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20호] 영국, 과학·혁신 네트워크를 통한 국제협력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발간일 2013-12-27
  • 권호 20
첨부파일

□ 기업혁신기술부에서는 영국의 혁신 창출과 8대 핵심 기술 분야 추진 측면에서 과학·혁신 네트워크 역할과 중요성을 제시한「과학·혁신 네트워크(SIN)」보고서를 발표(2013.12.)


○ 국제협력을 통해 과학과 혁신 분야에서 영국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주요 메카니즘으로 과학·혁신네트워크를 설립하여 운영 중

 ※ 과학·혁신 네트워크(SIN : Science and Innovation Network)

      영국 대사관 및 해외 영사관을 기반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2000년 외무부(FCO;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에서 설립되었고 2007년부터 기업혁신기술부와 공동으로 관리, 전 세계

      28개국 47개시에 약 100여명의 직원이 근무


□ (과학·혁신 네트워크 역할) 영국과 상대국의 연구기관, 대학교와 R&D 집적 기업들 간의 최초 접촉점을 제공하며 과학 및 혁신 기회의 관문 역할을 담당


○ 글로벌 최우수 기업들과의 협업, 대규모 국제시설 및 연구기관의 접근성 확보, 새로운 아이디어 촉진 및 지원, 전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의 기회를 제공


○ 산업적 측면에서는 영국의 해외사업거점 역할을 함으로써 지속적인 영국의 해외진출과 협력사업 추진을 촉진


○ 협력국가들의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과 과학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3.75억 파운드의 ‘신흥국의 연구·혁신기금(Emerging Powers Research and Innovation Fund)’을 창설하는 등 국제적 네트워크 강화활동을 추진

 ※ 주요 협력국가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체코,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인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말레이시아,

     네덜란드,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폴란드, 카타르, 러시아, 싱가포르,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대만, 터키, 미국 


□ (8대 핵심 기술과의 연계)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기술인 동시에 상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8대 핵심 기술* 개발 시 과학·혁신 네트워크와 연계 추진


  * 8대 핵심기술 : 빅데이터, 우주공학, 로봇공학 및 자율시스템, 합성생물학, 재생의학, 농업과학, 첨단소재, 에너지 등


  ※ 영국정부는 세계를 선도 역할을 할 수 있는 8개 핵심 기술을 선별하고 개발 지원을 위한 6억 파운드 투자 계획을 발표(’12년)

 
○ 과학·혁신 네트워크를 통해 쌍방향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영국과 상대국의 과학혁신정책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통찰력을 제공, 파트너와의 공동 기회 발굴 등 신규 프로젝트의 촉매자 역할을 수행

 

기술 분야

협력국가

주요 내용

합성생물학

미국

상업화 추진을 목적으로 합성생물학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UK-US 협력 프로젝트 운영 예정(2014.2.)

유럽

프랑스, 독일, 폴란드와 함께 합성생물학 관련지식재산권, 표준, 규제 등에 관한 워크샵 개최(2013.10.)

재생의학

남아프리카공화국

EU Horizon 2020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영국대학, 중소기업, 남아공 파트너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세포 메카니즘에 관한 워크샵 개최(2013.9.)

캐나다

캐나다, 미국, 영국 전문가들이 모여 세포진단분야의 새로운 표준과 규제(안)을 마련

우주

나이지리아

영국 Space Agency와 나이지리아 Space Research and Design Agency는 지구 관찰 위성을 공동으로 개발 중이며 2014년 공동기술연구 추진을 합의

중국

RAL(Rutherfird Appleton Laboratory)와 중국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 RAL과 베이징대학이 협력체계 구축

러시아

UK Space Agency와 Russian Federal Space Agency와 부처간 협력 프로젝트 추진 합의(2013.10.)


  * 본 보고서에서는 8개 기술 중 3개 기술에 대해서만 간략한 설명을 제시


□ (결론 및 시사점) 영국 정부는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혁신 네트워크를 통해 국제 공동연구를 활발히 추진 중


○ 과학·혁신 네트워크가 영국의 과학기술적 성과와 혁신 창출을 위해 협력국가와의 관문 역할을 수행


○ 전략적인 국제화 추진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과학기술혁신 역량에 비해 국제협력 수준이 낮고 협력대상이 한정되어 있어 보다 능동적인 대응과 노력이 필요


○ 국내외 과학기술 역량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결합하고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이 필요


  ※ (예시)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국제협력 관리·평가 기준 정립 등(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출처: 영국 기업혁신기술부(2013.12.11.)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264713/bis-13-1331-uk-science-and-innovation-annual-report.pdf
https://www.gov.uk/government/speeches/eight-great-technologies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