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73호] IoT 기술 활용 전략의 이해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한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5-07-10
  • 권호 73
첨부파일

□ 최근 다양한 학자와 컨설팅 기관에서 ICT 기술 중에서 IoT(Internet of things)가 기존 ICT의 트렌드인 컴퓨팅을 통한 자동화, 인터넷을 통한 연결처럼 새로운 혁신을 촉발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등장하고 있다고 분석   


□ 결국, 기업들의 경쟁에 있어 IoT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IoT 기술에 대한 활용 전략에 대한 심도 높은 이해가 요구됨

 


 ICT부문의 IoT기술에 의한 환경변화

□ ICT 기술은 1960년대부터 2010년에 걸쳐 지난 50년간 기업의 환경 변화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음


○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주문 처리나 경비 지급, CAD, 생산관리 등 기업 내 가치 사슬 활동의 자동화를 통해 기업의 생산성이 향상


○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인터넷을 통해 공급자, 고객 사이의 지리적 제약을 넘어서 기업 간 연계로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기 시작


○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ICT 기술을 적극적으로 이해하여 핵심역량으로 보유한 기업들은 탁월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보여 주었음


 - ICT 기술을 공급하는 ICT 공급기업 측면 보다는 이러한 ICT 기술이 제공하는 가치사슬 활동에서 이점을 활용하여 기업의 혁신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기업의 사례는 무수히 많음

 

□ 최근에는 ICT 부문의 IoT 기술이 제품에 내장되어 활용되는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Smart, Connected Products)이 증가됨에 따라, 제품의 스마트화 또는 지능화를 불러오고 있음


○ 기존 제품에 센서,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통신 기능 등이 내장되고, 제품에서 발생하는 데이터가 클라우드를 통해 수집ㆍ분석되는 제품의 스마트화 또는 지능화가 강화


 - IoT 기술은 ㉠ 사물(thing)에 내재되는 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연결모듈, 운영체제 등을 포함하는 제품(Device) 부문,


    ㉡ 이러한 제품(Device)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통신(Connectivity)부문, ㉢ 통신을 통해 교환 및 수집되는 데이터를


    수집․축적․분석․활용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반적인 기술들을 제공하는 플랫폼(Platform)부문 등 3가지 기술영역으로 구분

 


< IoT의 기술적 계층에 대한 이해 >

구분

기능

Device

o 사물을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 sensors, Embedded processors, connectivity module, memory, secure element, operating system, software applications, user interface

Connectivity

o 사람, 디바이스, 프로세스 등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교환 및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 네트워크 가상화, 이기종 네트워크, 자가 구성 네트워크 등

Platform

o 디바이스를 연결·제어·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집·축적·분석·활용하는 기술, 수직적인 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과의 통합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술

- 빅 테이터, 클라우드,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가상화, 디바이스·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프로세스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비즈니스 시스템 통합 등

 
○ 경영전략의 대가의 마이클 포터는 다양한 제품에 IoT의 기술들이 적용되어 모니터링(monitoring), 제어(control), 최적화(optimization), 자율성(autonomy)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그 기능이 발전한다고 발표


 - 첫째, 모니터링 단계로 센서와 외부 데이터를 통해 제품의 상태, 운영 및 외부 환경을 종합적으로 관리 및 감독하는 기능이 강조


 - 둘째, 제어 단계로 제품 자체에 내장되어 있거나 클라우드에 존재하는 알고리즘 조건이나 환경이 특정하게 변화할 때, 제품이 어떻게 대응할지 정해놓은 규칙 및 명령을 통해 제품을 원격으로 제어


 - 셋째, 최적화 단계로 모니터링을 통해 발생하는 풍부한 정보의 흐름과 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이 결합됨에 따라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방식으로 제품 성능을 최적화


 - 넷째, 자율성 단계로 IoT 제품에서 모니터링, 제어, 최적화의 세 가지 기능이 결합되면서 자동 운영·연계가 가능해짐에 따라,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진단하며 수리 등의 기능이 가능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기능>

73.PNG


□ IoT기술에 의한 제품의 스마트화 또는 지능화는 기존 산업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를 확장하고 있음


○ IoT 기술은 제품이 다른 관련 제품들과 결합 또는 통합되어 폭넓고 근원적인 수요를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산업 내의 경쟁하는 경계들이 확장


 - 경쟁의 기준이 단일 제품(a discrete product)의 기능 중심에서 폭넓은 제품 시스템(broader product system)의 성능 중심으로 변화


기술에 의한 산업 경계의 재정의>

73.PNG

 

출처:Porter, Michael E., and James E. Heppelmann. “How Smart, Connected Products Are Transforming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92(2014):11-64.
김민식·허성욱 (2015), “IoT 기술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전략 및 시사점(I)”,《방송통신정책》, 제27권 7호 통권 598호, 2015. 4. 16.

 


② IoT기술이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IoT기술은 공정 혁신을 통해 운영의 효율성 강화와 더불어 제품 혁신을 통한 차별화 측면에서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침


○ 다양한 문제점들을 실시간으로 해결하는 공정혁신이 강화


 - 가치사슬 활동에 IoT 기술이 도입되어 소재, 반제품, 완제품, 생산설비 등에 센서, 네트워킹, 인터페이스 기능이 부착되면, 물류투입에서 운영, 물류산출,


    마케팅 및 판매활동, 서비스 활동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을실시간으로 해결하는 공정혁신이 강화


○ 기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IoT 기술 적용을 통해 새로운 수익 창출이 가능한 제품 혁신이 강화


 - 기본적으로 IoT 기술이 제품에 적용으로 발생되어 수집·축적·분석되는 데이터는 새로운 또는 개선된 제품을 기획․설계하는데 활용되는 동시에 맞춤화된 제품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회도 제공


 - 더 나아가 단순히 제품을 팔고 유지․보수하는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서 제품을 상시 모니터링․제어하고 최적화해 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의 변화도 가능하게 해줌


○ IoT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식을 습득해야 하며, 전문 인력, 새로운 장비도입,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 및 운영 등이 요구되는데 이는 모방하기 어려운 경쟁우위로 작용할 수 있음

 


□ IoT기술을 초기에 도입하거나 공급하려는 기업들에게 초기진입자 이익이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


○ IoT기술은 산출된 빅데이터를 수집․축적․분석․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됨에 따라, 이러한 특성으로 지식의 누적성이 강조되어 초기 진입자의 이익으로 작용할 가능이 높음


○ IoT 기술개발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요소로 인한 상호의존관계가 존재함으로, 상호의존관계의 구축 및 운영은, 기술적 우위가 없어진 뒤에도 초기진입자로서 비용구조 및 차별화 측면에서 잠재적인 이점을 보유할 수 있음


 - IoT기술은 특정 기업이 개발하여 제공하는 통제된 환경보다는, 생태계를 구축하여 개방된 협력구조가 이상적인 형태


□ IoT기술은 공급시장에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며, 활용시장에는 성과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사업 전반의 구조적인 개선을 이룰 것으로 전망


○ IoT 기술은 기존 ICT 영역의 파생시장으로 다양한 구성요소 공급업체들에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IoT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산업에 효율성, 혁신성, 생산성 등의 향상이 예상됨에 따라 급격한 파생시장의 성장이 예측


출처:Marco lansiti and Karim R. Lakhani. “Digital Ubiquity: How Connections, Sensors, and Data Are Revolutionizing Business.” Harvard Business Review 92(2014).
김민식·허성욱 (2015), “IoT 기술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전략 및 시사점(II)”,《방송통신정책》, 제27권 9호 통권 600호, 2015. 5. 16.

 

 

③ IoT기술의 활용 전략

□ IoT기술은 원가 절감 및 차별화, 초기 진입자 이익, 산업 전반의 구조개선 등 3가지 측면에서 기업의 경쟁우위 창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따라서 기업은 「경쟁자보다 초기에 IoT 기술을 도입하여 공정 및 제품혁신을 통해 운영의 효율화와 제품 차별화를 강화하여야 하며, 생태계를 구성하거나 활용하여 산업 전반의 구조 개선에 참여하는 경쟁전략」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할 수 있음


□ IoT에 따른 변화의 흐름을 기업들이 수용하여 자사의 사업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전략이 요구


○「다양한 수직적인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IoT의 기술적인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어디 수준까지 기능을 구현하여 IoT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를 고려하여, 목표로 하는 고객이 수용할 수 있는 IoT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 IoT의 기술적인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의 범위>

IoT

기술구성요소

 

IoT 제품 기능

Smart Device

(HW + SW)

Connectivity

Platform

모니터링(Monitoring)

 

타겟으로 하는 사용자가 수용할 수 있는 IoT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  

제어(Control)

최적화(Optimization)

자율성(Autonomy)

 

 

 - 여기서 주의해야 해야 할 점은 기능의 구현에 있어 모니터링에서, 제어, 최적화, 자율성 수준으로 기능이 향상될 수 록 이에 따르는 비용과 복잡성이 크게 증가함을 고려


 - 따라서 목표로 하는 사용자가 IoT 제품과 서비스에 대하여 대가를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가 충분히 존재하여야 함


○ 「다양한 수직적 산업 분야에서 IoT 제품과 서비스를 가지고 어떠한 비즈니스모델을 수립하여 누구와 협력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이러한 가치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함


 - 여기서 주의해야 해야 할 점은 기존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역량을  IoT기술을 활용하여 재조합하고 연결하여 가치를 창출할 때 누구와 어떻게 협력할 지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


 - 특히 이때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공급자, 보완자, 사용자 등 생태계를 구성하는 시장참여자들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함


출처 : 김민식·허성욱 (2015), “IoT 기술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전략 및 시사점(II)”,《방송통신정책》, 제27권 9호

통권 600호, 2015. 5. 16.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