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2호] 본의 지식재산추진계획 2013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주제분류 지식재산
- 발간일 2013-07-19
- 권호 2
□ (개요) 지식재산전략본부는 「지식재산추진계획 2013」을 수립(2013.6.25.)
○ 지식재산기본법(‘03)에 근거하여 매년 「지식재산추진계획」을 수립 중
○ 본 계획에서는 지식재산전략본부에서 6월 7일 발표한 「지식재산정책비전*」에 따라 중장기적 추진과제, 소관 부처**, 목표 달성 시기 등을 제시
* 일본 기업들이 해외 신흥시장 및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향후 10년 간 추진할 4대 중점 추진전략을 제시
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지식재산시스템 구축
② 중소·벤처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강화 지원
③ 디지털·네트워크 시대에 대응한 환경 정비
④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파워 강화
** 외무성, 경제산업성, 농림수산성, 문부과학성, 재무성, 법무성, 후생노동성, 국토교통성 등이 정책과제별 단기(1~2년), 중기(3~4년) 추진계획을 수립
□ (내용) 「지식재산추진계획 2013」 세부 추진과제
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지식재산시스템 구축
○ 기업의 해외사업 활동 지원을 위한 글로벌 지식재산시스템 구축
※ 특허청 심사관의 아시아 신흥국 특허청 파견, 일본 특허청 심사체제 강화, 해외에서의 지원체제 강화 등 지식재산 취득 및 활동 지원 등
○ 국제 지식재산제도 비교우위 확보를 위한 기반 정비
※ 직무발명 및 심사 기반 제도 정비, 영업비밀 보호와 분쟁처리 기능 강화, 국제 표준화 인증의 전략적 대처 강화, 산·학·연 연계 기능 강화 등
○ 글로벌 지식재산 인재 육성·확보
※ 인재 육성기관 정비, 지식재산경영 연구·분석 기관과의 연계 강화
② 중소·벤처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강화 지원
○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사업 지원체계 정비
※ 해외에서의 현지 지원체제 강화, 해외출원비용 지원 확대 등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세금감면 제도 재검토
○ 지역·중소·벤처기업 및 대학의 지식재산 활동 활성화
○ 지식재산권 시장의 활성화 및 지식재산 종합지원창구 기능 강화
※ 지식재산 유통촉진을 지원하는 전문인재의 확보, 특허정보의 개방 및 데이터베이스의 다언어화 등
③ 디지털·네트워크 시대에 대응한 환경 정비
○ 콘텐츠 산업을 둘러싼 생태계 변화 대응
※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의 이용 촉진, 공공 데이터의 활용 확대 등
○ 콘텐츠 산업 시장 확대를 위한 환경 조성
○ 디지털·네트워크 환경 정비
※ 문화 자산의 디지털·아카이브(archive)화 촉진, 교육정보화 추진 등
④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파워 강화
○ 일본 전통문화 관련 콘텐츠·제품 발굴
※ 콘텐츠 제품 제작 지원 및 개발체계 정비, 지역 브랜드 확립 등
○ 일본 브랜드의 글로벌화와 전략적 해외 진출 추진
※ 해외 각국의 방송시간 확보, 일본 내 로케촬영 유치 촉진, 콘텐츠 규제 철폐·완화 추진 등
○ 모방품·해적판에 대한 대응책 마련
※ 정규 제품의 유통 확대, 모방품·해적판의 침해 대책 마련, 국내 단속 강화 등
○ 콘텐츠 산업 분야 인재 육성
※ 광고 제작에 참여하는 크리에이터 육성, 콘텐츠 제작 현장 환경 개선 등
□ (결론 및 시사점) 본 계획에서는 일본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식재산, 국제표준화, 콘텐츠 관련 정책들을 포함
○ 일본 기업의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식재산 전략을 수립하고 콘텐츠 공급국으로서의 우위 선점을 위해 세부 추진과제를 마련하고 과학기술, 문화, IT 분야 정책과의 융합을 모색
○ 지식재산 기반의 경제발전 전략을 추진하여 글로벌 경쟁체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세계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
※ 우리나라는 국민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고품질 지식재산권으로 개발, 이를 활용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지식재산 기반 창조경제 실현전략」을 수립·추진 중(특허청, 2013.6.26.)
출처 : 일본 지식재산전략본부(2013.6.25)
http://www.kantei.go.jp/jp/singi/titeki2/kettei/chizaikeikaku201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