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122호] 트럼프 정부 첨단산업 육성 정책 동향

  • 국가 미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19-03-15
  • 권호 122
첨부파일



올해 2월 백악관 OSTP에서 발표된 ‘Science and Technology Highlights in the Second Year of the Trump Administration’ 내용을 중심으로 기존 성과 및 관련 추진 정책 정리

① 개요

□ 우리나라의 주력산업 경쟁력이 위기인 가운데, 지난해 제조업 혁신방안 및 5G, 인공지능 R&D 전략 등 4차 산업혁명 핵심분야의 정책 기틀을 마련


○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혁신성장을 견인할 초연결·초지능 플랫폼 구축을 위해 핵심 원천 기술력 확보 및 산업 융합 촉진 강화


 - ‘인공지능 R&D 전략’ 수립(’18.5.), AI R&D 투자 확대(’16. 1,300억원→’18. 2,700억원)를 통해 AI 전문기업 수 증가(’16. 27개→’18. 43개)


 - 5G 주파수 조기 할당(’18.6.), 설비 공동구축·활용제도 정비 등을 통해 5G 상용화 기반 조성 


□ 트럼프 대통령은 신년 국정연설(’19.2.)을 통해 5G, AI 등 미래 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는 의지를 표명


○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은 과학기술 정책의 연차별 성과를 발굴


  ※ 미국은 국가 최대 과제를 해결하고 국민에게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과학기술정책실(OSTP)이 주도적으로 과학기술에 필요한 핵심 국가 전략을 추진


 - ’17~’18년에 추진된 과학기술 성과를 비교해보면, ’18년 성과로 AI, 5G 등 첨단산업에 대한 전략이 구체화되었으며, 양자정보과학과 첨단제조업이 새롭게 추가됨


□ 동 이슈분석은 트럼프 행정부 2차년도에 추진된 과학기술 정책 중 첨단산업 분야인 5G, AI, 첨단제조, 양자정보과학 등 4개 우선순위 분야의 정책적 성과를 살펴본 후,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트럼프 행정부의 과학기술 성과 요약 >

구분

1(’18.3.)

2(’19.2.)

인공지능

·규제철폐, 자율주행차 안전성 확보, 머신러닝 의료부문 활용

·인공지능 행정명령 서명. 인공지능 특별위 설치

첨단수송

-

·무인항공시스템에 드론을 통합

양자정보과학

-

·국가 양자이니셔티브 법안 통과

바이오의료

·신약치료법 허가, 바이오의료사업 절차 간소화

·전염병 연구, 정밀의학 발전, 퇴역군인 건강 증진

통신

·5G 및 사물인터넷 기술 강조

·국가 무선 주파수 전략 수립

보안전자정부

·정부 IT 현대화 사업 및 행정명령 서명,
사이버 보안 강화

·국가 사이버전략 채택, 사이버 회복 에너지 전달시스템 연구

개인정보보호

 

·소비자신뢰 증진, 개인정보위험 관리

디지털경제

·디지털 거래·데이터 이동 제한 방지

·디지털 무역 지원 및 국가간 탄력적 데이터 공유

첨단제조

-

·첨단제조 전략계획 발표

에너지

·국내 에너지 부문 재활성화

·원자력 혁신 강화, 원유와 천연가스 수출 강화

환경

-

·음용수 오염물질 대응, 안전한 물 그랜드챌린지 출범

국방

·국방을 위한 유망기술 개발

·국가생명체보호전략 발표, 국방혁신부대 재지정

자연재해

-

·자연재해 데이터 공유, 지진·쓰나미 복원력 향상

기초

·노벨상 수준 연구 지원

·측정분야 국제시스템 재정의, Lab to Market 촉진

사회 문제

·약물중독 정부 대응 개선 등

·전염병 대응 진통제 과다 복용 위험 대응

거대 공공

·국가우주위원회 부활, 태양계 유인탐사

·화성탐험, 우주전략 발표

STEM

·STEM 컴퓨터 교육 우선지원, 직업훈련 강화

·커리어기술교육법 재승인,STEM교육강화 전략계획 발표



② 기술 분야별 정책

가. 5G


□ 트럼프 정부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의 핵심 추진 과제로 5G 정책을 추진


○ ’17년 국가안보전략에서 무선 주파수로의 접근성이 경제활동과 국방을 유지하는 중점 기술요소임을 명시 


 - 미국 통신기업은 매년 740억 달러에서 780억 달러(87조 7,000억원)에 이르는 투자를 통해 브로드밴드 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여전히 지역별 서비스 품질 격차가 큰 편임


< 지역별 인터넷 서비스 및 제품 사용자 비중 (%) >

16.PNG


○ 무선 브로드밴드 통신은 지난 수십년간 미국인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왔으며, 5G 기술은 인터넷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차 등에도 핵심 기술이 될 전망


  * 5G는 4G LTE 대비 데이터 용량은 약 1,000배 많고, 속도는 200배 빠른 차세대 통신으로 전 세계 5G 시장은 12조 달러(1경 3,40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


□ 미·중간 통상 분쟁으로 5G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미국은 5G 기술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수립


 (1) 미국 내 5G 무선 네트워크 기술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 개발을 위한 장기 전략이 담긴 대통령 교서에 서명*(’18.10.)


  * Presidential Memorandum on Developing a Sustainable Spectrum Strategy for America’s Future


○ 미국이 향후 몇 년 내 차세대 네트워크 선두에 설수 있도록 지원 전략 수립


 - 백악관에 주파수 대역 재배치를 위한 TF 설치


 - 정부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을 민간 사업자와 어떻게 공유할지 연구


 - 민간 사업자는 TF 운영에 따라 5G 주파수와 연방 정부가 제공 중인 주파수 대역을 추가 확보 가능


 (2) 5G 혁신과 시장 확보를 위한 공공-민간 협력 전략 논의(’18.9.)


○ 미국 5G 시장 내 정부·민간·학계 간 리더십 촉진을 위한 방안 논의


○ 연방통신위원회(FCC)는 더 많은 주파수를 시장에 제공하고, 기반 시설 정책 개선 및 규제를 현대화하는 5G 구축 전략(5G Fast Plan) 논의


 - 더 많은 주파수 진입, 인프라 정책 갱신, 낡은 규제의 현대화 등 3가지 핵심요소 포함


 (3) 국립과학재단(NSF)은 첨단 무선통신 연구 플랫폼(PAWR) 관련 기초 및 기반연구 시설 지원을 위해 7년간 4억 달러(약 4,500억원) 투입할 예정(’18.4.)


○ 소규모 도시 전체를 첨단 무선통신 연구 플랫폼으로 만들어, 이를 기반으로 첨단 무선통신 네트워크 구축


  ※ 첨단 무선통신 연구플랫폼은 NSF 뿐 아니라 AT&T, 버라이즌, 삼성, 퀄컴, 스프린트와 같은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통해 지원


○ IoT 기술이 요구하는 데이터 크기와 네트워크 솔루션을 찾기 위해 PAWR 기초연구 지원


○ 연구자, 기업가, 시민이 다 같이 참여하여 혁신적 첨단 무선 통신기술 프로젝트를 시연할 수 있도록 지원 



나. AI


□ 미국은 구글, 아마존과 같은 민간기업이 AI 분야를 선도해가고 있으며, 정부는 AI 발전에 근로자들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모색 


○ AI 분야에서는 미국은 타 국가대비 월등한 수준이며, 미국 다음으로 중국, 영국이 투자, 기업 수, 특허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음


 - OECD 과학기술 통계에 따르면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관련 연구 출간물은 미국, 중국, 인도, 영국, 독일, 일본 순으로 나타남


17.PNG


 - AI 분야 민간 투자와 창업은 주로 미국, 중국, EU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중국 투자 비율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임


□ 트럼프 행정부는 AI 이니셔티브 서명, AI 특별위원회 설치, AI Next Campaign 추진, NSF 인간-기술 협력 연구 지원 등 활발한 활동을 추진


 (1) ‘AI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서명(’19.2.)


○ 올해 2월 ‘AI 분야 미국 리더십 지위 유지’라는 행정명령*에서 미국이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


  * Accelerating America’s Leadership in Artificial Intelligence


 - 미국 정부가 중국과의 AI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 것으로 분석


 - 이 행정명령은 연방기관이 AI 프로그램에 우선순위를 두고 예산을 운용하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연구·개발자들이 더 많은 정부 데이터에 접근하는 길을 열어두는 것이 핵심내용임  


○ 미국 인공지능 이니셔티브에는 주로 5가지 원칙이 포함


< 미국 AI 이니셔티브(American AI Initiative) 5가지 원칙 >

1

연구개발

- 연방정부와 산업계, 학계가 공동으로 과학의 새로운 발견과 경제 경쟁력, 국가 안보를 촉진하기 위한 인공지능의 기술 발전을 추진

2

거버넌스

- 새로운 인공지능 관련 산업을 창출하고 인공지능 기술 안전 테스트와 적절한 기술 표준을 수립

3

일자리

창출

- 근로자들을 교육해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하고 오늘날의 경제와 미래의 작업에 대비

4

인프라

-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대중의 신뢰와 자신감을 키우고 그 응용에서 국민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가치관을 보호해 미국 국민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

5

국제협력

- 미국의 AI 연구 및 산업을 위해 우방국과의 국제 및 업계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전략적 경쟁 상대와 적대국들로부터 미국의 기술우위와 인공지능 기술 기반을 보호


 (2) AI 서밋 개최 및 R&D 전략계획 갱신(’18.5.) 


○ AI 서밋에서 AI 실현 정책*을 논의하였으며, NSTC 산하에 인공지능 특별위원회(Select Committee on 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치하여, 연방기관의 R&D 계획을 조율 


  * Summary of the 2018 White House Summit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merican Industry


< 트럼프 정부의 인공지능 기술 지원 정책 >

6대 부문

정책 사례

인공지능 R&D 예산 우선 지원

- 2015년 이후 연방 정부의 R&D 투자 40% 이상 증가

- 머신러닝과 자동화 시스템을 강조하는 지침 제공

- 예산 신청()에서 R&D 우선과제로 명시

규제 장벽의 제거

- 2016 연방 자율주행차 정책 제시

- 주 및 지방 정부에 드론의 운행 허가권 제공

- FDA는 인공지능 기반 망막증 진단 기기의 사용 허가

미래 인력 양성

- 어프랜티스십을 촉진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STEM 교육 강화를 위한 재원 확보

전략적 군사력 우위 확보

- 군사안보전략에 인공지능의 중요성 명시

- 국방전략을 통한 자동화, 인공지능, 머신러닝 투자

정부 서비스 부문에의 활용

- 자동화 소프트웨어의 활용

- 총무청의 인공지능 활용 시범 사업 수행

국제적 인공지능 협상 주도

- 2018 G7 혁신장관 회의 인공지능 관련 성명서 작성 주도

- 영국, 프랑스와의 과학기술 협력 협정 체결


 (3) AI 관련 투자방안 수립


○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는 차세대 AI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AI Next 캠페인*을 추진하고, 5대 분야에 20억 달러 투자방안을 수립(’18.9.)


 - ’18년 7월 발표된 인공지능 탐사(AIE)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18개월 동안 새로운 AI 컨셉의 현실성을 살펴보는 고위험 고수익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


 - AI Next 기술개발 프로그램 뿐 아니라 다음 분야에서 AI 파트너십을 활용한 미국 국방부의 강력한 역량 창출을 기대 


< AI Next 캠페인 5대 분야 >

5대 분야

주요 내용

새로운 역량

- R&D를 통해 사이버 공격 실시간 분석, 가짜 이미지 탐지, 모든 영역 전장관리, 자연언어기술, 자동표적 인식, 생체의학 등 일상적으로 AI 기술을 적용

강력한 AI

- 분석 및 경험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AI 실패사례 등 문제해결에 주력하고, 특히 안정적 전략 측면에 배치

취약성이 보완된 AI

- AI 기술이 오남용되거나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

고성능 AI

- 최첨단 프로세서에 비해 1,000배의 속도 및 전력 효율성으로 알고리즘의 아날로그 프로세싱 시연

차세대 AI

- 컴퓨터를 단순한 도구에서 문제 해결 파트너로 발전시키는 차세대 AI 알고리즘 개발


○ ’18년 NSF는 인간-기술간 협력적 업무환경을 촉진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한 26개 프로젝트에 2,500만 달러(280억원) 이상을 투자


  ※ ’16년 제시된 NSF의 10대 빅 아이디어 중 ‘인간-기술간 협력적 업무환경’과 ‘융합연구 발전의 일환’으로 추진


 - 각 프로젝트는 향후 3~5년 동안 75만 달러~300만 달러(약 8억 5,000만원~34억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게 될 예정


 - 교대근무자 지능형 비서, 증강현실 속 인간 역량, 자율주행차 내 모바일 오피스, 미래 공장 인간-로봇 업무 흐름 등 연구



다. 첨단제조


□ 제조업은 미국의 경제와 국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제조 산업이 쇠퇴하면서 국가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음


○ 제조업은 여전히 전체 근로자의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트럼프 정부 출범 후 35만 개의 새로운 제조업 일자리가 창출


 - 2010년 재승인된 미국 경쟁력 강화법(America COMPETES Act)은 미국 제조업의 경쟁력을 향상할 전략 계획을 4년마다 제출하도록 명시


  ※ 2006년~2010년 제조업 고용자 수가 1,420만명에서 1,130만명으로 20% 감소한 뒤로는 이전의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갈수록 서서히 회복 중 


□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부활’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제조 청사진 및 기존 첨단 제조업 지원 정책 확대 


 (1) 국가 첨단제조 전략계획* 발표(’18.10.)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국가 안보와 경제적 번영을 보장하는 산업 분야 내 미국 첨단 제조의 리더십”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정부 부처 활동 범위 제시


  * Strategy for American Leadership in Advanced Manufacturing


 - 지능형 제조시스템, 미래 선도형 소재와 공정기술, 의약품 내수 제조, 전자기기 설계‧제조, 식품‧농업 제조


 - 미래 제조인력 교육‧훈련, 기술 경력 확대, 어프렌티스십 활동 촉진, 숙련 근로자와 기업 연계


 - 첨단 제조업 내 중소제조기업 역할 확대, 제조 혁신 생태계 육성, 국방 제조기반 강화, 농어촌 첨단제조 강화


< 연방기관별 전략 활동 기여 부문 >

목표

목적

DOD

DOE

DOC

HHS

NSF

NA

SA

DOL

DOA

ED

새로운 제조 기술 개발 적용

지능형 제조 시스템의 미래 포착

 

 

 

 

세계 선도의 소재공정 기술 개발

 

 

 

 

내수 제조를 통해 의학 제품 접근성 보장

 

 

 

 

 

전자기기 설계 제조 부문 리더십 유지

 

 

 

 

식품 및 농업 제조의 기회를 강화함

 

 

 

 

 

 

제조 인력 교육·훈련 연계

미래 제조 인력을 유치하고 육성함

 

 

진로기술 교육 경력을 업데이트

 

 

어프랜티스십 활동, 산업계 자격증 취득

 

숙련 근로자와 수요 기업간 연계

 

 

 

 

 

국내 제조 공급 사슬 역량 확대

첨단제조업내 중소제조기업 역할 확대

 

 

제조 혁신 생태계 육성

 

 

 

 

국방 제조 기반 강화

 

 

 

 

농어촌 지역 첨단 제조 강화

 

 

 

 

 

 

 

 


 (2) Manufacturing USA 프로그램을 통한 R&D 투자 및 인력 강화


○ Manufacturing USA 연구소는 1,300개 이상의 회원기관이 참여하고, 270개 이상의 R&D 프로젝트를 지원


 - 퇴역군인 훈련부터 선진기술에 이르기까지 미국 제조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충족하고자 관련 인력 양성


 - 20억 달러(약 2조 2,500억원) 이상의 민간 투자를 유치


 - 고임금 일자리를 추구하는 고급 인력 양성 기술을 갖춘 20만 명 훈련


* 출처 : KIAT(’16), 미국 제조업 육성정책 Manufacturing USA


 (3) 적층제조법 개발  


○ 에너지부의 제조시연 시설(Manufacturing Demonstration Facility)은 25,000명 이상의 방문자를 유치


 - 130개 이상의 공동연구개발협정을 통해 적층제조법을 개발


 - 35개 이상의 제조시연 시설이 사용되고 있으며 1,200만 달러 예산 소요


○ 국립기술표준연구소(NIST)는 적층제조(Addictive Manufacturing) 산업 발전 촉진을 위한 벤치마크 테스트 시리즈(AM-Bench) 프로그램 추진(’18.6.)


  ※ AM-Bench 프로그램은 ‘18년 시작되어 2년 주기로 추진될 예정


 - 본 프로그램은 시뮬레이션 모델러가 적층 제조와 관련된 잘 통제된 벤치마크 시험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링을 시도


 - 민간 산업과 학계 전문가 175명이 참여해 적층 제조 공정 관리 모델을 시험



라. 양자정보과학


□ 미국은 세계적 규모로 양자정보기술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양자컴퓨팅 연구개발을 중점 추진 중에 있음


○ 현재 양자정보과학 분야의 연구는 센싱, 컴퓨팅, 네트워킹, 양자 활용 등 4개의 기초과학 부문을 중심으로 투자


 - 양자의 특성을 활용한 양자센싱, 양자시스템 시뮬레이션과 알고리즘에서 통제된 디지털 양자컴퓨터, 새로운 정보기술 어플리케이션, 소재·화학·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 발전을 유도


<  미국 정부 양자 연구 투자 비중 >

18.PNG


□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핵심연구 프로그램 추진 및 빠른 사업화를 위한 양자 계획 신설


 (1) ‘국가양자이니셔티브(NQI)*’ 법안에 서명(’18.12.)


  * National Quantum Initiative Act


○ 트럼프 대통령은 양자 컴퓨팅 분야 R&D의 전략적 투자 정책 방안 제시


 -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내 국가양자조정실을 설치해 기술 지원 및 홍보에 대한 주도적 역할 부여해 향후 5년 동안 연간 2500만 달러를 집행할 계획 


  * ’18년 9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가 발표한 ‘양자정보과학 국가전략’을 바탕으로 수립


<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 법에 따른 신설 정책 >

정책

주요 역할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

- 국가 양자 과학에 대한 목표와 과제, 성과 척도를 설정

- 양자정보과학 R&D에 대한 투자

- 국가 양자 조정실 설치

양자 정보 과학 소위원회

- 연방 기관의 양자 관련 정책 조율,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 목표 설정, 국내 및 국외의 양자 과학 R&D 현황 파악

- 양자 정보 과학 R&D 예산 신청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 자문위원회

- 양자정보과학 R&D, 표준, 교육, 기술이전, 상업화, 국방, 경제 등과 관련한 자문과 정보 제공

- 정기적으로 대통령과 의회에 관련 보고서 제출


   
 (2) 국가 양자정보과학 전략 개요 수립(‘18.9.)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산하 양자정보과학 소위원회(SCQIS) 신설 후, 양자산업의 중점 추진분야 발전전략 수립


 - 다양한 플랫폼을 유지하고, 양자센싱 분야와 같은 도전적 연구과제에 대한 지속적 투자 지원

 

 -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 공동지원 및 대학 내 양자과학 학과 신설


 - 사전 경쟁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다양한 분야의 양자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관 공동연구센터 구축


< 양자정보과학 산·학·관 협력방안 >

19.PNG


 (3) 양자기술 연구 지원을 위한 투자방안 수립(’18.9.)


○ 에너지부(DOE)는 유망 양자정보과학 부문에 2억 1,800만 달러(약 2,450억원)를 지원할 계획


 - 에너지부 산하 9개 국립연구소와 28개 대학이 수행하는 양자컴퓨터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 소재, 양자 컴퓨터를 활용한 우주 현상 분석 등 85개 프로젝트 추진


○ 국립과학재단(NSF)의 투자는 광자를 파악하는 신기술, 생체를 모방한 회로,  빛 기반의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 지원 예정


 - (과학-양자 시스템 발전 프로그램) 양자 센싱, 통신, 컴퓨팅 등 획기적 연구를 수행하는 25개의 탐구적 양자 연구 프로젝트에 총 2,500만 달러(약 280억원) 투자


 - (양자 플랫폼 제작 프로그램) 최첨단 양자 연구‧기술 개발 프로젝트(8개)에 600만 달러(약 70억원) 투자


  ※ 다양한 학제 간의 협력 연구를 통해 탐구적이고 첨단적 연구 촉진


< 국립과학재단(NSF) 양자 프로그램 >




③ 시사점

□ 우리나라가 당면한 저성장 과제를 해소하고 첨단기술 기반의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국의 첨단산업 확보 정책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


○ 5G 세계 최초 상용화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기업 R&D 지원 강화 및 5G 초기시장 창출 환경 조성  


 - 5G 기술과 플랫폼 활용에 대한 규제 완화 및 관련 분야의 혁신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지원 제도 확대 


 - 산업간 경계를 넘나드는 5G 로드맵 구축 및 5G 관련 플랫폼 활용의 진입장벽 완화   


○ AI 투자 분야에 있어 민간이 투자할 가능성이 적은 분야에 대한 정부 주도 R&D 투자 강화  


 - 미국의 경우, 데이터분석 등 장기 투자 분야, 인간-AI 협업, 윤리·법적 사회적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추진


○ 올해 새롭게 등장한 양자정보과학은 파급력이 큰 미래기술로, 향후 양자 컴퓨팅, 양자센서 개발 관련 연구 지원 확대


 - 양자정보과학은 반도체 마이크로공학, GPS, MRI 등 국가경제 및 국방 인프라 주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미래기술로 더욱 부상될 전망


□ 특히, 대학은 융합형 첨단 인재를 양성하고, 민간기업이 첨단산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혁신 인재 육성 및 확보를 위한 지원 강화가 필요 


○ 대학 내 첨단기술 전공분야 확대 및 글로벌 우수 인재의 국내 정착 지원을 위한 파격적 지원     


○ 실제 기업 현장에서 기술개발을 이끌 5G 분야 우수 인재 양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ICT 융복합 전문인력양성 사업과 현장맞춤형 취업 연계 교육 훈련프로그램 내실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