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5호] 국, 달 탐사위성 창어 3호 발사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발간일 2013-08-30
  • 권호 5
첨부파일

□ 중국은 세 번째 달 탐사위성인 창어(嫦娥) 3호를 올해 12월 발사할 예정


○ 달 탐사를 위해 2004년 창어 프로그램(Chang'e National Lunar Exploration)을 시작했으며 두 차례 달 탐사위성 발사에 성공 

 

□ 중국의 달 탐사계획은 달 궤도 탐사 임무 수행, 지구와 달 공간의 환경탐사 추진, 나아가 궤도진입, 착륙, 복귀 등으로 구성


(1단계 : 궤도 순환) 달의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달 주변을 선회하는 단계로 2007년 최초 달 탐사위성인 창어 1호 발사 성공(2007.10.24.)


 - 창어 1호는 서창(西昌)우주센터에서 로켓에 실려 발사된 이후 총 494일간 우주에 체류하며 달 주위 200km 고도 높이에서 달표면 등에 관한 정보를 16개월간 수집하고 2009년 3월 달 표면에 충돌, 폐기됨


 - 창어 2호(2010.10.1)는 1호와 모양이 유사하지만 달 주위를 도는 고도를 100km로 낮추고 지면 1m까지 식별할 수 있는 첨단 탐사장비*를 탑재함으로써 성능과 비행속도가 대폭 향상되어 더욱 정밀한 달 표면 정보를 제공


  * 태양풍 이온 측정기, 감마선 스펙트럼 분광기 등 7가지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15~100㎞ 타원형 궤도를 돌며 1.5m까지 식별할 수 있는 카메라를 통해 향후 창어 3호가


    착륙할 지점을 촬영하고 이후부터는 100㎞ 원형 궤도로 변경해 각종 과학 측정 임무를 수행 

 

(2단계 : 착륙) 달 표면 점검을 위해 탐사차량(lunar rover)을 개발하는 단계


 - 창어 3호(2013. 12월 예정)는 중국에서 발사하는 첫 연착륙선*(Soft Lander)(무게 1.2톤)으로 탐사차량을 탑재하여 달 표면과 내부를 탐사하는 임무를 수행


  * 착륙선에는 3개월의 임무기간을 보장할 수 있는 원자력전지(RTG, 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가 장착되었으며 근자외선천체망원경, 극자외선카메라 등 7개의 과학 탑재체가 장착 

 

 - 향후 창어 4호 발사 등 2단계 추진을 2017년 이전에 완료할 계획 

 

(3단계 : 귀환) 귀환 가능한 소형 달착륙선을 개발하는 단계로 2017년~2020년까지 이루어지며 무인 우주왕복선을 보내 달표면의 암석을 채취, 지구로 귀환하는 것이 목표     

 

□ (결론 및 시사점) 중국은 창어 3호 및 4호를 계속 발사, 연착륙선과 탐사 차량을 달에 보냄으로써 2025년을 전후해 유인 우주선을 달에 착륙시킨다는 장기 계획을 추진 중


○ 2030년 전까지 화성, 금성, 목성 탐사를 9회 진행하고 빠르면 2018년 5월까지 첫 화성 궤도선과 착륙선을 발사할 계획(2013.8.8, 과기일보) 

 

○ 중국은 미국, 러시아에 이어 제3의 우주강국으로 부상하였으며, 현재 주력하고 있는 우주개발 분야는 독립적인 우주접근, 저궤도 우주 개발, 저궤도 유인 우주비행, 달 탐사, 원거리 우주탐험 등(항공우주연구원, 2011.10.)


  ※ 2003년 세계 3번째 유인 우주선발사(神舟 5호) 성공, 2008년 우주유영(神舟 7호) 성공 등 계속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2011년 실험용 우주정거장 모듈인 텐궁(天宮) 1호의 발사에 성공함으로써 세계 3번째 우주정거장 건설을 시작하기에 이름 

 

○ ’12년 기준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분야에서의 對최고기술보유국(미국) 기술격차는 10.4년, 對중국 기술격차는 4.5년 각각 뒤진 것으로 평가(2012년도 기술수준평가 결과(안), 2013.7.)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을 강화하고 우주기술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방안이 필요


  ※ 우리나라는 2020년 달 탐사에 이어 2030년 화성 탐사 계획이 포함된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안)을 수립하고 공청회,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2013.9.)
 


출처 : 과기일보(2013.8.10.)
http://www.stdaily.com/stdaily/content/2013-08/10/content_632590.htm
출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e-정책정보센터, 사이언스 타임즈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