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19호] 미국, 2014년 R&D 투자 규모 예측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3-12-27
  • 권호 19
첨부파일

□ 바텔연구소와 R&D매거진이 공동으로 실시한 ‘2014 Global R&D Funding Forecast’ 결과, 2014년에는 글로벌 R&D 지출이 약 3.8% 증가한 1조 6천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13.12.9.)


○ 미국은 ’14년에도 R&D 투자가 가장 많이 이루어져 투자 규모가 4,650억 달러에 이를 전망


 - ’13년의 R&D 투자규모는 ’12년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14년에는 약 150억 달러의 소폭 증가가 예상 

 

  ※ ’14년도 전 세계 R&D 투자 규모는 1조 6,180억 달러로 예상 

 

<표> ’14년 전 세계 총 연구개발비 전망

구분

(10억 달러, %)

2012

2013

2014

총 연구개발비

GDP대비 R&D비중

총 연구개발비

GDP대비 R&D비중

총 연구개발비

GDP대비 R&D비중

미국(1)

447

2.8

450

2.8

465

2.8

중국(2)

232

1.8

258

1.9

284

2.0

일본(3)

160

3.4

163

3.4

165

3.4

독일(4)

92

2.8

92

2.8

92

2.9

한국(5)

59

3.6

61

3.6

63

3.6

전체 합계

1,517

1.8

1,558

1.8

1,618

1.8


 * 출처 : Battelle, R&D Magazin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orld Bank, CIA Fact Book(2012-2014년도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추정치로 실제값과 다를 수 있음)

 

□ (글로벌 전망) 한·중·일의 R&D 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중국은 ’14년에도 적극적인 R&D 투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과의 격차는 ’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


  * 미국과 중국의 R&D 투자 규모 차이 : 2,150억(’12) → 1,920억(’13) → 1,810억(’14) 

 

○ 미국과 유럽의 R&D 투자 증가율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현재 성장 규모와 투자 비중을 고려할 때, 10년 뒤에는 중국의 R&D 투자가 미국을 추월할 전망


○ 우리나라의 ’14년 R&D 투자 규모는 세계 5위로 전년 대비 20억 달러가 증가한 630억 달러이며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은 ’12년 이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


○ 일본의 경우, ’14년 R&D 투자 규모 순위가 세계 3번째로 ’12년 이후 일정한 투자 규모를 유지


%EC%BA%A1%EC%B2%98.PNG

 

* 출처 : Battelle, R&D Magazin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orld Bank, CIA Fact Book


□ (분야별 전망) 생명과학, ICT, 에너지, 화학·첨단소재 분야의 R&D 투자 규모는 전년도와 비교할 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항공우주·안보 분야는 감소할 전망


○ (생명과학) 전년 대비 2.2% 증가한 930억 달러가 투자될 것으로 예상되며 바이오의약 부문이 생명과학 분야의 약 85%를 차지


○ (ICT) 전년 대비 5.4%가 증가한 1,460억 달러가 투자되고 클라우딩 컴퓨팅 관련 기술에 대한 투자가 주요하게 이루어질 전망


○ (항공우주·안보) 전년 대비 1.2% 감소한 수준인 126억 달러로 예상


○ (에너지) 전년 대비 1.7% 증가한 70억 달러로 바이오연료 부문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


○ (화학·첨단소재) 전년 대비 3.6% 증가하여 120억 달러에 이를 전망


□ (결론 및 시사점) ’14년 미국의 R&D 투자 규모는 ’13년 대비 1% 증가하여 4,650억 달러에 이를 전망


○ 연방정부의 투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민간 부문의 R&D 지출 증가로 인해 2013년에 주춤하였던 R&D 투자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


 - 산업계에서는 전년 대비 3.8%가 증가한 3,303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 

 

  ※ 재원별 ’14년 R&D 투자 규모 전망 : 연방정부(연방R&D센터 포함) 527억 달러, 산업계 3,303억 달러, 대학 629억 달러, 기타 187억 달러  

 

○ 미국의 R&D 투자는 직접적으로 공공-민간 부문에서 약 270만 명 이상의 일자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 


○ 우리나라의 R&D 투자 규모는 세계 상위권 수준이지만 미래성장동력 창출과 국가혁신역량 확충을 위해서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는 필수적이며,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투자시스템 개편 작업이 필요 

 

 

출처 : 바텔연구소(2013.12.9.)
http://battelle.org/media/press-releases/2014-global-funding-forecast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