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68호] 주요국의 로봇 기술 정책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유럽연합(EU) , 일본 , 중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5-02-09
  • 권호 68
첨부파일

 최근 세계 주요국은 새로운 제조업 부흥과 재난‧재해 시 인간을 대체하거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로보틱스 분야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확대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재난 상황 속 인명 구조나 피해 복구, 인구 노령화와 1인 가족 확대에 따른 독거노인 돌봄과 같은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로봇산업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는 추세


 로봇 기술이 제조업 현장에서 인간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에서 벗어남에 따라 인지능력확장과 같은 높은 기술적

   완성도와 새로운 표준 및 제도가 동시에 요구됨


○ 과학기술에 기반한 다양한 분야의 전 주기적 역량 제고 및 민간 수요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기반 강화가 필요


○ 특히 새로운 기술 및 인간과의 상호작용 확대에 따른 윤리적‧법적‧사회적 문제에 대응하는 다차원적이고 다학제적인 관점의

    정부 전략 수립이 필요


 로봇 산업을 국가 정책적으로 지원해 온 미국, EU, 일본 등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정책적 상황에 시사하는 바를

   모색

 


① 미국, 인간 협업형(Co-Robot) 로봇 프로그램 강화

 

미국 정부는 2011년 6월 발표한 ‘첨단제조업 파트너십(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의 일환으로

   '로봇산업 육성정책(National Robotics Initiative)'을 추진 중


  * 첨단제조업 파트너십(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은 산‧관‧학을 결집해 제조업 분야의 고용 창출 및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신흥기술 투자 전략으로 ① 안보 ② 첨단소재 ③ 로봇공학 ④ 제조공정을 4대 중점영역으로 선정


○ 차세대 로보틱스 연구의 핵심은 인간의 역량을 확장하거나 강화하면서 인간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인간 협업형(Co-Robot)*

    로봇의 개발과 활용 촉진


  * ‘Co-Robot': 인간의 바로 옆에서 협업이 가능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생산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인간-로봇 간 협업

     모델을 의미

 

○ (NRI 프로그램의 목표) ①차세대 로보틱스 기술 개발, ②관련 시스템과 제품의 역량 및 활용가능성 제고, ③로봇 분야

    커뮤니티의 관심을 혁신적 적용 분야로 전환 등 기초연구부터 개발-제조-확산까지 전 주기를 포함


○ (NRI의 주요 방향) NRI의 ‘Co-Robot’은 차세대 로보틱스 시스템이 다양한 위험 상황에서 안전하게 인간과 공존(co-exist)할

    뿐 아니라, 임무의 기획과 수행 시 파트너로 기능할 공생(symbiotic) 관계 수립이 필요함을 강조


 - 과거 로봇연구와는 환경 모델링, 상황 이해, 풍부한 자원 등에서 현격한 차이가 존재하며, 로봇 기술의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손쉽게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가능해야 함  


 - 인구의 노령화와 문화적 다양성의 확대는 국민의 건강, 교육과 학습, 개인과 공공의 안전, 안보 등 삶과 경제 전반의 개선에

    기여할 필요성을 제기


 - 이를 위해 NRI 연구비 지원은 기초 과학부터 공동 인프라의 연구개발까지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다학제적 분야를

    강조


○ (NRI의 지원 전략) 국립연구재단(NSF)은 항공우주국(NASA), 국립보건원(NIH)과 협력해 ‘Co-Robot’의 발전과 활용 촉진을

    위해 3,15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발표(2014.11.20)


 - 이는 NRI를 통한 3차 지원으로 로봇 센싱, 작동, 컴퓨터 비전, 기계 학습과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에 대한 근원적 이해 제고를

    목표로 1~4년간 30~180만 달러씩 52개의 과제에 지원 예정


 - NSF의 지원 분야는 ‘Co-Robot’ 개발을 위한 기술공학적 문제와 인간 활동과 관계된 장기적 사회‧행태‧경제적 문제를 포괄하며,

    로보틱스를 교육 과정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 


 한편,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태를 계기로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재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로봇

   시스템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로보틱스   챌린지(DARPA Robotics Challenge, DRC)를 개최 중


○ 현재 로보틱스의 발전 단계는 공장이나 연구실의 간단하고 반복적 업무나 인간이 정밀하게 통제하는 제한적 분야에 한정되나

    실제 수요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스스로 작동 가능한 로봇 분야로 확대


 - 세계적인 최첨단 로봇 연구자들이 단 시간 내 DARPA가 선정한 재난 대응 도전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센서, 인간-기계 조종 인터페이스의 혁신을 시도


○ 3단계 행사로 추진 중이며 최종적으로 자금 지원할 팀을 선정할 뿐 아니라 재난대응분야에서 로봇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

① 가상 로보틱스 챌린지(’13.6) : 가상 로봇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소프트웨어 팀의 역량 시험


② DRC 실험(’13.12.20-21) : 로봇의 유동성, 조작력, 재주, 인지, 작동 컨트롤 메커니즘 시험


③ DRC 결승전(’15.6.5-6 예정) : 작동자와 로봇 간 소통을 줄인 상태에서 연속된 임무를 실행시킨 우승자에게 200만 달러의

    상금 수여   

출처 :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 / 국립과학재단 (2014.10. / 2014.11.)
http://www.theroboticschallenge.org/
http://www.nsf.gov/pubs/2015/nsf15505/nsf15505.htm#toc
http://www.nsf.gov/news/news_summ.jsp?preview=y&cntn_id=133396

 


② 유럽, 로봇개발을 위한 민관협력 및 실생활 적용 프로젝트 추진

 

 유럽은 Horizon 2020의 로봇 분야 전략 실행을 위해 유럽집행위원회(EC)와 euRobotics AISBL*이 주축이 된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통한 SPARC** 프로그램에 성공적으로 착수(2014.6.3)


  ※ Horizon 2020은 유럽의 제8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으로 혁신과 시장으로의 기술이전을 강조함에 따라 EU 로봇 커뮤니티는

      전략적 목표 중 과학기술적 지위 강화, 혁신에서의 산업 리더십 강화, 유럽 공통의 사회적 문제해결 등에 초점


  * euRobotics AISBL: 브뤼셀에 기반한 EU 내 로봇 관련자들 간 비영리국제기구로 유럽로봇 커뮤니티를 포괄(AISBL:

     Association Internationale Sans But Lucratif, 비영리국제기구)


 ** SPARC: The partnership for Robotics in Europe


○ (SPARC 프로그램의 목표) ①로드맵에 기반한 연구와 혁신 ②시장 친화적 시스템과 기술 유도, ③유럽의 로보틱스 인프라

    구축 ④혁신의 진전에 대한 모니터와 평가 ⑤투자와 기업가정신 촉진 ⑥ 다 분야에 걸친 활동과 정책 구축


 -  세계 로봇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현재 35%인 시장 점유율을 2020년까지 42%로 확대한다는 계획


 ※ 2014년 220억 유로인 전 세계 로봇시장규모는 2020년 500억에서 620억 유로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 SPARC은 구성원이 연구개발혁신(R&D&I)의 목표 설정과 우선순위 도출에 공동 책임을 진다는 점에서 전략의 집행과 연구 우선

    순위 선정 메커니즘을 변화시킨 것으로 평가

 

○ (비전 설정) 산학연의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분야별 그룹(Topic Group) 토의를 통해 ‘전략적 연구 아젠다(Strategic

    Research Agenda: SRA)’를 발표


  ※ EU 로봇 커뮤니티의 최상위 전략 수립을 위해 기존 2009년도 발표된 내용 점검‧보완, 연구 우선순위 설정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해 작성


 - Horizon 2020이후 시장 주도와 지원 방안이 강조되나 전통적 영역 구분의 축소와 신기술 등장에 따른 시장자체의 변화에 주목


 -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적절한 투자와 명확한 목표의 연구가 필요하며, 주요 기술분야의 단계별 성과 창출을 위해 투자


 - 중소기업과 글로벌 기업이 협업해 국제적 판로를 보유할 개방형 혁신과 강력한 부품 시장 개척


 - 시장의 비기술적 장애요인과 사회‧경제적 문제도 함께 고려해 노령화 인구, 유럽 제조업 부흥, 전통적 인프라 관리, 교통 시스템

    효율화 등 사회적 문제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


 (가이드 수립) 최근 전략 연구 아젠다(Strategic Research Agenda: SRA)와 연계된 다년도 로드맵(Multi-Annual

   Roadmap: MAR)을 발표하면서 상세한 기술적‧시장적 가이드를 제공(2015.2.6)


○ MAR은 매년 업데이트를 통해 최우선시 될 중요 기술을 선정하고, 혁신과 연구 전략, 그리고 이와 연계된 사회적 우선순위를

    제시할 예정


 - SRA와 MAR은 로보틱스 커뮤니티의 합의 하에 발표된 것으로 SRA가 상위 전략을 제공한다면 MAR은 심층적인 기술적 세부

    사항을 제시


○ 분야(Domains), 시스템 역량(System Abilities), 기술(Technologies) 3개 부분으로 구성되며 해당 내용 전체의 예시 보다는

    방향과 우선순위 제공에 초점


 - 분야(Domains): 시장을 산업과 서비스로 단순하게 구분하던 것에서 벗어나 로보틱스 기술의 광범위한 영향력 및 사용자와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


시스템 역량(System Abilities): 적응력, 인지적 능력, 구성능력, 판단의 자율성, 의존성, 상호작용력, 조작 능력, 동작능력, 지각

   능력 등 수준 정의에 따라 적용가능한 로보틱스 시스템 역량 차이를 구분


 - 기술(Technologies): 목적에 따라 4가지 군집으로 분류 가능

기술 군집 분류

구체적 내용

시스템 발전

더 나은 시스템과 도구(시스템 엔지니어링, 시스템 디자인, 시스템 통합, 모델링과 지식공학, 시스템 아키텍처 등)

인간 로봇 상호작용

더 나은 상호작용(인간 기계 인터페이스, 안전, 인간 로봇 협력)

메카트로닉스

더 나은 기계의 제작(작동장치, 재료, 통제, 센서, 통신, 전력 공급 등)

지각방향성인식

더 나은 행위와 인식(해석, 감지/동작 기획, 매핑/자연스러운 소통, 지식 재현과 추론, 학습개발 적용 등

 

○ MAR의 발전은 개별 기술 수준 변화, 시스템 역량 수준과 지표의 개선, 특정 단위나 시스템에 적용될 기술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 TRL) 수준의 진보 등으로 측정

 

<MAR의 기술 진보 시 분야 간 관계도>

 

 

 로봇을 활용한 현실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노령층의 독립적 생활을 보장하는 주거 환경 기술 프로젝트(Robot-

   Era) 추진 중(2012.1.1 - 2015.12.31)


○ 유럽연합(EU)은 고령화되는 인구변화에 대비하여 노령인구의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돕는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며, 첨단

    로봇 기술 연구를 실제 생활에 활용하기 위해 이용자 적응 연구를 수행


○ 프로젝트 개요


 - 명칭: 고령 인구의 실제 상황에서 고성능 로봇 시스템과 인텔리전트 환경의 실행 및 통합(Implementation and integration of

    Advanced Robotic systems and intelligent Environments in real scenarios for the ageing population: Robot-Era)

 

 - 목표: 실제 생활환경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삶의 질과 노인 돌봄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고성능 로봇 서비스 및

    인텔리전트 환경 구축


 - 대상: 평균적 건강 수준, 이동 및 인지 능력을 지닌 65세 이상의 남녀로 홀로 거주하거나 전일 돌보미가 아닌 가족과 거주하는

    인구


 - 특징: 새로운 로봇의 개발 보다는 기존에 개발된 로봇을 실제 노령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노령인구의 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초점을 맞춤


○ 실제 추진된 파일럿 프로그램 사례

 

<지역별 파일럿 프로그램 현황 및 주요 내용>

구분

주요 내용

이탈리아의 Peccioli

로봇 분야 첨단연구 진행하는 통합 연구실인 도모까사랩(DomoCasa Lab)은 로봇 시스템이

   장착된 집과 유사한 공간으로 노령층 대상 주거 실험 진행

 

다학제(기계공학자, 전기공학자, 생물공학자, 디자이너, 심리학자 등)로 구성된 실무진이

   실험을 진행해 사용된 장비 및 시스템 성능 평가(특히 심리학적 측면에서 이용자 감성과

   인성 관점의 맞춤형 기술 평가)

 

도모까사랩은 페시올리 연구혁신 단지에 위치해 생명공학, 정보통신, 환경, 농업 및 정밀기계 기술 관련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의 연구 진행

 

연구 결과의 산업적 확산을 위해 연구소와 기업 간 지속적 협업, 기존 생명공학

  회사와의 제휴제품 및 서비스 생산 연구 진행

 

기자노(Ghizzano) 주거지역은 노령층에게 수준 높은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된 시설로 연구활동, 실험, 개발된 시스템과 제품, 방법에 대한 개선 작업을 통한

  혁신 활동 진행

스웨덴의 Ängen

스웨덴 안젠에 구축된 PEIS*-홈 랩은 인공지능, 자율성 로봇 및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환경을 구축, 1차 프로토타입 PEIS-홈 랩 구축에는 한국 ETRI도 참여

 

  * PEIS: Physically Embedded Intelligent Systems

 

PEIS-홈 랩의 2차 프로토타입은 2010년에 구축, 연구에 치중한 1차와 달리 제품 및 서비스

  생산에 초점을 맞춰 실제 사용을 염두에 둠

 

PEIS-홈 랩은 다양한 센서/액추에이터(WLAN, Zigbee, 블루투스, RFID) 설비를 갖추고

  노령층이 생활하기 적합한 구조로 설치하여 실제 8채의 아파트를 건축해 2011년 봄부터

  주거 시작

컨소시엄 구성

이탈리아(SSSA, INRACA, ST-I, RT, TED, MOP), 독일(YOUSE, 함부르크 대학, MLAB),

   스웨덴(오레브로 대학, LG), 영국(폴리머스 대학)

 

 

○ 프로그램의 의의와 향후 계획


 - 로봇을 활용한 노령층 실 사용자의 주거 환경 구축과 이용자 실험을 통해 첨단 연구결과에 비해 미미했던 실생활 응용 분야에서

    이용자 친화형 로봇 및 시스템 개선과 판매용 제품‧서비스 생산의 가능성을 확인


 - 실험 결과는 다양한 학술 논문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Robot-Era 프로젝트가 완료되는 2015년 말에 결과 보고서가 발표될 예정

 


출처 : 유럽집행위원회 (2015.2.9) / euRobotics AISBL (2015.2.) / Robot-Era  (2015.2.)
https://ec.europa.eu/digital-agenda/en/robotics
http://ec.europa.eu/digital-agenda/en/news/multi-annual-roadmap-call-ict-24-robotics-now-available
http://www.eu-robotics.net/cms/upload/PPP/SRA2020_SPARC.pdf
http://www.gdr-rob2014.org/view.php/20141028%20-%20SPARC.pdf
http://www.robot-era.eu/robotera/index.php

 

 

③ 일본, 로봇혁명을 위한 ‘로봇 신전략’ 발표

 

□ 일본 경제산업성은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로봇에 의한 새로운 산업 혁명’ 실현을 위해 ‘로봇 신전략*’을 발표

   (2015.1.23)


  * ‘일본재흥전략’ 개정 2014에서 로봇기술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기업의 이익 향상, 임금상승이라는 목표를 설정한 후 로봇

    혁명실현회의를 설치하여 2014년 9월부터 6회에 걸친 회의 결과를 ‘로봇 신전략’으로 발표


○ 로봇혁명은 로봇의 극적 변화를 통해(자율화, 정보 단말기화, 네트워크화) 자동차, 가전, 휴대전화 및 주거를 로봇화하고, 생산

    현장에서부터 일상생활까지 다방면에서 로봇을 활용하며, 사회문제해결 및 국제경쟁력 강화를 통한 로봇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회 실현을 의미


○ 로봇혁명실현의 3대 목표 : ① 일본을 세계 로봇 혁신 거점으로 하는 ‘로봇 창출력의 근본적 강화’ ② 세계 제일의 로봇활용사회

    지향(로봇 쇼케이스 화) ③ 세계를 주시한 로봇혁명 전개 및 발전(고도IT사회 주시)


□ 전 분야 기반을 위한 액션플랜


○ 로봇혁명 이니셔티브(Robot Revolution Initiative) 협의회 설립


 - 로봇혁명실현회의 성과에 기반한 현장 실행 시 산학관 협력 이끌 추진체 설치


 - 산업경쟁력회의 및 종합과학기술혁신회의의 인공지능, IoT 논의와도 연계


○ 차세대를 위한 기술개발


 - 데이터 중심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연구개발로 혁신적 차세대기술(인공지능, 센서 및 인식시스템 등 핵심기술과 기반기술)

    연구개발 필요


 - 워크숍을 통한 기술 간 연계 및 정보의 공유, 기술 간 경쟁의 촉진 및 오픈 이노베이션 도입


○ 표준화 및 실증필드 정비


 - 다분야‧중장기적 관점에서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국제 표준화 추진, 실증 실험구역 정비, 인재 육성 등 추진


 - 2020년 로봇올림픽(가칭) 개최를 목표로 연내 실행위원회 발족 및 체제 정비 


○ 로봇 관련 규제개혁 실행


 - 로봇 활용을 위한 규제완화와 규제 정비 양측의 균형적 규제개혁 추진

 

 - 로봇혁명 이니셔티브협의회를 중심으로 수시 과제 정비 및 종합적 제도개혁 추진

 

 - 로봇 장애물 없는 사회(robot barrier free society) 구축 실현

 


□ 분야별 액션플랜

 

<분야별 액션플랜의 주요 내용>

구분

내 용

2020년 목표

제조

부품조립, 식품가공 등 노동집약적 제조업 중심으로

   로봇 도입 추진

로봇화가 지연되고 있는 준비공정 등에 로봇을

  도입하는 한편, IT 활용을 통해 로봇 자체 고도화

  도모

조립과정의 로봇화 비율 향상:

   대기업 25%, 중소기업 10%

차세대 로봇활용 우수 사례 30

   추진

서비스

물류, 소매업, 음식숙박업 등 로봇도입 추진

우수 사례 수집과 전국 확산을 통해 지역 서비스업 일손

   부족 해소, 생산성 향상을 통한 임금 상승 선순환 형성

채집(picking) 및 검품에 관련된

   로봇 보급률 약 30% 향상

간호

이동 및 보행 지원, 배설 지원, 치매환자 보호, 목욕 지원

   등 5개 분야 개발 및 실용화, 보급 후원

간호 로봇의 국내 시장 규모

   500억 엔으로 확대

신규 간호방법 등 의식개혁 추진

의료

수술지원로봇 등 의료기기 보급

신규 의료기기 심사 신속화

로봇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실용화 100건 이상 지원(’15-’19)

인프라재해대응건설

건설 현장의 노동력 절감과 작업 자동화를 통해

   중장기적 인력 부족에 대응

인프라 점검 등에 로봇을 활용해 기술자의 유지관리

   효율화 및 고도화 도모

생산성 향상 및 노동력 절감

   위한 정보화 시공기술 보급률

   30% 향상

중요노후 인프라 20%에 대한

   센서, 로봇, 비파괴 검사기술

   활용한 점검 및 보수 고효율화

   도모

농림수산업식품산업

트랙터 등 농업 기계에 GPS 자동주행 시스템 등을

   활용함으로써 작업 자동화 실행, 대규모저비용 생산

   실현

2020년까지 자동주행 트랙터

   현장 구현 실현

신규 로봇 20기종 이상 도입

 

 

출처 : 경제산업성 (2015.1.23)
http://www.meti.go.jp/press/2014/01/20150123004/20150123004b.pdf

 

 

④ 중국, 로봇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 로드맵 준비 중

 

 중국은 국가 과학기술혁신과 첨단 제조업 관련해 공업신식화부에서 ‘산업용 로봇산업 발전 촉진 관련 지도의견’을

   발표(2013.12.24)


○ 주요 목표는 2020년에 중국 산업용 로봇산업, 기업 기술혁신능력 및 국제경쟁력 제고, 국제경쟁력 보유 핵심기업 3-5개와

    산업클러스터 8-10개 구축


 - 첨단제품의 시장점유율 45%이상 향상하고 1만명당 직원의 로봇사용량 100대 이상을 달성하여 완비된 산업용 로봇산업 체계

    구축


 - 국가중점실험실, 국가공정기술연구센터, 국가급 기업기술센터 등 R&D기지 구축


 - 로봇 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첨단기술인재 대량 양성


 - 지역(산둥성, 안후이성, 톈진시 등)의 로봇산업 기술혁신 전략연맹 발족


□ 로봇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중국 로봇산업 로드맵이 조만간 발표될 전망


○ 최근 개최된 ‘제3기 중국 로봇 정상포럼’에서 공업신식화부는 7개 분야에서 산업관리를 강화하여 로봇산업의 발전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제시


< 7개 지원방안 >

1

중국 로봇산업 로드맵 및 로봇산업 135개년 계획 제정

2

전략적 신흥산업 표준화 발전계획의 요구에 따라 로봇산업 표준 작성사업 추진

3

중점산업용 로봇 및 핵심부품 연구개발, 산업화 및 시범응용 지원

4

국산 자체 브랜드 산업용 로봇과 핵심부품의 혁신발전을 권장

5

생산과 수요 간 연결 플랫폼 구축을 핵심으로 산업용 로봇 보급응용 촉진

6

로봇산업 진입제도 수립을 모색하여 산업용 로봇의 지역 차별화 발전의 체계적 촉진

7

산업 시범기지 평가표준을 제정하여 중국 자체 브랜드 로봇의 지방 집중발전과 보급응용 등을 지원

 

 


 중국의 로봇은 30년간 발전을 거쳐 로봇응용 기초연구에서 산업화에 이르는 R&D시스템을 구축하고, 2013년 9월

   기준 로봇 판매량이 전년 대비 41% 증가한 약 3만 7천대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로봇시장으로 부상


○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의 산업화, 특수로봇 기술연구와 시스템 응용, 로봇 첨단기술 비축 등 3개 차원에서 모두 크게 발전


 - 세계 최고수준의 차세대 로봇기술을 중점 추진해 생체공학로봇(인간형 로봇, 사족로봇) 및 신규 컴포넌트, 상황인식, 지능형

    제어, 인간-기계 협력 기술에서 혁신성과를 창출 


 - 특수 환경에 사용되는 서보(servo)* 로봇이 발전해 장거리 수중로봇, 핵분열 원자로 운영 유지보수 로봇 등 재해구조, 공공

    안전용 로봇은 시범응용단계에 진입


   서보(servo): 어떤 장치의 상태를 기준이 되는 것과 비교하고 안정이 되는 방향으로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가장 적합

      하도록 자동 제어 하는 것 


○ 이는 중국시장 발전 잠재력을 보고 중국 로컬기업이 로봇산업에 적극 진입한 한편 해외 대형 로봇기업이 현지 공장 설립한

    결과로 평가


 - 자국 공업기술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자체 지식재산권 보유 국산 로봇 개발과 내수시장 공략을 과제로 지적

 

 

출처 : 중국창신망 (2014.12.1)
 http://paper.chinahightech.com/html/2014-12/01/content_11315.htm

 

 

⑤ 시사점

 

 로봇 기술 분야의 연구 개발이 전통적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학문 간 협력을 통한 다학제적 형태로 변화됨에 따른

   융합형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 


○ 우리나라도 ‘제2차 중기(’14~’18)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타(他)제조‧서비스 분야로 ‘로봇산업 외연 확대’를 중점

    추진할 계획을 밝힌 바 있음


○ 제조업과 기술 중심에서 벗어나 시장 자체의 변화를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대응전략이 필요


 -  선진국들 간에도 로봇산업의 주도권과 표준을 선점하고자 하는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함


 민간과 시장의 수요자 중심으로 추진하기 위해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수립과 같은 거버넌스의 변화 양상에 주목할

   필요  


○ 실제 수요자의 관점, 기술개발 아닌 실제 상황에서의 활용 중심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실제 도시계획이나 상품‧서비스

    개발에 연계되는 방안 모색  


 - 유럽의 SPARC프로그램처럼 목표 설정과 우선순위 도출에 있어 협력하고 공동 책임을 지는 민간의 책무 및 역할 확대 필요


○ 시장과 수요자에 대한 관심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 차원에서 고려 필요


 - 중소기업과 지역별 산학 협력 거점, 다국적 기업과 해외 활용처 등 개방형 생태계 속 다양한 주체별 역할에 대한 고민 필요


□ 새로운 기술의 변화 뿐만 아니라 로봇 기술로 인해 발생되는 법적‧사회적‧윤리적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이를 보완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규제나 인프라의 개선이 필요


○ 로봇 활용 확대로 인한 일자리 감소, 인간-로봇 상호연계에 따른 윤리적 문제 등 새로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행정적으로 뒷받침할 신속한 제도적 대응이 필요


○ 실험실을 벗어난 실제 현장의 적용가능성 중심으로 재해 대응 로봇 및 독거 노령인구의 독립적 생활 보장을 위한 사회 인프라

    변화 등이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