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108호] 2018년 과학기술 이슈 및 전망

  • 국가 기타 , 미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8-01-12
  • 권호 108
첨부파일

최근 IoT, 블록체인, 가상현실, AI 등의 파급으로, 과학기술계 뿐 아니라 향후 국민의 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됨 


○ 따라서 미국의 주요 미디어와 기업이 연말·연초에 발표한 ‘18년 동안 사회에 큰 영향 미칠 것으로 전망한 트렌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포춘, 딜로이트(Deloitte), 워싱턴포스트지, MIT 테크놀로지 리뷰에 보도된 2018년 기술 트렌드 이슈를 중심으로 분석

 

 

① 포춘, 2018년 4대 기술 트렌드 전망

□ 경제전문지 포춘(Fortune)은 2018년에 세계에 큰 파급효과를 줄 것이라 예상되는 4대 기술 트렌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함


  * 4 Technology Trends That Will Transform Our World in 2018


< 포춘 선정 2018년 4대 기술 트렌드 >

4대 기술

주요 트렌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기술의 보안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임

핀테크 기술

생체 인증 기술과 암호화폐 기술의 결합, 양자컴퓨터를 활용한 친환경적 암호화폐의 채굴 등으로 인해 핀테크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임

증강현실 기술

스크린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헤즈업디스플레이(Heads Up Displays)의 도입으로 사람들의 삶이 크게 달라질 것임

봇 기술

일상생활에 자동 응답 고객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듯이 앞으로는 음성 봇이나 챗봇이 가정이나 업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임

 

 

(1) 사물인터넷(IoT)에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BIoT)으로의 진화


 -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컴퓨터에 디지털 기록을 남겨 해킹을 막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블록체인 사물인터넷(BIoT)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


 - 기업 간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컴퓨터 서비스를 연결해주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s)를 활용하여 다양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BIoT) 기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실시간 분석 및 공급 체인 개선이 가능해질 것임


(2) 핀테크 기술의 르네상스


 - 안면인식, 음성, 지문, 홍채 등 생체 인증 기술과 암호화폐 기술의 결합으로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소셜미디어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결제 및 암호화폐 결제가 가능할 전망


 - 월등한 연산능력으로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양자컴퓨터가 개발되어 친환경적인 암호화폐의 채굴이 가능해지고 전통적 금융기관들이 암호화폐 기술을 도입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결제 시스템, 대출 과정, 신용 측정 수단으로 활용될 것임


(3)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의 대중화


 - 스크린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헤즈업 디스플레이(Heads Up Displays, HUD)를 소비자가 착용한 안경에 구현하는 기술이 보다 저렴하게 제공되어 사람들이 일하고, 구매하고, 여가 생활 방식이 크게 달라질 것임


 - 기존의 와이파이(Wi-Fi)*에 비해 100배나 빠른 라이파이(Li-Fi) 기술은 고해상도의 맞춤형 가상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무한대로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실제와 가상 물체 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쇼핑이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임


  * 전자파가 아닌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각광받고 있음


(4) 봇(bots) 기술의 보급


 - 음성 인식 봇은 항공편 예약 등 자동 응답 서비스를 넘어 더 많은 일상 생활에 활용될 것이며, 가정용 봇들은 약 복용 시간 및 신용 한도 안내 등 상황에 맞는 정보 제공 역량을 갖추게 될 것임


 - 기업들은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보다 챗봇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돈을 사용하게 될 것임


출처 : 포춘(2017.12.26)
http://fortune.com/2017/12/26/4-technology-trends-2018/

 

 

② 딜로이트, 2018년 8대 기술 트렌드 보고서 발표

□ 딜로이트(Deloitte)는 2018년 기업의 역량과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8가지 주요 기술 트렌드를 정리한 보고서*발표함


  * Tech Trends 2018: The Symphonic Enterprise

 

  ※ 딜로이트(Deloitte)는 매년 사업 환경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 트렌드를 분석해 왔으며, 올해는 조화로운 기업

      (Symphonic Enterprise)을 주제로 8대 기술 트렌드를 선정

 < 딜로이트의 2018년 8대 기술 트렌드 >

8대 기술 트렌드

주요 내용

리엔지니어링 기술

상향식, 하향식 기술 솔루션을 적용하여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획기적인 방안 개발

근로자-기계 간

협력적 업무 모델

자동화와 인지 기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근로자와 기계 간의 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인사 전략 요구

기업 데이터 관리

데이터가 기업의 주요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

새로운 핵심 기업 활동

블록체인, 인공지능, 자동화, 사물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수렴에 따라

핵심적이고 내부적인 기업 활동 개선

디지털 현실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에 맞는 기업 전략과 사업 모델 개발

다양한 블록체인 조정·통합

블록체인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블록체인기술들을 조정 통합·조율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활용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 기술을 활용한 기존 자산의 효율적 활용과 새로운

기업 활동 기회 창출

폭발적 성장 기술

범용 인공지능과 양자암호화 기술은 단기적이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주목할 만한 기술

트렌드로 선정

 

 

(1) 리엔지니어링 기술*(Reengineering Technology)


  * 조직, 정보기술, 조직문화, 측정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기업공정을 획기적으로 다시 디자인한 ‘업무 재구축’을 의미


 - 기업 IT 부문의 전통적 사업 모델 개선을 위해 인프라 시설과 기업 구조를 현대화하는 상향식 접근법과 기업 역량을 재조직하는 하향식 접근법을 적용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전망


 - 이 과정에서 상향식 접근법과 하향식 접근법은 보다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기업 구조 개선을 위해 서로 상호 보완하는 관계에 있음

 

< 리엔지니어링 기술 적용 사례 >

108-1.PNG

 

 

(2) 근로자-기계 간 협력적 업무 모델(No-collar Workforce)


 - 자동화와 인지 기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근로자와 기계에 대한 업무 분담은 물론 이들 간의 협력적인 업무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만드는 "근로자-기계 하이브리드(hybrid human-machine workforce)" 인사 전략이 요구될 것임


 - 로봇과 인공지능이 근로자들의 업무를 대체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현상을 두려워하기보다는 이들 간의 상호보완적 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지털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함


(3) 기업 데이터 관리(Enterprise Data Sovereignty)


 - 모든 조직에 있어 데이터가 주요한 자산으로 떠오르면서, 부처와 지역 간에 정보를 보다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수요가 증가


 - 머신러닝과 자연어 처리,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기업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호와 관련된 규제적, 법적 요구 사항에 대응하기 위한 관심 고조


(4) 새로운 핵심 기업 활동(The New Core)


 - 그동안 블록체인, 인공지능, 자동화, 사물인터넷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적용은 최종 소비자와 관련된 기업 활동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향후에는 기업의 핵심적인 내부 영역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될 것임


(5) 디지털 현실(Digital Reality)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의 발전에 맞게 하드웨어 기기의 개발보다는 기업 전략과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개발해 소비자와의 접촉을 넓히는 데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함


 - 이러한 과정에서 경영자들은 코어 통합과 클라우드 활용, 연결성 및 접근성과 관련한 지속적인 과제 해결이 필요


(6) 다양한 블록체인 조정·통합(Blockchain to Blockchains)


 -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과 상업화를 위해 기업들은 컨소시엄을 결성해 블록체인 기술의 표준을 확립하고, 하나의 가치 사슬 안에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통합하며, 조율할 방안을 개발하여야 함


(7)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의 활용 (API Imperative)


 -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 기술은 기업 내 자원을 기업 내외로 쉽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IT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술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음


(8) 폭발적 성장 기술 (Exponential Technology Watch List)


 - 앞서 언급된 기술들이 근래에 기업 활동에 많은 변화를 끼칠 것으로 전망되는 것과는 달리, 범용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과 양자 컴퓨터 및


   암호화(Quantum Computing and Encryption) 기술은 상대적으로 먼 미래의 기업 활동에 큰 파급효과를 미칠 전망

 


출처: 딜로이트(Deloitte) (2017.12.5)
https://www2.deloitte.com/content/dam/insights/us/articles/Tech-Trends-2018/4109_TechTrends-2018_FINAL.pdf

 

 

③ 워싱턴포스트, 2018년 10대 긍정적·부정적 기술 트렌드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지는 2018년 기대할만한 기술적 트렌드와 우려할만한 트렌드를 보도*


  * 10 Ways Tech Will Shape Your Life in 2018, for Better and Worse

 

【 긍정적 기술 트렌드 】


○ 본 기사는 가상현실 안경,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등 2018년 한 해 동안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는 긍정적인 기술적 트렌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함


(1) 전기자동차 보급의 확대


 - 지난 ‘16년 테슬라(Tesla)가 발표한 35,000달러(약 3,750만원)의 비교적 저렴한 전기자동차 제품인 모델 3(Model 3)은 예약자만 45만 명에 달하는 등 큰 관심을 모았으나, 심각한 공급 지연 문제로 인해 제품의 판매에 큰 차질을 빚어왔음


 - ‘18년 테슬라(Tesla)의 공급 문제가 해결되고 첨단 기술을 적용한 다른 자동차 제조사들의 신규 모델들이 본격적으로 출시·공급될 경우 도로 위에서 이러한 전기자동차나 자율주행차보다 많이 볼 수 있을 것임


(2) 애플(Apple)의 홈팟(HomePod) 출시


 - 2017년 여름 애플(Apple)은 음성인식 스피커인 홈팟(HomePod)을 350달러(약 37,500원)에 제공할 계획을 발표하였음에도 그동안 본격적인 출시를 미루어왔으나, 2018년에는 해당 제품을 판매할 예정임


 - 홈팟(HomePod)의 출시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음악, TV, 스마트 홈을 연결하는 음성인식 스피커 시장에서 소외되었던 아이폰(iPhone) 사용자 등 충성도가 높은 애플 고객들로 관련 서비스를 확대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3) 증강현실(AR) 서비스의 확대


 - 포켓몬고(Pokémon Go)를 통해 세상에 소개된 증강현실(AR)은 이제 이 기술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활발하게 활용되어 스마트폰 카메라를 검색 엔진이나 인테리어 디자인 도구, 개인 교사로 활용하고 있음


 - 19억 달러(약 2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한 증강현실(AR) 스타트업 매직 립(Magic Leap)은 2018년 첫 번째 제품인 매직 립 원(Magic Leap One)을 출시할 예정에 있음


(4) 무선 충전 기술

 
 - 그동안 무선 충전 기술을 지원하지 않던 애플(Apple)이 아이폰 X(iPhone X)와 아이폰 8(iPhone 8)에 이 기능을 추가하면서 Qi방식의 무선 충전이 업계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음


 - 이로 인해 커피 프랜차이즈나 가구 제조사, 자동차 제조사 등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을 지원할 수 있을 것임 

 

(5) 디지털 구독


 - ‘18년에는 온라인 비디오, 음악, 게임, 뉴스 등을 구독하는 것이 커피를 사서 마시는 것과 같이 일상적인 일이 될 것으로, 딜로이트(Deloitte)는 ‘18년 말까지 선진국의 성인 중 50%가 두 개 이상의 온라인 전용 미디어를 구독할 것으로 예측하였음


 - 2018년 애플(Apple)은 비디오 구독 서비스에 대한 노력을 배가할 것이며 스포츠 경기를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권리를 두고 기업들 간의 치열한 경쟁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됨

 

【 부정적 기술 트렌드 】


(1) 허위 온라인 정치 광고


 - 2018 중간 선거를 맞아 개인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은 물론 소셜네트워크 활동이나 다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광고가 특정 단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될 것임


 - 페이스북(Facebook)과 구글(Google)이 앞으로 정치적 광고를 누가 구매하였는지를 공개하기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광고는 미국 정치에 영향력을 끼치고 싶어 하는 외국 단체의 목표가 될 것임


(2) 증가하는 사이버 보안 위협


 - 사이버 공간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는 가운데 2018년에는 사물인터넷 기기나 선거 시스템을 노린 사이버 공격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


 - ‘17년 해커들은 에퀴팩스(Equifax) 사에 저장된 1억 4,550만 명의 개인 정보를 유출시키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업들은 이중 인증(two-factor authentication) 등 개인의 신용을 확인할 새로운 방법 개발


(3) 어댑터의 필요성


 - 전통적인 USB 포트를 없앤 맥북프로(MacBook Pro)나 USB type C 플러그를 제거한 아이폰 X(iPhone X) 등 디지털 기기들이 서로 다른 방식의 액세서리 연결 방식을 사용하면서,


   소비자들은 어댑터를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며 산업 전체에도 악영향을 미침


(4) 인공지능의 남용


 -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고 보다 많은 부문에 적용됨에 따라 인공지능이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읽을지를 결정하거나 소비자의 음성이나 얼굴, 감정 등을 평가하는 등 윤리적인 논란의 여지가 존재


(5) 기술 대기업의 대형화


 - 아마존(Amazon)의 사업 영역 확대나 디즈니와 폭스 간의 합병, CVS와 애트나(Aetna) 간의 합병 등 대기업들의 합병이 계속되면서 많은 권력이 소수에 집중되고 있음


 - 그 결과 애플(Apple)이나 구글(Google), 페이스북(Facebook)의 아성에 도전할만한 기업 출현이 어려워짐

 

출처 : 워싱턴포스트(2017.12.28)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the-switch/wp/2017/12/28/10-ways-tech-will-shape-your-life-in-2018-for-better-and-worse/?utm_term=.3d88f5da531e

 

 

④ MIT 테크놀로지 리뷰, 2018년 우려되는 6대 사이버 위협

□ MIT 테크놀로지 리뷰(MIT Technology Review)는 해커들이 끊임없이 새로운 공격 대상들을 찾고 자신들의 도구를 개선함에 따라 ‘18년에 일어날 위험성이 높은 6대 분야를 분석함

 


< ‘18년 사이버 공격이 우려되는 6대 부문 >

6대 취약 부문

주요 리스크

개인정보 대량

유출 사고

‘17년 신용 평가 기관 에퀴팩스(Equifax)의 개인정보 대량 유출 사고보다 더 큰 규모의 민감한 정보  유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음

클라우드 내 랜섬웨어

‘17년 개인용 PC와 운영 체제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랜섬웨어가 기업들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목표로 할 가능성이 높음

인공지능의 무기화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맞춤형 피싱 등 범죄 활동에 악용될 수 있음

사이버-물리 시스템

공격

해커들이 전력 그리드망, 교통 시스템, 국가 인프라 시설 등 주요 사회기반시설을 사이버 공격의 목표로 설정할 가능성이 높음

암호화폐 채굴용 해킹

암호화폐의 채굴이 막대한 연산 능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훔치기 위한 해킹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음

선거에서의 해킹 활동

‘18년 중간 선거를 앞두고 선거명부 유출에서 결과 조작에 이르는 범죄가 일어날 수 있음

 

 

(1) 개인정보 대량 유출 사고


 - ‘17년 신용 평가 기관 에퀴팩스(Equifax)에서 미국 국민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사회보장번호와 생년월일 등 민감한 데이터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


 - ‘18년에는 소비자들의 개인적인 웹브라우징 습관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브로커 등 민감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해커들의 범죄 목표가 될 수 있음


(2) 클라우드 내 랜섬웨어


 - ‘17년 컴퓨터의 데이터에 침입해 강력한 암호를 걸고, 금전적 대가를 요구하는 랜섬웨어가 영국의 국민건강보험, 샌프란시스코의 경전철 시스템, 페덱스 등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으며,


    수천 대의 컴퓨터를 먹통으로 만든 워너크라이(WannaCry) 사고가 발생


 - ‘18년 해커들은 대량의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보관하고 있는 기업을 목표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구글, 아마존, IBM 등의 대기업들보다는 중소기업들이 보다 큰 위협을 겪게 될 것임


(3) 인공지능의 무기화


 -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맞춤형 피싱 등 범죄 활동에 악용될 수 있으며, 보안 기업과 연구자들은 머신러닝과 신경 네트워크 등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이를 막기 위한 기법을 개발 중


(4) 사이버-물리 시스템 공격


 - 더 많은 해커들이 전력 그리드망, 교통 시스템, 국가 인프라 시설 등 중요 시설을 목표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은 즉각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을 목표로 하거나 랜섬웨어를 설치해 장기적으로 통제력을 얻길 원할 수 있음


 - 특히 비행기나 기차, 선박 등 오래된 교통수단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으로 해커들의 공격에 더 많이 노출


(5) 암호화폐 채굴을 위한 해킹


 - 암호화폐의 채굴에는 막대한 연산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다른 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훔쳐 채굴에 활용하기 위한 해킹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병원이나 공항 등을 대상으로 할 경우 피해가 더욱 늘어날 전망


(6) 선거 과정에서의 해킹 활동


 - 러시아 해커들의 해킹으로 얻어진 정보가 미국 대통령 선거에 큰 영향을 주면서, 2018년 미국에서 이루어질 중간 선거를 앞두고 선거명부 유출에서 결과 조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죄 가능성이 높음

 


출처 : MIT 테크놀로지 리뷰(2018.1.2)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09641/six-cyber-threats-to-really-worry-about-in-2018/

 

 

④ 결론

□ 미국 내 주요 언론과 기업들은 2018년 IoT, 블록체인, 증강·가상 현실(AR·VR),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확대를 공통적으로 전망함


○ 사물인터넷(IoT)이 상대적으로 외부 침입에 취약한 약점을 블록체인 등의 기술적 솔루션을 통해 극복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홈에서 기업 인프라 현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문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할 전망


○ 증강·가상현실(AR·VR)은 기업이 소비자들과 소통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보다 저렴하고 뛰어난 성능을 보유한 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실생활로의 적용이 보다 가까워짐


○ 인공지능 기술은 스마트 스피커를 활용한 개인비서 서비스에서 근로자의 업무 대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부문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2018년에는 관련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의 출시와 인사 등 기업 전략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전망


□ 반면, 사이버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 인공지능 기술의 남용, 가짜 뉴스 등 사회의 질서를 위협하는 데 악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 대한 우려가 높음


○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연구자와 기업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들에게도 막강한 능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기술을 악용한 대규모 해킹 사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 특히 사물인터넷의 수많은 기기 간 연결 고리와 낙후된 사회기반시설의 경우 사이버 공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점과 클라우드의 경우 수많은 데이터가 한 곳에 저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음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보다 효율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한편, 이 과정에서 사회적, 윤리적으로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음


○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정보 채널은 전통적인 미디어에 비해 조작의 위험성이 크고, 그 파급 효과가 즉각적이고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사회를 분열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우려가 높음


□ 따라서 정부 및 기업은 블록체인, 증강·가상 현실, AI 등 파급에 따른 이슈, 부작용에 대한 대응 방안 수립이 필요


   (블록체인 기술)


○ 블록체인 기술은 AI, IoT 등과 함께 미래 세상을 바꿀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나, 기술 도입 및 확대를 위해 국내·외 관련 기관과의 금융·법률적 논의가 필요 


 -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기술의 활용 수준이 초기 단계 수준이므로, 향후 금융, 공공 부문, 미디어 등 전 산업으로의 확산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


 - 블록체인 시스템이 안전하나, 인프라 보안이 취약할 수 있어 해커의 공격을 보호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구축 지원 

 

   (AI 기술)


○ 인공지능 시스템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데이터 공급이 필요하며, 기술 오남용에 대한 윤리적 사회적 합의가 필요


 - 데이터는 인공지능 시스템 발전에 있어 필수적 요소로, 정부는 데이터의 표준화와 공공 데이터 개방, 국제적 데이터 이동 촉진 강화


 - 인공지능 기술의 오남용을 막고, 기술의 활용 과정에서 일어날 법적·윤리적 논란에 지혜롭게 대처하기 위한 범사회적인 감시와 기술 수용 범위에 대한 논의 착수


   (AR·VR 기술)


○ 많은 기관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며,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폭넓은 관심과 참여가 중요


 - 현재 AR·VR 기술이 특정 영상 콘텐츠 등 제한된 분야에서만 활용되므로,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시도 추진


 - 부작용으로 우려되는 시력 저하, 사이버 멀미, 과몰입 등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안 마련 


  (사이버 보안)


○ 사이버 공격의 피해가 급증하면서, 사이버 보안에 취약한 중소기업이나 낙후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정부 보안 점검과 기술적 지원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는 방안 수립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