(Rio Tinto)는 호주 도심 원격조작센터로부터 1천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광산에서 가동되고 있는
쇄석해머와 같은 중장비를 원격으로 조작해 채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 일본 코마츠社는 호주에서 덤프트럭의 채굴 광석 운반시 GPS, 장애물 탐지센서 등을 탑재해 중앙 관제실에서 설정한 경로에
따라 무인 주행하는 덤프트럭 운행시스템을 운용 중으로 작업 효율성 제고에 기여
- 이외에도 광산에서 사용되고 있는 불도저 등에 센서를 부착해 부품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위성통신으로 전송받고 이를 분석함
으로써 기계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여 기기 가동률과 광물 생산 효율성을 제고
5) 물・폐기물 자원
◇ 스마트미터기・IC태그・센서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자원의 사용을 최적화함으로써 물・폐기물 자원 문제의 해결을 모색 |
□ (몰타) IBM은 스마트미터기로 수집한 저수량・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급수 장소를 정하고 물의 유통 경로를
제어하며 누수 및 도수를 조기에 발견·방지하는 시스템을 운용
<스마트미터기를 활용한 IBM의 몰타 물 관리 시스템>
으로써 관로설비 설계를 최적화하는 한편 도로설비 보전관리를 효율화
□ (미국) 식품회사 미션푸드(Mission Foods)는 유통용 박스에 IC태그를 부착해 출하처를 관리하는 한편, 상자를 재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폐기물 삭감에도 기여
□ (캐나다) SMT 리서치는 빌딩 등에 변형센서나 수분센서 등을 부착해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함으로써 빌딩의
노후상태를 파악
○ 이 시스템을 통해 건축물에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보강함으로써 건축물 전체의 수명을 연장하고 건축 폐기물을 감축
출처 : 일 총무성 ICT생활자원대책회의 (2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