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126호] 대중국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전략적 방향 : 희토류 산업 관련

  • 국가 중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발간일 2019-07-05
  • 권호 126
첨부파일

① 배경 및 필요성

□ 중국은 경제발전을 위해 국제협력을 중시하고 있으나, 일부 산업에서는 폐쇄 정책도 병행하고 있음


○ 중국은 경제발전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과학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2010년 중반부터 중국은 일대일로, 혁신주도형 발전전략 등을 통해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임


 - 일대일로 정책을 통해 연선국가들과 적극적인 경제협력을 주도하고 있음


 - 2016년 혁신주도형 발전전략을 채택하고 경제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국제협력도 진행하고 있음


○ 최근 들어, 미・중 무역갈등의 영향으로, 과거 일본과의 사례*처럼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폐쇄적 산업정책을 병행


  * 2010년 중・일 간 댜오위다오 문제로 갈등이 있을 때 중국이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중단함


 -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어, 대외 수출 금지는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음


 - ’19년 6월 광물자원통계포털의 ‘2019 희유금속 원재료 교역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희토류 수입 규모는 약 6,935만 달러(약 826.7억원)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중국산이 42%에 해당한다고 보도 


□ 따라서 우리나라도 중국의 폐쇄적 산업정책에 적극 대응하여 중국과의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전략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 중국의 폐쇄적 산업정책은 우리나라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음


 - 우리나라는 중국과 수출 의존도 및 산업연관 관계가 높아서 중국의 산업 정책 변화에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


 - 중국은 희토류 이외에도, 이미 광물 및 식물자원, 대기오염, 전기자동차 등분야에서 폐쇄적 정책을 펼치고 있어, 폐쇄적 산업정책에 대한 대응은 중요한 의미를 가짐


○ 과학기술 협력은 중국의 폐쇄적 산업정책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을 전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


 - 중국과 과학기술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 공동연구, 기술개발 특허권 획득 등은 우리나라의 협상력 강화를 통해 중국의 폐쇄적 산업 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음


○ 이에, 본고에서는 산업 연관성이 높은 중국의 희토류 사례를 통해서 중국과의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 우선 중국의 국제협력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희토류 산업 폐쇄적 정책을 분석하여, 대중국 과학기술 국제협력 방향을 제안



②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 동향

□ 중국은 경제 발전을 위해서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이를 다변화시키고 있음


○ ’11년 중국 과학기술부는 「12차 5개년 국제과학기술협력 특별계획」을 발표


 - 국가별로 구체적이고 개척적인 협력모델 및 메커니즘 기획


  ※ (예시) 국가별 과기협력전략 수립: 중・미 고위급과기전략대회, 중・러 고위급 정기모임(定期會晤), 중국・유럽 과기파트너계획, 중・일・한 공동연구계획, 중국・라틴 아메리카 혁신 포럼 등


 - 기능별, 국가별 등 다양한 협력기지 구축 시도


  ※ (기능별) 국제혁신원, 국제공동연구개발센터, 국제기술이전센터, 국제과기협력혁신연맹 등


  ※ (국가별) 중・미 청정에너지공동연구센터, 중・러 과기협력기지연맹, 중국・이탈리아 공동디자인 센터, 중국・아시아 과기협력센터 등


○ ’17년에는 「13차 5개년 국제과학기술혁신협력 특별계획」을 발표


 - 이 계획에서 처음으로 “혁신협력”을 국제협력 주제로 정함


 - 주요목표: ① 글로벌 과기혁신체제 구축 ② 국제영향력 및 흡인력이 있는 과기혁신 기지 구축 ③ win-win의 국제과기혁신협력 구현 ④ 기업 국제과기혁신협력 지원


○ 또한, ’17년 중국 과기부는 “일대일로” 과기혁신행동계획을 실시


 - 주요내용 : 과기인문교류활동, 공동실험실, 과기원협력 및 기술이전 4개 행동


  ※ (예시) 일대일로 연선국가 청년과학자 단기 과학연구 활동(2,500명), 과학기술 및 관리인력 교육(5,000명), 공동 실험실 운영(50개) 등


○ ’18년 과기부는 “전략적 국제과기혁신협력” 중점전문프로젝트 신청에 관한 통지 발표를 통해 과학기술 협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함


 - 일대일로 국가 경제사회발전에 직면한 핵심 및 범용 기술문제에 주력


 - 세계 주요 혁신형 국가 및 중요한 경제권과 첨단과학기술 연구개발 협력


  ※ “인터넷+” 행동 ,국가 빅데이터 전략 등 국제협력


 - 총 30여개 프로젝트를 실시할 예정임 (국가 R&D투자: 약 2.4억 위안)


○ 과기부는 ’19년 고급 외국전문가 도입계획에 관한 통지 발표


 - 舊 “수석과학자 프로젝트”, “고급 외국전문가 프로젝트”, “국가중점과기전문인력도입계획”, “일대일로 교육・과학・문화 인력 도입 프로젝트” 등을 통합


 - 동 계획은 ▲전략적 과기발전 분야 ▲ 산업기술 혁신 분야 ▲ 사회 및 생태건설 분야 ▲ 농업 및 향촌진흥(鄉村振興) 분야를 중심으로 실시


□ 중국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은 다양한 성과들을 창출하고 있음


○ 현재까지 중국은 160여개 국가와 과기협력관계를 맺었음


 - 114건의 정부 간 협정과 346건의 인적교류 협정 체결


 - 200곳이 넘는 국제기구와 다자기구(多边机制)에 참여


○ “12.5” 말까지 중국은 국제혁신원, 국제공동연구센터, 국제기술이전센터, 시범형 국제 과기협력기지 등을 포함한 국가국제과기협력기지 총 549개를 구축


(사례) 중국-프랑스 과기협력 성과


배경


1978년 중국과 프랑스는 양국 정부 간 과기협력기본협정을 체결

중국과 서방 강대국 정부 간의 첫 번째로 체결된 과기협력협의서

특히 2014년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프랑스를 방문한 후, 영국 정부, 연구기관, 대학 및 기업은 수많은 분야에서 커다한 과기성과를 거두었음

 

주요 성과

원자력 분야: 민간용 원자력 고도화 협력 유지

양국은 공동으로 중국 태산(台山) 원자력 발전소의 1호기를 건설

   ※ 세계 최초의 상업화 운영한 EPR 발전세트

양국은 핵연료 폐로식 순환이 원자력 지속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을 중요시함

우주항공 분야: 장기적으로 협력 유지

공간 궤도 데이터 공유, 항공 발동기 설계, 위성 핵심 부품 디자인 및 생산 등 중요한 과학성과를 거두었음

중국-프랑스 해양위성은 2018년에 발사 성공, 중국-프랑스 천문위성은 2021년에 발사 예정

양국은 우주정거장, 달 및 화성 탐사, 지구과학, 공간과학 및 기후변화 등 분야 심층적인 협력 추진

바이오 분야

2017년 중국-프랑스는 P4 고급 생물안전실헙실 공동 구축 완료

   ※ 중국과 프랑스의 전염병 연구개발 플랫폼

○ 중국은 “일대일로” 연선국가들과 정부 간 과기협력 협정 46개를 체결하였으며, 다양한 성과를 창출함


 - 일대일로 과학기술 협력은 중국 과학원을 중심으로 추진 중


 - 2019년까지 5년간 18억 위안이 일대일로 과학기술 프로젝트에 투입되었으며, 12만 명 이상 참여하였음


 - 대표적으로 일대일로 국제과학기구연맹(ANSO), 10개의 해외과학교육센터 설립, 100여개 과기협력 프로젝트를 통한 그린 실크로드 사업 추진



③ 폐쇄적 산업 정책 : 희토류 사례 2019년 한중과기협력센터에서 발간한 “중국의 희토연구개발 정책 동향”에서 내용 발췌 및 정리

□ 중국은 자국 산업 보호 육성을 위해 폐쇄적 정책을 추진 중이며, 특히 희토류는 중국의 기술 패권 전쟁은 물론 외교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무기로 활용


○ 희토는 처음에 스웨덴산의 비교적 희귀한 광물에서 발견 되었으며, 17종의 희토원소는 경(經)희토와 중중(中重)희토로 구성


 - 경희토는 매장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영구자석소재, 연마파우더, 유리세라믹, 촉매제 등 분야에 사용


 - 중중희토는 매장량이 적으며, 형광분, 세라믹 등 분야에 주로 사용되고 항공우주, 국방 분야에 사용 가능


○ 중국의 최대 희토 소비 분야는 영구자석 소재이고, 비중은 41.7%를 차지


 - 일본은 연마파우더와 영구자석 소재 위주이며, 미국과 EU는 촉매제, 유리세라믹, 합금 위주로 이중 촉매제 비중이 22.4%와 30.6%임


< 희토류 산업 가치사슬 >
1426-1.PNG


중국 희토류 가공응용 분야 수요


희토 영구자석소재의 응용분야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

2018년 희토 자석소재 수요는 7.1만톤이며, 희토 전체 응용분야에서의 비중은 40%, 복합증가율은 6.3%

(신흥 응용분야) 연마파우더는 전자산업에 주로 사용되며, 전자산업의 성장으로 활용 증가율이 높고, 복합증가율은 2.8% 수준

(성숙 응용분야) 촉매제의 2018년 수요량은 2.37만톤이며, 희토 전체 응용분야에서 13.3%를 차지하고 복합증가율은 1.3%

- 유리, 세라믹 등에서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2018년 소비량은 각각 1.2만톤 및 0.9만톤 달성


영구자석소재는 희토산업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응용

신에너지자동차, 고출력 풍력발전기, 인버터압축기, 절전형 전기기계, 전통 자동차 EPS, 산업용 로봇과 스마트폰 등 산업에서 널리 응용되며, 미래 수요가 안정적으로 증가

- Nd-Fe-B(네오디움--붕소) 자석소재는 신에너지자동차용 영구자석 전기기계의 중요 원자재로 전기자동차당 수요량은 5kg

- 풍력발전분야에서 영구자석 직접구동식 풍력발전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과 효율이 높으며 유지보호가 적은 장점을 가짐


연마파우더는 희토산업에서 전망이 극히 밝은 응용 분야

전통 산화철 연마파우더에 비해 세륨계 희토 연마파우더는 입도 균일, 경도 적정, 절삭력 우수, 짧은 연마시간, 높은 연마 정밀도, 사용 수명, 조작환경 청결 및 환경 친화적인 장점 보유 

- 유리 표면의 냉가공, 평판 유리, 음극선관, TV컴퓨터 모니터, 광학 유리, 렌즈, 보석, 수정, 장식품 등의 연마에 널리 응용

- 중국의 전통 연마파우더 기술이 성숙, 고급 연마파우더 생산기술과 설비는 해외와 격차가 큼

- 이중 광학렌즈 및 기타 정밀부품에 사용되는 연마파우더는 대량 수입이 필요

- 정밀 광학기기 부품, 광학렌즈, 반도체소자, 액정디스플레이 등 고성능 소자는 응용전망이 밝으며, 희토 연마파우더 수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중국은 2016년도 공업정보화부에서 “중국 희토산업발전규획(2016~2020년)” 발표를 통해 본격적으로 국가정책을 제정


- 본 규획은 6대 핵심과제를 아래와 같이 제정하였으며, ‘13.5’기간의 주요 목표를 발표


1. 자원 및 생태보호 강화, 지속가능한 발전 촉진

2. 혁신체계 및 능력육성 지원, 산업의 신성장동력 육성

3. 집약화 및 첨단화 발전 추진, 최적화 구조조정

4. 그린화 및 스마트화 체제전환 촉진, 순환경제 구축

5. 해외자원이용 촉진, 국제협력 강화

6. 신규 가치사슬 구축, 윈윈 실현


< "13.5"기간 희토산업발전 주요 목표 >

지표

2015년 실제

2020년 목표

“13.5”누계증감

1. 경제지표

산업부가가치 연간 증가폭(%)

12.5

16.5

산업수익률(%)

5.8

12

[6.2]

중점기업 R&D비용 투입집중도(%)

3

5

[2]

2. 생산지표

분리추출생산능력(만톤)

30

20

[-10]

희토분리추출 제품 생산량(만톤)

10

< 14

[<4]

경희토광 선광회수율(%)

75

80

[5]

이온형 희토광 채광선광 종합회수율(%)

75

85

[10]

경희토분리추출 회수율(%)

90

92

[2]

이온형 희토 분리추출 회수율(%

94

96

[2]

정보화산업화 융합 표준기업 차지비중(%

30

90

[60]

3. 녹색발전지표

전체산업 주요 오염물 배출강도 저감

(이산화유황, 암모늄, 질소, 폐수 등 %)

[20]

에너지소모기준도달 기업 차지비중(%)

40

90

[50]

4. 응용산업 발전지표

첨단희토기능성소재 및 부품 시장점유율(%)

25

50

[25]

수출제품 초급 원자재 차지비중(%)

57

30

[-27]

비고[ ]안의 수치는 5년 누계 수치



※ 출처 : http://www.miit.gov.cn/newweb/n1146295/n1652858/n1652930/n3757017/c5287765/content.html


□ 희토류 산업에 대한 국가 통제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 제정


○ 공업정보화부에서 중국 희토산업 발전규획(2016~2020년)을 발표(2016.10)하여 희토자원보호 강화, 희토채굴 및 생산 질서 규범화에 나섬


 - 12개 부처에서 「희토산업의 질서 정돈 지속적 강화 관련 통지」를 발표하고 희토광 불법 채굴 및 희토광제품 불법가공 단속 강화, 채굴・생산・유통・수출입 질서 규범화에 나섬(’18.12.10.)


○ 중국 전역의 22개 희토광산과 54개 제련분리기업에 대한 통폐합을 거쳐 2016년 말까지 6대 희토그룹의 구도를 갖춤


 - 6대 희토그룹: 중국우쾅그룹, 중국알루미늄그룹, 북방희토그룹, 샤먼텅스텐그룹, 남방희토그룹, 광둥희토그룹


○ 「희토광산, 분리추출기업 정기 공개제도 수립에 관한 통지」 발표(’18.9.25)


 - 매년 1/4분기에 희토광산, 분리추출기업 현황을 사회에 공개할 것을 요구


○ 자연자원부, 「희토광・텅스텐광 탐광권・채광권 심사관리 규범화 통지」 발표(’18.12.14.)


 - 희토광과 텅스텐광의 탐사・채굴 심사관리 강화 및 규범화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시장진입 네거티브 리스트(2018년 버전)」 발표(’18.12.21.)


 - 산업발전 요구 미달 희토 광산 개발프로젝트 도태 및 희토 채굴・선광・분리・추출 프로젝트 규제 조치


□ 중국 정부는 6대 중국희토그룹에 2019년도 제1차 희토채굴 및 제련분리 통제계획을 확정하여 생산량을 제한(’19.3.15.)


○ 희토는 국가에서 엄격히 총량을 통제・관리하는 채굴・제련분리 제품으로, 기관이나 개인이 계획 없이 생산하거나 혹은 과잉생산하는 것을 금지


 - ’19년도 제1차 희토채굴・제련분리 총량통제계획은 ’18년도 지표의 50%인 각각 6만톤, 5.7만이며, 제2차 계획은 시장수요와 각 희토그룹의 집행현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9년 6월말에 전달할 예정


< 2019년 제1차 희토채굴・제련분리 총량통제 계획표(REO, 톤) >

순서

6대 희토그룹

광제품

제련분리제품

혼합형 희토

(경희토)

이온형 희토

(중중희토)

1

중국희유희토주식유한공사

5,925

1,250

9,690

그중, 중국강철연구과기그룹유한공사

1,800

 

500

2

우쾅희토그룹유한공사

 

1,005

2,829

3

중국북방희토(그룹)하이테크주식유한공사

34,625

 

29,741

4

샤먼텅스텐주식유한공사

 

1,720

1,982

5

중국남방희토그룹유한공사

9,875

4,250

7,956

그중, 쓰촨강동희토주식기업

9,875

 

4,160

6

광동성희토산업그룹유한공사

 

1,350

5,302

그중, 중국유색금속건설주식유한공사

 

 

1,805

합계

60,000

57,500


  ※ 출처: http://www.cinn.cn/headline/201903/t20190315_208731.html


□ 최근 중국은 희토류 산업의 전략적 자원화 강화를 통해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 확대


○ 미・중 무역 갈등 속에 중국의 희토류의 전략적 자원화 가능성 확대


 - ’19년 5월 시진핑 주석이 남방희토 생산의 중심지인 간조우를 방문한 뒤로 국제적으로 중국의 희토류 대외 수출 폐쇄 가능성이 대두


 - 이미 중국은 ’06년부터 희토류를 전략 자원화하여 수출 쿼터제 및 관세 부과를 시작하였으며, ’10년에는 조어도 문제로 대일본 희토류 수출을 금지한 바 있음


○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80%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외 수출을 금지할 경우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줄 것임


 - 희토류는 현재 생산되는 다양한 제품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물질임


  ※ 특히 중국 남부에서만 거의 생산되는 중희토는 자석, 발광체 등에서 대체 불가능한 부분들이 많아, 관련 산업의 제품 생산에 큰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높음


□ 산업 분야의 폐쇄성에도 불구하고, 희토류 분야에서 한국과 중국은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가능성이 존재함


○ 중국은 희토류 추출정제 분야에서, 한국은 희토류 활용을 통한 제품개발에서 앞서 있어 협력 가능성이 존재함 협력 가능성 부분은 한국 전문가, 중국 관련기관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확인


 - 전 세계적으로 중국은 희토 광산에서 희토류 물질을 추출하고, 분리 및 정제하는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음


 - 반면, 한국은 희토류 정제 및 분리 기술은 부족하며, 생산기술원의 희소금속개발센터를 중심으로 한 희토류 제품 개발은 앞서 있음


 - 한국은 통일을 대비하여 희토류 정제 및 분리 기술 분야의 협력 수요가 있고, 중국은 제품 개발 협력 수요가 있어, 협력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


  ※ 실제로 중국 강서성 희토류 관련 기관에서 한국에 협력을 적극적으로 요청 중


 - 또한, 국제 표준 제정에서 한국이 표준제정 위원장을 맡고 있어 중국이 한국과 희토류 분야의 협력 필요성은 상당히 존재함


○ 중국과 희토류 분야에서 과기협력을 실현시켜는 경우 다음과 같은 성과를 기대


 - 과기협력을 통한 희토류 분야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 기술 개발을 통한 상호 권리 등은 중국 시장 진출 및 확대에 기여


 - 향후 남북통일이 되는 경우 북한의 희토류 정제 및 생산을 통해 희토류 자원의 자립화에 어느 정도 기여


 - 폐쇄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협상력 및 피해 완충 가능성 존재



④ 시사점

□ 과학기술 국제협력은 중국의 폐쇄적인 산업정책에 하나의 대응 방안이 될 수 있음


○ 중국은 경제발전을 위해 과학기술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함


○ 따라서 폐쇄적인 산업정책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부적으로는 과학기술 협력 수요 및 협력 가능성이 존재함


 - 이러한 과학기술 협력 수요의 존재는 희토류 산업에서 이미 확인되었음


 - 특히, 희토류는 반도체나 스마트폰, 스텔스 전투기 등 첨단제품 생산에 필수로 중국과의 협력이 중요


○ 이를 고려할 때, 중국과 과학기술 국제협력은 폐쇄적인 산업정책의 국내 영향을 줄이고, 상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음


 - 인적네트워크 구축, 표준 제정, 정보 획득 등 다양한 협력 성과들은 향후 경쟁 상태에서도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관련 산업 분야의 협상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 향후 지속적으로 중국과의 잠재된 과학기술 협력 수요를 발굴하고, 이를 분석한 대중국 과학기술 국제협력 전략 수립이 필요함


○ 중국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아직 완결성을 가지지는 못한 부분이 많아서 자세히 찾아보면 협력 수요가 많이 존재함


 - 중국의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협력과 경쟁의 성격이 언제든 바뀔 수 있으며, 전략자원 분야에서는 폐쇄적인 성격도 강하게 존재함


 - 그러나 내부적으로 살펴보면, 자체 완결성이 떨어지는 부분들이 많아서 협력의 수요가 항상 존재함 


  ※ 예를 들어, AI 분야에서 우수인력이 부족하거나, 양자컴퓨팅에서는 원천기술 부족으로 상용화는 하고 있으나 특허가 많지 않은 등의 문제들이 있음


○ 실제로 중국 측도 자신들의 협력 수요를 밝히는 경우가 많아서, 상호간 윈윈할 수 있는 협력수요를 전략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중앙정부와 달리 지방정부에서는 자체적으로 부족한 부분들이 많이 있어서 한국과 과학기술 협력을 희망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


  ※ 중앙정부는 중국 내 최고 기술만 이야기하여 경쟁적인 성격이 강하나, 지방정부는 자신들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 한국과 과학기술 협력을 매우 희망함


  ※ (예시) 중희토 생산 중심지인 강서성에서도 인력교류, 제품 개발에 대한 공동연구 등을 희망하고 있음


○ 이러한 중국의 과학기술 협력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기술 협력 전략을 수립하여 향후 중국의 기술변화에 대응해야 함


 - 이러한 전략은 중국의 기술력이 낮은 경우에는 미래 중국 시장 선점에, 경쟁 관계에서는 공생발전에, 전략적 자원화 분야에서는 협상력 및 영향 최소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



배너존