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15호] 국 대학 캠퍼스의 창업문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발간일 2013-11-29
  • 권호 15
첨부파일

□ (개요) 11월 국가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달을 맞아 상무부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대학(The Innovative and Entrepreneurial University)」 보고서를 발표


○ 본 보고서에서는 50개 이상의 미국 대학에서 시행된 유망한 지원책(initiative)들을 소개하고 美 전역의 대학에 기업가정신 문화를 홍보하고 학생들의 창업을 격려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조


□ (주요 내용) 학생과 교수의 기업가정신 증진, 실험실 연구결과의 시장 전환 촉진, 대학, 기업, 지역경제 간 협력관계 촉진 등의 영역에서 혁신 창출과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지원책을 추진


○ 학생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증진 : 대학은 교육을 통한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가정신의 가치를 강조 

 

  ※ 예시 : 콜로라도 대학의 시스템 혁신과 기업가정신 학위 과정, 일리노이 대학의 특허 클리닉,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의 학생 인턴십 과정 등 

 

○ 교수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장려 : 대학은 교수의 기업가정신을 장려하기 위해 교수 교육 프로그램 개설, 연구비 지원과 보상제도, 교수평가 제도 등 정책적 변화를 추구


○ 기술이전 활동 지원 : 대학 기술이전조직*에서 지원하는 사업화 추진 영역이 에너지 분야와 같은 전통적인 영역에서 교육, 사회혁신, 농업 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


 - 기술이전조직은 학생, 교수, 졸업생, 창업가, 발명가, 기업을 연계할 수 있는 구심적 역할을 수행


  * TTO : Technology Transfer Office / TLO : Technology Licensing Office  

 

  ※ 예시 : 유타 주립대학의 지식재산권 서비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채플힐 캠퍼스 내 TTO의 기술이전 학생 인턴십, 코넬 대학의 IP&Pizza™와 IP&Pasta™ 등 

 

○ 대학과 산업 간 협력관계 촉진 : 대학은 인턴십과 현장학습 기회 제공, 벤처기업과 시설 공유, 벤처자금 및 인센티브 프로그램 생성 등을 위해 기업과 협력관계를 형성


  ※ 예시 : 클렘슨 대학의 자동차 연구를 위한 국제센터(CU-ICAR), 미네소타 대학의 계면 및 물질 공학 연구를 위한 산업 파트너십(IPrime), 조지아 공과대학의 창업 가속화를 위한 Flashpoint 등 

 

○ 지역의 경제발전 노력에 참여 : 대학은 지역공동체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주요 기여자로서 역할 수행


  ※ 예시 : 툴레인 대학의 사회혁신과 기업가정신 프로그램, 퍼듀 대학의 지역 기업가를 위한 무료 기술지원 프로젝트, 조지아 대학의 서비스 학습 과정 등  

 

(Epicenter 설립) 특별기획의 일환으로 국립과학재단의 재정 지원을 기반으로 기업가정신과 공학 교육을 위한 국가차원의 허브를 구축  

 

 - 본 센터는 미국 대학생들의 아이디어가 국가의 경제와 사회의 이익을 위해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60명


   이상의 공학도들을 대학 혁신 장학생으로 선발, 각자 캠퍼스에서 기업가정신 활동을 촉진하도록 하는 임무를 부여 

 

  ※ Epicenter 외에 연방정부에서 추진 중인 프로그램 예시 : ①국립과학재단(NSF) I-Corps 프로그램(신기술의 상업화를 위한 학생과 교수의 교육 지원),


      ②i6 Challenge(대학 기반의 혁신 생태계 강화), ③청정에너지 사업 계획 국가 경진대회, ④전통적인 흑인계 대학(HBCU : Historically Black Colleges and Universities)의 혁신 계획안,


      ⑤농업분야 학생 기업가정신 증진을 위한 대회 등 

 

(대학 혁신 플랫폼 구축) 대학생들이 캠퍼스 내의 기업가정신 프로그램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사이트* 운영


  * http://universityinnovation.org/wiki/Main_Page


□ (결론 및 시사점) 대학 캠퍼스의 창업문화 육성은 오바마 행정부의 ‘창업 미국(Startup America*)’ 지원책의 중요한 목표임


   * 기업가정신 고취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생기업 육성이 목표 

 

○ 대학생 주도의 혁신과 대학생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


○ 대학(원)생 아이디어와 기술이 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청년 일자리 창출을 지원


○ 특히 대학의 창업 휴학제 자율 권고, 창업교육센터의 기업가정신 강좌 확대 및 전공·필수과목 선정, 학점인정 등을 검토*하여 창업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인프라 정비작업이 필요


  *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육성 방안」, 2013.8.

 

 

출처 : 미 상무부(2013.11.5.)
http://www.commerce.gov/blog/2013/11/05/startup-culture-flourishes-america%E2%80%99s-college-campuses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