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67호] 해외 주요국의 빅데이터 정책과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영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5-02-06
  • 권호 67
첨부파일

□ 인터넷을 토대로 한 디지털 경제의 확산에 의해 민간과 공공의 전 영역에 걸쳐 오늘날과 같은 빅데이터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


○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의 확산, 스마트폰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의 보급, 신용카드와 온라인 상거래의 증가, 동영상 콘텐츠의 유통, SNS 이용의 확대 등으로 여기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이와 같은 대규모 데이터는 미래의 경쟁력 우위를 좌우하는 중요한 ‘자원’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의 수립이 필요


○ 빅데이터가 핵심동력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이전과는 차별화된 대용량 데이터의 새로운 분석과 추론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개발 가능성이 무한하기 때문


○ 빅데이터 환경은 사기업의 경영활동뿐만 아니라, 정부를 포함한 공공영역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의미


○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의 빅데이터 전략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이슈로 간주


□ 국가적 차원에서 빅데이터 활용 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는 영국, 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국내 빅데이터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는 일이 중요


 

① 빅데이터 시장 규모

□ 글로벌 빅데이터 시장 지속적 성장 전망


○ 오픈소스 IT커뮤니티 Wikibon에 따르면, 글로벌 빅데이터 시장*은 2013년 186억 달러에서 2014년 285억 달러, 2017년에는 501억달러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


 * 빅데이터 시장규모: 관련 HW, SW, 서비스의 판매로부터 발생한 벤더 매출액으로 측정


○ 유형별로는 2013년 기준 서비스, HW, SW가 각각 40%, 38%, 2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의 중요성이 높아질 전망


○ 대형 IT밴더의 적극적 사업 추진, 다양한 빅데이터 기술활용사례 출현 등이 여전히 핵심 성장동력으로 꼽히며, 각국 정부의 오픈데이터 정책 등 데이터 공유 트렌드 역시 빅데이터 대중화에 긍정적으로 기여


○ 다만 뚜렷한 모범사례의 부재, 보안위협, 업체간 경쟁심화 등으로 2015년 이후 시장 성장세는 점차 둔화될 전망


□ 국내에서도 빅데이터 관련 시장 성장세 지속


○ 한국IDC에 따르면, 국내 빅데이터 환경구축을 위한 스토리지 인프라 시장 규모는 2014년 347억 원 규모이며, 연평균 성장률 31.3%를 기록하며 2015년에는 478억 원, 2018년에는 1,087억 원까지 성장할 전망


○ 이처럼 빅데이터 관련 시장의 성장세는 뚜렷하지만, 실제 기업이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환경을 설계/구축/관리할 역량과 예산은 부족해 시장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


○ 국내에서는 주로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활용성과는 대외적으로 비공개


 < 빅데이터 시장 규모 >

 67-1.PNG

 67-2.PNG

<글로벌 빅데이터 시장 규모>

<국내 빅데이터 스토리지 인프라 시장 규모> 

 자료 : Wikibon, 2014.2. 

 자료 : 한국IDC, 2014.12.

출처 : http://www.strabase.com/contents/view.php?num=17484&leftCate=



② 빅데이터 관련 주요 트렌드 및 이슈

□ 글로벌 트렌드 및 이슈


○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센서 등을 통한 데이터 수집 대폭 확대


 - 모든 사물에 통신 기능과 각종 센서가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환경은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 기회 제공


 - 웨어러블 센서는 개개인의 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하는 새로운 데이터 활용 방안 제시


○ 빅데이터 관련 투자 확대


 - 시장조사업체 Gartner에 따르면, 향후 24개월 내 빅데이터 관련 투자를 계획하거나 이미 투자중인 업체는 73%로, 전년 64%에 비해 크게 증가했으며, 빅데이터 투자 계획이 전혀 없다는 응답은 2013년 31%에서 2014년 24%로 감소


○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업의 경쟁력 제고 확산


 -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정보와 서비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증가

 

 - 데이터 컨설팅기관 NewVantage Partners가 Fortune 1000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생산업무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은 67%(전년도는 32%),


   빅데이터 관련 투자/지출 규모가 1,000만 달러 이상인 기업은 45%, 빅데이터가 이미 조직 내 주요업무에 통합된 기업은 82%


○ IT전문 투자기관 Insight Venture Partners는 2015년 주목해야 할 5대 빅데이터 이슈로 테러리즘, 개방형 정부 데이터, 맞춤형 의료, 디지털 교육, 인권 등을 지목


 - 빅데이터 기술이 진화하고 확산됨에 따라 2015년에는 미래 해킹 공격에 대비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대두될 전망


 - 개방형 정부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의 다양한 제품/서비스 등장 및 개인별 맞춤형 의료와 디지털 교육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

 
 - 그러나 한편에서는 성별, 인종, 나이 등을 기반으로 한 차별적인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등 개인사생활 및 인권 침해 이슈도 제기될 것으로 예상

 

출처 : http://www.strabase.com/contents/view.php?num=17484&leftCate=
http://www.strabase.com/contents/view.php?num=16972
http://www.strabase.com/contents/view.php?num=16922
http://www.strabase.com/contents/view.php?num=17154
http://www.strabase.com/contents/view.php?num=17458



 

③ 영국의 빅데이터 정책

□ 영국은 빅데이터 활용의 기반이 되는 공공부문 데이터의 공유 및 활용을 활성화하는 오픈데이터 정책 추진은 내각부(Cabinet Office)가 담당

 
○ 내각부*는 정부 데이터 공개를 장려하고 정부 업무가 더 투명성 있게 진행되도록 추진


 * 내각부 : 수상과 내각을 보좌하는 책임을 맡는 기구로, 내각의 여러 위원회들을 지원하고 여타 부처들에서 발표되는 정부 목표를 조정

 

<영국 내각부의 오픈데이터 관련 실천내용>

• 세계적으로 가장 큰 오픈데이터 자원 중 하나인 www.data.gov.uk 마련
• 모든 정부 부처의 사업계획에 오픈데이터 책무를 구체적으로 포함
• 공표가능한 모든 정부 데이터가 접근할 수 있는 포멧으로 공표되도록 하는 공공 데이터 권리에 관한 법제 도입
• 데이터에 대한 접근 개선, 공적 신뢰 개선, 더 효율적인 데이터 사용 방법에 관한 후속 조치를 포함하는 오픈데이터 백서

   발표
• Contracts Finder에서 1만 파운드가 넘는 공공계약에 대한 지출데이터 공개

○ 국가정보인프라(NII)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협력 절차 마련


○ 데이터 공개 펀드(Release of Data Fund)를 조성하여 데이터 공개 개선을 희망하는 조직 지원(예산 700만 파운드)


○ 신 제품 및 서비스 창출을 위해 공공 부문의 데이터를 사용하려는 기업을 오픈데이터연구소(ODI)와 협력하여 지원


○ 오픈데이터 헌장(Open Data Charter), 열린정부 파트너십(Open Government Partnership; OGP) 참여를 통해 국제적으로 투명성을 지원


□ 데이터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전담할 수 있는 체제 구축


○ 영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체계는 데이터의 공급자와 고객의 기능을 공공데이터그룹(Public Data Group)과 데이터전략위원회(Data Strategy Board)가 각각 수행하는 구조


○ 공공데이터그룹은 공공 데이터의 수집/개선/관리/보급과 관련된 4개 공공 분야 기구*들로 구성되며 데이터전략위원회에 오픈데이터를 조달


 * 4개 기구: 기업 등록소(Companies House), 토지 등기소(Land Registry), 기상청(Met Office), 국립 지리원(Ordnance Survey)


○ 데이터전략위원회는 정부 부처의 오픈데이터 전략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수정·검토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


□ 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강조


○ ‘정보경제전략(Information Economy Strategy)’ (2013. 6)에서 고도로 숙련된 디지털 인력이 디지털 인프라와 함께 정보경제전략의 장기적인 성공을 뒷받침하는 요소로 거론


○ ‘데이터역량강화전략(A strategy for UK data capability)’ (2013. 10)에서도 인프라,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전문 인력(Human Capital) 확보를 강조


 - 특히 데이터 전문인력 배출을 위한 교육체계 개선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


 - 초중등 교육에 대한 정부 개혁을 통해 2014년 9월부터 컴퓨팅 국가 교육 과정(5-16세 학생들)을 도입하여, 진학 및 데이터 분석직업의 필수기술인 컴퓨팅 및 과학에서 우수 능력을 지닌 학생을 배출하는 계획 추진


 - 이밖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경력 및 진로 제시와 함께 정부의 분석 능력에 대해서도 강조


출처 : 정보통신방송정책, KISDI 격주간지 (2014.12.16)

 

 


④ 미국의 빅데이터 정책

□ 연구개발을 통한 핵심기술 확보에 중점


○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가 2010년 12월 대통령에게 보고한 ‘디지털 미래 디자인(Designing a Digital Future)’의 핵심 내용은 빅데이터 관련 기술 투자 필요성임


 - 연방기구의 빅데이터 전략도 데이터를 지식으로 전환하고, 이를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촉진시키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에 주력할 것을 강조


○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국(OSTP)이 2012년 3월 발표한 ‘빅데이터 연구개발 계획(Big Data Research & Development Initiative)’은 주요 부처의 빅데이터 관련 예산집행 우선순위가 연구개발에 있음을 시사


 - 이는 과거 정보통신 R&D에 대한 투자로 인터넷 혁명의 전기를 마련한 것처럼 빅데이터 분야에 대한 R&D 투자를 새로운 진보를 위한 계기로 삼고 있음을 의미


□ 빅데이터 연구개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 별도의 프로그램 마련이 아닌 각 부처의 연구개발 프로젝트 수행 과정을 통해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을 도모


 - 각 부처가 수행하는 빅데이터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대학과 연구소의 협력 체계를 통해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이 이뤄질 수 있는 체제 구축

 

□ 빅데이터 활용촉진을 위해 개인정보유출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


○ 최근 발표된 ‘빅데이터: 기회 포착 및 가치 보호(Big Data: Seizing Opportunities, Preserving Values)’에서 그 동안 제기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종합 대책 제시


 - 빅데이터 기술을 통한 이익의 극대화와 개인정보보호라는 시민가치의 보호를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빅데이터 정책을 추진


 - 데이터 남용법(National Data Breach Legislation.)의 통과, 전자 커뮤니케이션 프라이버시법(ECPA, Electronic Communications Privacy Act) 개정 등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법률 제정과 개정을 권고 사항으로 제시하여 실행력 있는 보호 조치를 강조


출처 : 빅데이터 산업 촉진 전략 연구, KISDI 보고서 (2014.11.)

 

 

⑤ 시사점

□ 데이터 기반 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지원할 국가전략 수립


○ 데이터 기반 사회로의 이행은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처럼 패러다임의 변화를 의미하며 이를 위한 종합적 국가 전략 필요


○ 영국의 ‘데이터 역량 강화 전략’과 같은 국가 차원의 전략 필요


 - 데이터 역량 강화의 최대 선결 과제는 인적자본의 확충이며, 이는 전문인력뿐만 아니라 시민과 공무원의 데이터 역량 강화까지 포함하는 의미


□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 촉진을 위한 조직 보강


○ 데이터 개방과 활용 촉진을 위한 수요자 측면의 조직 보완


 - 데이터생태계 촉진을 위해서는 데이터 수요자 그룹과 공급자 그룹간의 상시적인 대화 창구가 필요


□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략 수립


○ 인력 양성은 빅데이터 산업의 촉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이슈


○ 정보화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컴퓨터 교육, 인터넷 교육이 학교 교육과 연계하여 장기적인 차원에서 실행 전략의 수립과 투자가 진행된 것처럼 데이터 기반 사회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교육 정책과 연계 필요


 - 초중등 교육과정 개선(컴퓨팅과 데이터 분석능력 강화), 전문교사 양성 등 교육제도 개편, 인재육성 정책, 공무원의 분석 능력강화 등의 정책이 필요


○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은 특성 상 기업과 교육기관의 협업 모델 필요


○ 다양한 유형의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정책 필요


○ 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외연 확대 필요


 - 학교교육을 통한 미래 인재 육성과 공무원 교육을 통한 데이터 기반 문화 확산 등 범위를 확대하여 데이터 기반 사회에 대비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법제 정비와 R&D 강화


○ 데이터 산업 생태계는 안전과 신뢰 확보에 바탕을 두어야 하며,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보호는 데이터 유통 활성화를 위한 필수 조건 


○ 데이터 유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데이터 보안, 암호화, 비식별화 등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이 매우 중요


 -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원천기술 개발 필요


 - 특히 개인정보 자동 비식별화 기술 개발과 보급으로 데이터 제공자의 부담 경감 및 유통활성화 기반 조성이 필요

 

출처 : 빅데이터 산업 촉진 전략 연구, KISDI 보고서 (2014.11.)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