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6호] 국, 우주육종산업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발간일 2013-09-13
  • 권호 6
첨부파일

□ 유인우주선 ‘선저우 10호’에 탑재되어 우주를 여행한 차(茶) 종자가 복건성 무이산 우주차 재배 기지로 전달 (2013.8.19.)


○ 중국은 1987년부터 미래 식량 확보를 위해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종자 변이 연구를 시작하여 귀환 우주선에 1,000개 이상의 작물을 탑재하는 등 작물의 우주변이 육종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


 - 1987년 회귀식 위성을 이용하여 첫 번째로 농작물 종자 우주탑재실험에 성공


 - 1996년에는 농업부가 ‘작물의 우주변이육종’ 사업을 제9차 5개년 계획의 중점 과제로 선정하였고 2006년에는 세계 최초로 우주 육종 전용 위성인 스젠(實踐)  8호*를 발사


  * 벼, 옥수수, 면과 각종 야채 등 농작물 종자와 미생물 균종이 탑재되었고 우리나라의 벼, 콩, 들깨, 유채, 애기장대, 난, 무 등 7 개 씨앗 200g도 함께 포함 

 

 - 2008년에는 선저우 7호가 면역성을 높인 균류를 싣고 실험한 뒤 1년8개월 후 귀환


  ※ 육종(育種) : 인위적인 교배를 통해서 유전적으로 고정된 모부계(양친)를 대량 개발하고 이들을 서로 교배하여 우수한 개체나 종자를 개발하는 것으로 돌연변이가 대표적인 예시


□ 우주육종은 종자가 지구표면으로부터 200~500㎞ 궤도를 돌면서 많은 종류의 우주방사선에 조사(照射)되어 발생하는 유전체 이상과 돌연변이의 결과


○ 자기장, 무중력, 방사선, 전자파 등의 시너지로 창출되는 우주방사선의 복합효과로 지구에서의 방사선과는 다른 기작을 통해 돌연변이가 발생


○ 우주방사선이 종자의 유전체 변이를 유도하며 새싹이 발아한 뒤 지구로 가져와 식물의 성장, 생리, 발달, 수확량, 병충해 등 여러 종류의 실험을 거쳐 육종에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원으로 활용


○ 중국은 20여 년간 지구에서의 재배 실험을 통해 각종 음식, 채소, 꽃의 종자를 재배하고 있으며 이미 두꺼운 껍질의 우주 고추는 일반 가정 식탁에 등장


□ 러시아와 미국은 우주육종 사업을 1960년대부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시작


○ (러시아) 舊소련에서는 세계 최초로 1957년 ‘스푸트니크(Sputnik) 4호’에 밀과 옥수수 종자를 탑재


○ (미국) NASA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우주 방사선이 조사된 종자를 이용하여 각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식물 생리, 육종 실험 재료로 사용


○ (한국) 2006년 중국의 협조로 벼, 콩, 들깨 등을 우주에 보냈고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와 함께 코스모스, 민들레, 무궁화, 벼, 콩 등 11가지 우주육종 실험에 참가


□ 중국의 우주육종기술 및 산업은 2011년 수립된 「국민경제와 사회발전을 위한 제12차 5개년 계획」의 전략적 신흥 산업에 포함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농업부, 과학기술부, 재정부를 중심으로 항공공정육종기술 연구개발과 산업화, 우주육종의 현대농작물 종자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


○ 우주탑재를 통한 농작물이 총 9대 분류 393개 계통으로 국가 또는 성급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품질 개선, 농작물의 저항력 최적화 등 우주육종의 산업화를 추진 중(농촌경제연구원, 2011)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가 미래 우주육종산업 대열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기초연구가 필요


○ ①우주방사선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종자개발


    ②무중력 조건에서 작물의 생장·발생에 대한 연구


    ③우주선 내부의 좁은 환경에서 재배 가능한 초밀도 다수확 GM 채소 개발


    ④미래 우주시대에 대비한 우주식품 및 우주종자 육성 등 기초연구 필요


○ 미래 우주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나라의 작물 및 방사선돌연변이 육종기술과 우주육종산업을 연계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

 

 

    출처 : 인민일보(2013.8.19.)
http://j.people.com.cn/95952/8369329.html
세계종자연합
http://www.worldseed.org/cms/medias/file/ResourceCenter/SeedStatistics/Domestic_Market_Value_2012.pdf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